
○ 5대강유역협의회, 강살리기네트워크, 금강유역환경회의, 낙동강네트워크, 남한강경기도민회의, 섬진강유역협의회, 영산강유역네트워크, 종교환경회의, 한강유역네트워크, 한국환경회의 등은 2022년 2월 21일 11시 국민의힘 서울시당 앞에서 4대강 재자연화 정책을 폐기하겠다고 밝힌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 기자회견에 참여한 김도형 강살리기네트워크 운영위원장은 “윤석열 후보와 국민의힘은 4대강의 상황을 제대로 보기는 했는지 의문이다. 선거기간 동안 이뤄진 일련의 발언을 보면 윤석열 후보는 4대강 문제에 대한 이해가 굉장히 부족해 보인다. 4대강사업으로 인해 강바닥이 파헤쳐지며 피해입은 뭇 생명과 녹조핀 썩은 물로 고통받는 유역 주민들을 생각하면 윤 후보의 이같은 발언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며 비판했다.
○ 한주영 한국환경회의 운영위원은 “과거 MB정부는 4대강 사업으로 수많은 생명이 죽어갔음에도 사업의 성과를 포장하며 자화자찬하기 바빴다. 그런데 윤석열 후보와 국민의힘은 4대강 사업으로 발생한 녹조라떼, 농작물의 독성 축적 등 문제를 해결할 생각은커녕 MB정부의 뒤를 잇겠다고 한다. 표심을 위해 환경적으로 가장 잘못되었던 사업을 지지하겠다는 것이다. 윤석열 후보는 국민 앞에 사죄하고 발언을 철회한다고 확실히 얘기하라.” 고 요구했다.
○ 최지현 영산강재자연화시민행동 운영위원장은 “MB정부당시 4대강사업의 목적은 용수 확보, 취수대책, 수질개선, 환경개선, 지역민 삶의 질 향상 등 온갖 좋은 목표를 이루겠다고 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생물다양성의 감소, 녹조의 창궐로 인한 수질오염과 독성물질 발생이었다. 4대강 사업의 검증은 박근혜정부와 문재인정부를 거치며 객관적으로 검증되었다. 선거철 표심을 위해 국가정책을 본인 마음대로 손바닥 뒤집듯하는 윤석열 후보를 규탄한다. 4대강 재자연화 정책의 폐기는 국민이 심판할 것이다.” 라며 비판했다.
○ 윤석열 후보는 지난 15일 한 시민단체의 질의서에 대한 답변으로 현 정부 100대 국정과제 중 ‘지속가능한 국토환경 조성’ 항목을 폐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4대강 재자연화는 친수관리와 이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다. 이후 경북 상주를 찾은 윤 후보는 “민주당 정권은 이명박 대통령께서 하신 보사업, 4대강 보 사업을 폄훼하며 부수고 있다”며 “이것을 잘 지켜 이 지역 농업용수와 깨끗한 물을 상주·문경 시민이 마음껏 쓰도록 지켜내겠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 이에 5대강유역협의회, 강살리기네트워크, 금강유역환경회의, 낙동강네트워크, 남한강경기도민회의, 섬진강유역협의회, 영산강유역네트워크, 종교환경회의, 한강유역네트워크, 한국환경회의 등은 윤석열 후보의 이 같은 발언을 규탄하기 위해 국민의힘 중앙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번 기자회견은 같은 시각 전국 4대강 유역의 국민의힘 지역 당사 앞에서 동시에 진행되었다.
[기자회견문]
윤석열 후보의 4대강 파괴사업 승계, 규탄한다!
◯ 윤석열 후보가 지난 15일 한 시민단체의 질의서에 대한 답변으로 현정부 100대 국정과제 중 ‘지속가능한 국토환경 조성’ 항목을 폐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4대강 재자연화는 친수관리와 이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다. 이후 경북 상주를 찾은 윤 후보는 “민주당 정권은 이명박 대통령께서 하신 보사업, 4대강 보 사업을 폄훼하며 부수고 있다”며 “이것을 잘 지켜 이 지역 농업용수와 깨끗한 물을 상주·문경 시민이 마음껏 쓰도록 지켜내겠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 했다.
◯ 어제(20일) 국민의힘 정책본부 최흥진 기후환경정책분과위원장이 “물 이용을 염두에 두고 수질과 수량의 조화를 통해 하겠다는 것으로 이해해 달라.”고 해명했다. 우리는 4대강사업을 둘러싼 비난 여론을 의식한 발언일 뿐 윤 후보의 환경철학이 달라진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우리는 윤석열 후보가 ‘4대강 파괴사업을 승계하는 것’이자, ‘4대강 녹조 독성에 국민 안전을 방치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 4대강사업은 국가공권력으로 강행된 사업이다. 국민의 대다수가 반대했고, 녹조라떼라는 치명적인 문제를 낳았다. 최근 녹조라떼에 발암성을 띠는 독성이 검출되고, 이것이 농작물에 축적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4대강 사업이 자연재난을 넘어 사회재단으로 접어들었다. 지금은 위기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하는 때다. 이러한 시기에 윤석열 후보가 4대강 자연성 회복을 폐기하겠다고 밝힌 것은 국민의 안전과 건강에 신경 쓰지 않겠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 우리 국민은 억지 주장과 거짓 선동에 휘둘리지 않는다. 2020년 국가물관리위원회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51.4%가 4대강사업에 반대, 24.5%가 찬성의견이었다. 2019년 대한하천학회와 환경운동연합에서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국민 4명 중 3명이 4대강사업과 이로 인해 지어진 보가 불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명박정부의 4대강사업을 승계하고, 자연성 회복에 반대하고 나서면 정치적으로 지지자가 결집하리라는 판단은 틀렸다.
◯ 윤석열 후보는 국민의 앞에 서서 4대강 자연성 회복 폐기 주장을 철회하라. 우리 국민은 4대강 보의 수문을 열자 모래톱이 드러나고 멸종위기 동물이 찾아드는 모습을 보았다. 다시 수문을 닫고 녹조라떼 가득한 강으로 돌이키자는 국민은 없다. 진정 국민이 원하는 바에 귀 기울이길 촉구한다. 3월 9일 대통령선거일, 우리는 제대로 된 4대강 자연성 회복을 추진하는 대통령을 선출할 것이다. 4대강에 기대어 사는 농민의 농업활동과 어민의 어로활동, 국민의 먹거리 안전을 책임지는 대통령이 필요하다.
2021년 2월 21일
5대강유역협의회, 강살리기네트워크, 금강유역환경회의, 낙동강네트워크, 남한강경기도민회의, 섬진강유역협의회, 영산강유역네트워크, 종교환경회의, 한강유역네트워크, 한국환경회의
[기자회견 사진]


- 국민의힘 경상남도 지역(경남, 울산, 부산) 당사 앞




○ 5대강유역협의회, 강살리기네트워크, 금강유역환경회의, 낙동강네트워크, 남한강경기도민회의, 섬진강유역협의회, 영산강유역네트워크, 종교환경회의, 한강유역네트워크, 한국환경회의 등은 2022년 2월 21일 11시 국민의힘 서울시당 앞에서 4대강 재자연화 정책을 폐기하겠다고 밝힌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 기자회견에 참여한 김도형 강살리기네트워크 운영위원장은 “윤석열 후보와 국민의힘은 4대강의 상황을 제대로 보기는 했는지 의문이다. 선거기간 동안 이뤄진 일련의 발언을 보면 윤석열 후보는 4대강 문제에 대한 이해가 굉장히 부족해 보인다. 4대강사업으로 인해 강바닥이 파헤쳐지며 피해입은 뭇 생명과 녹조핀 썩은 물로 고통받는 유역 주민들을 생각하면 윤 후보의 이같은 발언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며 비판했다.
○ 한주영 한국환경회의 운영위원은 “과거 MB정부는 4대강 사업으로 수많은 생명이 죽어갔음에도 사업의 성과를 포장하며 자화자찬하기 바빴다. 그런데 윤석열 후보와 국민의힘은 4대강 사업으로 발생한 녹조라떼, 농작물의 독성 축적 등 문제를 해결할 생각은커녕 MB정부의 뒤를 잇겠다고 한다. 표심을 위해 환경적으로 가장 잘못되었던 사업을 지지하겠다는 것이다. 윤석열 후보는 국민 앞에 사죄하고 발언을 철회한다고 확실히 얘기하라.” 고 요구했다.
○ 최지현 영산강재자연화시민행동 운영위원장은 “MB정부당시 4대강사업의 목적은 용수 확보, 취수대책, 수질개선, 환경개선, 지역민 삶의 질 향상 등 온갖 좋은 목표를 이루겠다고 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생물다양성의 감소, 녹조의 창궐로 인한 수질오염과 독성물질 발생이었다. 4대강 사업의 검증은 박근혜정부와 문재인정부를 거치며 객관적으로 검증되었다. 선거철 표심을 위해 국가정책을 본인 마음대로 손바닥 뒤집듯하는 윤석열 후보를 규탄한다. 4대강 재자연화 정책의 폐기는 국민이 심판할 것이다.” 라며 비판했다.
○ 윤석열 후보는 지난 15일 한 시민단체의 질의서에 대한 답변으로 현 정부 100대 국정과제 중 ‘지속가능한 국토환경 조성’ 항목을 폐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4대강 재자연화는 친수관리와 이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다. 이후 경북 상주를 찾은 윤 후보는 “민주당 정권은 이명박 대통령께서 하신 보사업, 4대강 보 사업을 폄훼하며 부수고 있다”며 “이것을 잘 지켜 이 지역 농업용수와 깨끗한 물을 상주·문경 시민이 마음껏 쓰도록 지켜내겠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 이에 5대강유역협의회, 강살리기네트워크, 금강유역환경회의, 낙동강네트워크, 남한강경기도민회의, 섬진강유역협의회, 영산강유역네트워크, 종교환경회의, 한강유역네트워크, 한국환경회의 등은 윤석열 후보의 이 같은 발언을 규탄하기 위해 국민의힘 중앙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번 기자회견은 같은 시각 전국 4대강 유역의 국민의힘 지역 당사 앞에서 동시에 진행되었다.
[기자회견문]
윤석열 후보의 4대강 파괴사업 승계, 규탄한다!
◯ 윤석열 후보가 지난 15일 한 시민단체의 질의서에 대한 답변으로 현정부 100대 국정과제 중 ‘지속가능한 국토환경 조성’ 항목을 폐기해야 한다고 밝혔다. “4대강 재자연화는 친수관리와 이용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다. 이후 경북 상주를 찾은 윤 후보는 “민주당 정권은 이명박 대통령께서 하신 보사업, 4대강 보 사업을 폄훼하며 부수고 있다”며 “이것을 잘 지켜 이 지역 농업용수와 깨끗한 물을 상주·문경 시민이 마음껏 쓰도록 지켜내겠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 했다.
◯ 어제(20일) 국민의힘 정책본부 최흥진 기후환경정책분과위원장이 “물 이용을 염두에 두고 수질과 수량의 조화를 통해 하겠다는 것으로 이해해 달라.”고 해명했다. 우리는 4대강사업을 둘러싼 비난 여론을 의식한 발언일 뿐 윤 후보의 환경철학이 달라진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우리는 윤석열 후보가 ‘4대강 파괴사업을 승계하는 것’이자, ‘4대강 녹조 독성에 국민 안전을 방치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 4대강사업은 국가공권력으로 강행된 사업이다. 국민의 대다수가 반대했고, 녹조라떼라는 치명적인 문제를 낳았다. 최근 녹조라떼에 발암성을 띠는 독성이 검출되고, 이것이 농작물에 축적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4대강 사업이 자연재난을 넘어 사회재단으로 접어들었다. 지금은 위기에 대한 대책을 세워야 하는 때다. 이러한 시기에 윤석열 후보가 4대강 자연성 회복을 폐기하겠다고 밝힌 것은 국민의 안전과 건강에 신경 쓰지 않겠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 우리 국민은 억지 주장과 거짓 선동에 휘둘리지 않는다. 2020년 국가물관리위원회의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 51.4%가 4대강사업에 반대, 24.5%가 찬성의견이었다. 2019년 대한하천학회와 환경운동연합에서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국민 4명 중 3명이 4대강사업과 이로 인해 지어진 보가 불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명박정부의 4대강사업을 승계하고, 자연성 회복에 반대하고 나서면 정치적으로 지지자가 결집하리라는 판단은 틀렸다.
◯ 윤석열 후보는 국민의 앞에 서서 4대강 자연성 회복 폐기 주장을 철회하라. 우리 국민은 4대강 보의 수문을 열자 모래톱이 드러나고 멸종위기 동물이 찾아드는 모습을 보았다. 다시 수문을 닫고 녹조라떼 가득한 강으로 돌이키자는 국민은 없다. 진정 국민이 원하는 바에 귀 기울이길 촉구한다. 3월 9일 대통령선거일, 우리는 제대로 된 4대강 자연성 회복을 추진하는 대통령을 선출할 것이다. 4대강에 기대어 사는 농민의 농업활동과 어민의 어로활동, 국민의 먹거리 안전을 책임지는 대통령이 필요하다.
2021년 2월 21일
5대강유역협의회, 강살리기네트워크, 금강유역환경회의, 낙동강네트워크, 남한강경기도민회의, 섬진강유역협의회, 영산강유역네트워크, 종교환경회의, 한강유역네트워크, 한국환경회의
[기자회견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