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서]태국물관리사업수주관련(20130207).hwp
지구의 벗 환경운동연합 www.kfem.or.kr
(110-806)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251번지 ▪ 전화 02)735-7000 ▪ 팩스 02)730-1240
환경단체, 태국 물관리 사업 수주 반대한 적 없어
4대강 사업 추진세력들의 환경단체 공격 여론 몰이는 정치적 꼼수
이명박대통령으로부터 시작한 ‘환경단체 4대강 수출 반대’ 비난이 총리실을 거쳐, 심명필 전 4대강 사업추진본부장, 국토부 오늘자(2. 6.) 보도자료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면서 환경단체들이 어떤 활동을 반대했는지에 대한 구체적 적시도 없이, 국익에 반하는 심각한 행위를 한 것처럼 부풀리고 있다.
결론적으로 환경단체들은 태국의 물관리 사업에 한국 기업이 참여하는 것을 반대한 적이 없으며, 연관된 대외 활동을 한 적도 없다. 또한 정부 기관으로부터 어떤 활동을 했는지 문의 받은 바 없고, 우리가 무슨 활동을 했다고 밝힌 바도 없다. 그럼에도 앞뒤 없이 여론몰이에 나서는 것은 4대강 사업 실패 책임을 져야한 세력들이 반대 활동을 해왔던 환경단체들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조성하기 위한 작업으로 보인다.
정부가 반대활동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지난 12월 환경연합 국제연대 활동가가 태국을 방문해 태국의 환경단체를 만나고 방송 인터뷰에 한 차례 응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태국 단체와의 만남은 태국 사업의 실상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태국 단체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서 이뤄졌으며, 이와 함께 환경연합이 생각하는 4대강사업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기 위해서였다. 인터뷰 내용 역시 ‘사업 추진에 앞서 정확한 내용의 공개가 필요하다’는 원론적 수준이었다. 환경문제는 국경을 넘는 일이 많기 때문에 국제 연대가 활발한 분야고, 위와 같은 협의는 환경 단체들 사이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정도를 국가에 반하는 일을 한 것처럼 비난하는 것은 터무니없다.
환경연합이 태국 물관리 사업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정부가 4대강 사업을 성공한 사례라고 주장하며 수출하겠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4대강에서와 같은 생태 파괴와 예산 낭비가 있어서는 안 되고, 무엇보다 이명박 정부가 ‘4대강 사업 수출’이라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 아랍에미리트 원전 수주 처럼 ‘한국 국민에게 막대한 부담을 가져오는 이면 계약’을 맺을까 우려해서다.
환경운동연합은 청와대, 국무총리실, 국토부에 확인을 요청한다. 환경단체의 어떤 활동이 문제였는가? 도대체 어느 부분이 외교적 결례고, 반국가적인가? 비난에 앞서 사실을 공개하라. 내용도 없이 계속해서 시비하는 것은 당당한 태도가 아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미 밝혔던 바와 같이 ‘태국의 물관리가 성공해야 하고, 한국의 4대강 사업과 같은 시행착오를 겪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믿는다. 정부가 더 이상 정치적 목적에 의해 불필요한 논란을 증폭시키지 말 것을 촉구한다.
2013년 2월 7일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이시재 ․ 장재연 ․ 지영선 사무총장 염형철
※ 문의 : 환경연합 한숙영 미디어홍보팀장 (010-4332-4758, sugar@kfem.or.kr)
염형철 사무총장 (010-3333-3436, yumhc@kfem.or.kr)
[성명서]태국물관리사업수주관련(20130207).hwp
지구의 벗 환경운동연합 www.kfem.or.kr
(110-806)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251번지 ▪ 전화 02)735-7000 ▪ 팩스 02)730-1240
성 명 서 (총 1매)
환경단체, 태국 물관리 사업 수주 반대한 적 없어
4대강 사업 추진세력들의 환경단체 공격 여론 몰이는 정치적 꼼수
이명박대통령으로부터 시작한 ‘환경단체 4대강 수출 반대’ 비난이 총리실을 거쳐, 심명필 전 4대강 사업추진본부장, 국토부 오늘자(2. 6.) 보도자료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그러면서 환경단체들이 어떤 활동을 반대했는지에 대한 구체적 적시도 없이, 국익에 반하는 심각한 행위를 한 것처럼 부풀리고 있다.
결론적으로 환경단체들은 태국의 물관리 사업에 한국 기업이 참여하는 것을 반대한 적이 없으며, 연관된 대외 활동을 한 적도 없다. 또한 정부 기관으로부터 어떤 활동을 했는지 문의 받은 바 없고, 우리가 무슨 활동을 했다고 밝힌 바도 없다. 그럼에도 앞뒤 없이 여론몰이에 나서는 것은 4대강 사업 실패 책임을 져야한 세력들이 반대 활동을 해왔던 환경단체들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조성하기 위한 작업으로 보인다.
정부가 반대활동이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지난 12월 환경연합 국제연대 활동가가 태국을 방문해 태국의 환경단체를 만나고 방송 인터뷰에 한 차례 응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태국 단체와의 만남은 태국 사업의 실상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태국 단체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서 이뤄졌으며, 이와 함께 환경연합이 생각하는 4대강사업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기 위해서였다. 인터뷰 내용 역시 ‘사업 추진에 앞서 정확한 내용의 공개가 필요하다’는 원론적 수준이었다. 환경문제는 국경을 넘는 일이 많기 때문에 국제 연대가 활발한 분야고, 위와 같은 협의는 환경 단체들 사이에서 일상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정도를 국가에 반하는 일을 한 것처럼 비난하는 것은 터무니없다.
환경연합이 태국 물관리 사업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정부가 4대강 사업을 성공한 사례라고 주장하며 수출하겠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4대강에서와 같은 생태 파괴와 예산 낭비가 있어서는 안 되고, 무엇보다 이명박 정부가 ‘4대강 사업 수출’이라는 정치적 목적을 위해 아랍에미리트 원전 수주 처럼 ‘한국 국민에게 막대한 부담을 가져오는 이면 계약’을 맺을까 우려해서다.
환경운동연합은 청와대, 국무총리실, 국토부에 확인을 요청한다. 환경단체의 어떤 활동이 문제였는가? 도대체 어느 부분이 외교적 결례고, 반국가적인가? 비난에 앞서 사실을 공개하라. 내용도 없이 계속해서 시비하는 것은 당당한 태도가 아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미 밝혔던 바와 같이 ‘태국의 물관리가 성공해야 하고, 한국의 4대강 사업과 같은 시행착오를 겪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믿는다. 정부가 더 이상 정치적 목적에 의해 불필요한 논란을 증폭시키지 말 것을 촉구한다.
2013년 2월 7일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이시재 ․ 장재연 ․ 지영선 사무총장 염형철
※ 문의 : 환경연합 한숙영 미디어홍보팀장 (010-4332-4758, sugar@kfem.or.kr)
염형철 사무총장 (010-3333-3436, yumhc@kfem.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