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하천


우리가 마시고 이용하는 것을 비롯해 많은 생물들의 터전이 되는 물은 이 땅에 흐르는 강에서 비롯됩니다.

댐, 보와 같은 각종 구조물의 건설과 오염물질 방류 등 인간의 과도한 착취로 우리 강은 오염되고 메말라가고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용대상으로서의 강을 넘어 생명의 근원으로서의 강을 지키고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해 강 복원 활동에 힘쓰고 있습니다.





물·하천 


우리가 마시고 이용하는 것을 비롯해 많은 생물들의 터전이 되는 물은 이 땅에 흐르는 강에서 비롯됩니다. 댐, 보와 같은 각종 구조물의 건설과 오염물질 방류 등 인간의 과도한 착취로 우리 강은 오염되고 메말라가고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이용대상으로서의 강을 넘어 생명의 근원으로서의 강을 지키고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기 위해 강 복원 활동에 힘쓰고 있습니다.

물·하천토론회_금강유역 물관리의 현안과 미래 비전

안숙희 생태보전팀 팀장
2025-04-07
조회수 233


<4대강 권역별 찾아가는 토론회>

금강유역 물관리의 현안과 미래 비전

 

환경부가 ‘기후대응’이라는 명분으로 발표한 댐계획은 주민들과 환경단체의 반발, 정치권과 학계의 비판에 직면하여 일단 일부 댐의 건설을 일단 보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을 수립하며 댐후보지와 댐후보지(안)으로 분류해 신규댐을 위한 후속 절차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댐건설 예정지역의 주민들의 항의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랜 물정책 혁신과정을 거치면서 댐건설장기계획이 폐지되고 댐관련 정부 정책이 새로운 전환을 시작하는 듯 했으나 갑작스럽게 기후대응댐이 발표되었습니다. 이는 일부 관계자의 정책적 소신이나 철학에서 기인한다기보다 그동안 숨죽이고 있던 19세기식 개발주의가 다시 고개를 든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 맥락에서 이번 댐건설계획은 새로운 제안이 아니라 그동안 타당성이 부족해 포기되거나 폐기된 사업들을 기후대응이라는 명분아래 패키지로 재포장한 것이라는 평가도 있습니다. 물정책을 바로 세우고 잘못된 물정책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개별 댐 후보지별 철저한 평가와 검증이 필요합니다. 동시에 왜 이러한 사업들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구조적, 정책적 배경에 대한 성찰도 요구됩니다.

이에 우리는 환경부의 댐건설계획을 객관적이고 전문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연구진, 시민단체,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이 자리에서 환경부의 정책을 점검하고 실질실적인 대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개요>

⦁주최 : 금강유역환경회의, 기후변화행동연구소, 대한하천학회, 물개혁포럼, 보철거를위한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 지천댐반대대책위원회, 지천댐반대부여군대책위원회, 환경운동연합

⦁주관 : 기후대응물정책연구단

⦁일시 : 4월 9일(수) 13시

⦁장소 : 청양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충남 청양군 청양읍 문화예술로 187)

⦁대상 : 시민, 활동가, 전문가


<세부프로그램>


⦁발제1 | 금강유역수자원관리계획에 대한 검토와 평가: 최동진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소장

⦁발제2 | 환경부가 계획한 신규댐의 타당성 평가- 지천댐을 중심으로: 백경오 한경대학교 교수


⦁좌 장 | 허재영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상임회장


⦁토론1 | 박창근 가톨릭관동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토론2 | 유진수 금강유역환경회의 사무처장

⦁토론3 | 임도훈 보철거를위한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 상황실장

⦁토론4 | 김명숙 지천댐반대대책위원회 공동대책위원장

⦁토론5 | 윤봉구 지천댐반대부여군대책위원회 집행위원장


문의 : 생태보전팀 02-735-7000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사장 : 노진철

고유번호 : 275-82-00406
대표전화 : 02-735-7000

Fax : 02-735-7020
주소 : 03039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2층(누하동)

대표 메일 : web@kfem.or.kr
후원 : 우리은행 1005-801-085917

(예금주 :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후원하기
공익제보(국민인권익위)
국세청
사이트맵 열기



Copyright © 2022. KFE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