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연대


푸른 지구는 하나의 환경공동체입니다.

환경운동연합은 기후변화·생물 다양성 감소·사막화 등

전 인류가 공동으로 안고 있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UN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의 특별협의지위를 통해

유엔 내의 다양한 활동은 물론 지구의 벗 한국으로서 지구시민과 연대하고 있습니다





국제연대 


푸른 지구는 하나의 환경공동체입니다.

환경운동연합은 기후변화·생물 다양성 감소·사막화 등 전 인류가 공동으로 안고 있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UN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의 특별협의지위를 통해 유엔 내의 다양한 활동은 물론 지구의 벗 한국으로서 지구시민과 연대하고 있습니다

성명서·보도자료[논평]환경파괴가 악화시킨 동남아시아 지진과 해일 재앙

admin
2004-12-29
조회수 875

환경파괴가 악화시킨 동남아시아 지진과 해일 재앙
– 무분별한 개발에 대한 자연의 경고에 전 지구적 차원의 대처가 시급하다 –

지난 26일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인근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과 해일로 동남아시아는 물론 남
아시아와 아프리카 동부연안 등 인도양 전역을 휩쓰는 사상 최악의 재앙이 발생하여, 로이터통신
에 의하면 12월 29일 현재 사망자만 6만여명을 초과하였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번 사태로 인한 희생자에게 깊은 조의를 표한다. 또한 우리는 이번 참사를 지
켜보면서 이번 재앙이 단순한 자연재해 탓으로만 돌릴 수 없음에 주목한다. 지구 온난화와 이에
따른 해수면 상승, 해일 피해를 막아줄 수 있는 산호초와 해안습지 파괴, 도로와 새우 양식장,
관광 휴양시설 건설 등 무분별한 해안지역 개발이 이번 피해를 악화시켰기 때문이다.

환경운동연합은 자연환경의 무분별한 파괴로 인해 악화된 이번 참사를 교훈으로 삼아, 우리 사회
도 지진이나 해일 등의 자연재해에 대비할 방안을 점검하고, 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
호할 수 있는 근본 대책을 강구해야 함을 지적한다. 특히, 자연재해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갯벌
과 사구를 비롯한 해안습지를 보전해야 하며, 해안과 인근 지역의 무분별한 개발을 막아야 한
다.

이미 우리사회는 지난해 태풍 ‘매미’에 의해 발생한 해일로 마산지역에서만 18명이 참사를 당
한 경험이 있다. 이 사태 역시 과도한 마산만 매립이 태풍의 해일 피해를 악화시킨 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상황이다. 자연재해 이후의 대책도 중요하지만 자연환경의 무분별한 파괴와 개발
을 사전에 막아내는 것도 재해 대책의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환경연합은 정부의 핵
발전소와 핵폐기장 추진 정책의 위험성을 다시 한번 지적한다. 지난 5월 핵발전소가 5기나 가동
중인 경북 울진에서 진도 5.2의 강진을 포함해 세 차례의 지진이 발생했으며, 우리나라 핵발전소
의 절반 이상이 모여 있는 월성, 영광, 경주, 포항, 대구를 잇는 벨트에 강진이 지난해부터 집중
적으로 발생하여 핵발전소 인근 주민들과 국민들의 불안은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내년 2월부터는 38개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을 규정한 교토의정서가 발효되어 이산화탄
소 등의 배출이 줄어들 예정이다. 세계에서 9번째로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는 우리나라
도 지구 환경을 지키기 위한 세계적 추세에 발맞추어야 하며,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보급을 위한 구체적 정책을 펴야 한다.

환경연합은 다시 한번 수십만의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깊은 슬픔과 애도를 표하며, 하루 빨리 사
태를 수습할 수 있도록 현지의 환경단체들과 긴밀히 연락하고 있다. 또한 피해주민들에게 물과
식량, 의약품, 주거 등을 지원하기 위한 모금운동을 한국의 다른 시민사회단체들과 함께 시작한
다. 졸지에 사랑하는 가족과 삶의 터전을 잃어버리고 부상당한 상태에서 고통 받고 있는 이들의
아픔을 함께 나누기 위해 온 국민이 발 벗고 나서기를 간절히 호소하며, 정부도 원조 규모를 대
폭 늘려 피해 지역 복구를 실질적으로 도울 수 있기를 촉구한다.

2004년 12월 29일

환경운동연합

[문의 : 국제연대국 마용운 부장 / 02-735-7000 / 016-260-2361 / ma@kfem.or.kr

녹색대안국 이승화 간사 / 011-9083-3968 / leesoo@kfem.or.kr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사장 : 노진철

고유번호 : 275-82-00406
대표전화 : 02-735-7000

Fax : 02-735-7020
주소 : 03039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2층(누하동)

대표 메일 : web@kfem.or.kr
후원 : 우리은행 1005-801-085917

(예금주 :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후원하기
공익제보(국민인권익위)
국세청
사이트맵 열기



Copyright © 2022. KFE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