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연대


푸른 지구는 하나의 환경공동체입니다.

환경운동연합은 기후변화·생물 다양성 감소·사막화 등

전 인류가 공동으로 안고 있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UN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의 특별협의지위를 통해

유엔 내의 다양한 활동은 물론 지구의 벗 한국으로서 지구시민과 연대하고 있습니다





국제연대 


푸른 지구는 하나의 환경공동체입니다.

환경운동연합은 기후변화·생물 다양성 감소·사막화 등 전 인류가 공동으로 안고 있는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UN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의 특별협의지위를 통해 유엔 내의 다양한 활동은 물론 지구의 벗 한국으로서 지구시민과 연대하고 있습니다

국제연대[기업과인권네트워크 포럼] 밖에서 새고있는 우리집 바가지_7/1,8,15,22,29(목) 오후7시

admin
2021-06-18
조회수 694


기업과 인권 네트워크 2021 포럼

밖에서 새고 있는 우리집 바가지

 

우리 나라 기업이 미얀마에서 쿠데타를 일으키고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시민들을 탄압하는 군부와 연루되어 있다는 소식은 큰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사실 한국 기업들은 미얀마 외에도 세계 각지에 진출하여 사업 및 투자 과정에서 다양한 인권 침해에 연루되어 있습니다. 오랫동안 해외진출 한국기업의 문제에 대응해온 기업과인권 네트워크에서는 기업과 인권 문제에 대해 소개하는 대중 강좌를 기획하였습니다. 본 포럼을 통해 기업과 인권이 무엇인지, 한국 기업이 해외에서 야기한 여러 인권침해 문제들과 네트워크를 통해 진행해온 옹호 사례에 대해 자세하게 소개하고 추후의 옹호활동과 연대를 모색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일시: 2021년 7월 매주 목요일 (1일, 8일, 15일, 22일, 29일, 총 5회) 오후 7시- 8시 30분 (줌으로 진행, 1시간 강의 후 30분 질의 응답)
◼대상: 해당 분야의 활동가, 관심있는 학생 (로스쿨, 대학원생 등) 포함 모든 시민
◼온라인 줌 강의: 사전신청을 해주신 분들에게 접속가능한 링크를 드립니다. https://forms.gle/VMzsRZaeLqjhcebK8
◼수료증 발법 : 5강 모두 수료하신 분께는 수료증을 발급해드립니다.
◼주최: 기업과인권네트워크
◼문의: 기업과인권네트워크 사무국 (ktncwatch@gmail.com, 02-3478-0529)

 

프로그램

회차 주제 발표자
1회

2021년 7월 1일

다국적기업과 민주주의

“미얀마와 포스코 그리고…”

미얀마에서 가스전을 운영하며 군부의 자금을 제공하는 것으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는 포스코가 인권침해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게 된 사연을 소개한다.

나현필 (국제민주연대)
2회

2021년 7월 8일

기업과 인권 개괄

“이것만 알면 나도 기업과 인권 전문가”

-다국적 기업 인권침해에 대한 초국적 대응은 가능한가? 한국 가습기살균제참사와 라오스 댐붕괴참사 사이 (황필규)

-UNGP? OECD Guidelines? Human Rights Due Diligence? 기업과 인권 국제 기준의 현주소 (김동현)

다국적기업의 인권침해에 대한 다양한 국내외적, 사법/비사법적 대응방법을 개관하고 핵심 국제기준의 의미와 그 내용을 개관한다.

김동현 (희망을만드는법) 황필규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3회

2021년 7월 15일

환경과 다국적기업

“한국 기업이 파괴한 숲은 돌아오지 않는다.”

환경 파괴에서의 기업의 역할에 대해 인도네시아 팜유 농장 개발로 인한 생태계 및 현지 주민 인권침해 사안을 통해 자세히 살펴본다.

김혜린

(환경운동연합)

 

4회

2021년 7월 22일

아동 인권과 다국적기업

“우리가 쓰는 지폐가 아동노동 착취에 의한 것이라고요?”

기나긴 공급망의 끝에서 발생하고 있는 아동 노동과 한국기업, 한국 사회와의 연결고리를 찾아본다.

김종철

(공익법센터 어필)

 

5회

2021년 7월 29일

다국적기업과 노동조합의 대응

“집에서 새는 바가지 밖에서도 샌다”

베트남, 필리핀, 멕시코, 온두라스, 과테말라… 한국기업이 진출한 곳에 노동자들 인권 침해가 있다. 한국기업에 의한 노동권 침해 사례들과 이에 대한 대응을 소개한다.

류미경 (민주노총)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사장 : 노진철

고유번호 : 275-82-00406
대표전화 : 02-735-7000

Fax : 02-735-7020
주소 : 03039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2층(누하동)

대표 메일 : web@kfem.or.kr
후원 : 우리은행 1005-801-085917

(예금주 :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후원하기
공익제보(국민인권익위)
국세청
사이트맵 열기



Copyright © 2022. KFE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