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4월11일|총 5매|여성위원회 담당 명형남 부장
(010-9969-8481/myunghn@kfem.or.kr)

-‘일회용 비닐봉투, 왜 줄어들지 않는
가?’토론회 개최 –
환경부․업체․지자체․시
민단체가 모여 일회용 비닐봉투를 줄이기 위해 논의
● 일시 : 2005년 4월 12일(화) 오후 2시
● 장소 : 환경재단 기자회견장 (프레스센타 7층)
|
○ 서울환경연합 여성위원회는 1999년부터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을 줄이고자 ‘지구를 살리는 장바구니’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장바구니 든 당신
이 아름답습니다’라는 슬로건 하에 다양한 캠페인과 감시활동, ‘장바구니 인센티브제(50원 할
인)’ 제도 제안을 통해 현대백화점․롯데백화점․신세계백화점․이마트․
롯데마트․농협하나로 클럽에 장바구니 인센티브제를 도입하는 등 일회용 비닐봉투를 줄여
가기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습니다.
○ 환경부는 일회용 비닐봉투와 쇼핑백의 사용을 줄이기 위
해 2002년 286개 대형유통업체와 ‘자율실천선언’이라는 협약을 맺었습니다. 이 협약을 통해 일
회용비닐봉투를 50원으로 유상판매하고, 유상판매대금의 사용내역을 반기별로 홈페이지에 공개하
기로 하였습니다. 최근 환경부는 자율실천선언을 실시하고 있는 업체의 비닐봉투 사용이 줄었다
고 발표하였습니다. 하지만, 본 연합 여성위원회의 현장출구조사 결과 자율실천선언을 맺은 대형
백화점과 유통업체의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량은 어느 정도 줄었지만,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의 사
각지대인 동대문과 남대문 시장일대, 약국, 서점 등에서는 여전히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량이 증
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유상판매대금 공개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습
니다. 이에 서울환경연합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을 줄이는 실질적인 방안
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적극적인 관심과 취재를 부탁합니다.
# 아래 : 토론회 순서 1장, 일회용비닐봉투 현장출구조사 결과 요약 3장
2005년 4월 11일
서울환경연합
* 담당 : 여성위원회 담당 명형남 부장 (010-9969-8481), 사무처장 양장일(011-
733-2420)
[토론회 순서]
1. 일 시
2005년 4월 12일 화요일 오후 2시-4시
2. 장 소
시청 프레스 센타 7층 환경재단 기자회견장 (레이첼 카슨룸)
3. 내용 및 순서 ————— 사
회 : 서울환경연합 양장일 사무처장
▶ 토론회 취지 및 인사말 —— 서울환경연합 공동의장 구
희숙
▶ 기조발제 : 오후 2:00-2:45 (각 15분 정도 발제)
– 일회용품 사용 규제 정책 현황 : 일회용 봉투 쇼핑백을 중
심으로
(환경부 폐기물정책과 김성봉 과장)
– 일회용 비닐봉투를 줄이기 위한 업체의 사례
(코스트코 양재점 홍동원 점장)
– 일회용 비닐봉투를 줄이기 위한 시민단체 제안
(서울환경연합 여성위원회 문수정 위원장)
▶ tea break 오후 2:45-3:00
▶ 지정토론 : 오후 3:00-3:20 (각 5분 정도 발제)
– 현대백화점 본사 양명성 과장
– 강북구청 유영채 재활용 팀장
– 쓰레기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운동 협의회(쓰시협) 강민정 팀
장
– 천안아산 환경연합 오승화 부장
▶ 종합토론 및 정리: 오후 3:20-4:00
[일회용비닐봉투 현장출구조사 결과요약]
1. 조사개요
1) 조사일시 : 2005년 3월14일 ~3월 31일 (오후 3시~5시 시
간대)
2) 조사범위 : 백화점 및 할인업체 13곳
&n
bsp;동대문, 남대문 대형의류 매장 및 시장일대
3) 조사방법 : 현장출구조사,
&n
bsp;각 업체 홈페이지를 통해 유상판매사용내역 조사
2. 조사결과
○ 백화점․유통업체 이용 시민 58%
가 일회용비닐봉투 사용안해
자율실천선언을 맺은 주요업체 13곳의 매장 출구 조사결과 장
바구니 드는 비율은 아래 <표1>에서 보듯이 30%로 기타 (재활용 종이상자, 재사용봉투, 차에 싣기)
29%까지 합하면 59%가 일회용 비닐봉투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1> 백화점 및 할인업체 13곳 현
장출구조사 결과

○ 장바구니 인센티브제, 실질적으로 비
닐봉투 사용을 줄여
또한 <표2>에서 장바구니를 들고 오는 고객에게 50원
할인(인센티브제)을 하는 업체와 실시하지 않은 업체를 비교해서 볼 때 50원 현금할인을 하는 업
체의 장바구니 드는 비율이 33%로 실시하지 않는 업체에 비해 11%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3>에서는 장바구니 개당 50원을 할인해주는 업체와 하나만 할인해주는 업체 또한 10%
정도의 장바구니 드는 비율의 차이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를 통해 볼 때 장바구니를 들고 오는 고
객에게 현금으로 할인하는 것이 장바구니를 들기를 권장하고 결국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을 줄이
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표2> 장바구니 50원 할인 실시 대
비 미실시 마트별 비교

<표3> 1개만 장바구니 50원 할인
실시 대비 개당 실시 비교

○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 사각지대인 동
대문, 남대문 대형의류 매장 및 시장일대 및 동네가게들
대형의류 매장 중 대표적인 밀리오레․두타, 대형 재래
시장일대의 경우 일회용 비닐봉투 유상판매를 전혀 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또한 동네약국과 비디
오방, 제과점등 형식적으로 저금통을 가져다 놓고 구색만 갖추고 있는 등 여전히 일회용 비닐봉
투의 사각지대로 남겨져 있는 상황입니다.
○ 유상판매대금 사용내역 공개조차 제대
로 이루어지지 않아
자율실천선언에 보면 업체에서는 유상판매대금 사용내역(환불
되지 않은 일회용 비닐봉투 판매금액)을 반기별로 공개하기로 되어있습니다. 이에 대해 주요업체
의 공개내역을 서울환경연합 여성위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표4>와 같이 잘 지켜지지 않
고 있을뿐더러 일부 업체에서는 공개하더라도 사용내역의 금액이 서로 맞지 않는 등 형식적인 수
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4> 유상판매대금 홈페이지 공개
내역
공개한 업체
| 롯데백화점, 농협
|
공개해도 찾기 어려움
| 월마트
|
공개하지 않음
| 신세계 백화점, 현대백화점, 롯데마트, 이마트, LG백화점
|
내역 정리조차 안된 업체
| 까르푸
|
○ 조사결론 및 제안
최근 환경부에서 자율실천선언의 사용내역을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01년 일회용 봉투 구매율이 1000명당 486명에서 2004년 240명으로 줄었고 장바구니 이
용고객에 대한 현금할인도 증가하였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여성위원회에서 대형 백화점과 할인업
체의 현장출구조사 결과에서도 2002년에 비해 장바구니 사용률이 30%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
습니다.(재활용 종이상자, 재사용
봉투, 차에 싣기 등 기타포함).
그러나 일회용 비닐봉투의 사각지대인 대형의류매장과 시장
이 밀집해 있는 동대문과 남대문 일대의 경우와 동네 약국․서점․비디오 가게․
제과점 등의 경우 유상판매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지자체의 단속조차 솜방망이 수준에 지나
지 않아 여전히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량은 줄어들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자율실천선언 협약을 맺은 대형 업체들조차 유상판매대
금의 사용내역을 제대로 공개하고 있지 않고 있었으며, 공개하더라도 그 사용내역이 일회용 비닐
봉투의 사용을 줄이기 위한 원래의 취지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2005년 4월11일|총 5매|여성위원회 담당 명형남 부장
(010-9969-8481/myunghn@kfem.or.kr)
-‘일회용 비닐봉투, 왜 줄어들지 않는
가?’토론회 개최 –
환경부․업체․지자체․시
민단체가 모여 일회용 비닐봉투를 줄이기 위해 논의
● 일시 : 2005년 4월 12일(화) 오후 2시
● 장소 : 환경재단 기자회견장 (프레스센타 7층)
○ 서울환경연합 여성위원회는 1999년부터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을 줄이고자 ‘지구를 살리는 장바구니’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장바구니 든 당신
이 아름답습니다’라는 슬로건 하에 다양한 캠페인과 감시활동, ‘장바구니 인센티브제(50원 할
인)’ 제도 제안을 통해 현대백화점․롯데백화점․신세계백화점․이마트․
롯데마트․농협하나로 클럽에 장바구니 인센티브제를 도입하는 등 일회용 비닐봉투를 줄여
가기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습니다.
○ 환경부는 일회용 비닐봉투와 쇼핑백의 사용을 줄이기 위
해 2002년 286개 대형유통업체와 ‘자율실천선언’이라는 협약을 맺었습니다. 이 협약을 통해 일
회용비닐봉투를 50원으로 유상판매하고, 유상판매대금의 사용내역을 반기별로 홈페이지에 공개하
기로 하였습니다. 최근 환경부는 자율실천선언을 실시하고 있는 업체의 비닐봉투 사용이 줄었다
고 발표하였습니다. 하지만, 본 연합 여성위원회의 현장출구조사 결과 자율실천선언을 맺은 대형
백화점과 유통업체의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량은 어느 정도 줄었지만,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의 사
각지대인 동대문과 남대문 시장일대, 약국, 서점 등에서는 여전히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량이 증
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유상판매대금 공개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습
니다. 이에 서울환경연합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을 줄이는 실질적인 방안
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적극적인 관심과 취재를 부탁합니다.
# 아래 : 토론회 순서 1장, 일회용비닐봉투 현장출구조사 결과 요약 3장
2005년 4월 11일
서울환경연합
* 담당 : 여성위원회 담당 명형남 부장 (010-9969-8481), 사무처장 양장일(011-
733-2420)
[토론회 순서]
1. 일 시
2005년 4월 12일 화요일 오후 2시-4시
2. 장 소
시청 프레스 센타 7층 환경재단 기자회견장 (레이첼 카슨룸)
3. 내용 및 순서 ————— 사
회 : 서울환경연합 양장일 사무처장
▶ 토론회 취지 및 인사말 —— 서울환경연합 공동의장 구
희숙
▶ 기조발제 : 오후 2:00-2:45 (각 15분 정도 발제)
– 일회용품 사용 규제 정책 현황 : 일회용 봉투 쇼핑백을 중
심으로
(환경부 폐기물정책과 김성봉 과장)
– 일회용 비닐봉투를 줄이기 위한 업체의 사례
(코스트코 양재점 홍동원 점장)
– 일회용 비닐봉투를 줄이기 위한 시민단체 제안
(서울환경연합 여성위원회 문수정 위원장)
▶ tea break 오후 2:45-3:00
▶ 지정토론 : 오후 3:00-3:20 (각 5분 정도 발제)
– 현대백화점 본사 양명성 과장
– 강북구청 유영채 재활용 팀장
– 쓰레기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운동 협의회(쓰시협) 강민정 팀
장
– 천안아산 환경연합 오승화 부장
▶ 종합토론 및 정리: 오후 3:20-4:00
[일회용비닐봉투 현장출구조사 결과요약]
1. 조사개요
1) 조사일시 : 2005년 3월14일 ~3월 31일 (오후 3시~5시 시
간대)
2) 조사범위 : 백화점 및 할인업체 13곳
&n
bsp;동대문, 남대문 대형의류 매장 및 시장일대
3) 조사방법 : 현장출구조사,
&n
bsp;각 업체 홈페이지를 통해 유상판매사용내역 조사
2. 조사결과
○ 백화점․유통업체 이용 시민 58%
가 일회용비닐봉투 사용안해
자율실천선언을 맺은 주요업체 13곳의 매장 출구 조사결과 장
바구니 드는 비율은 아래 <표1>에서 보듯이 30%로 기타 (재활용 종이상자, 재사용봉투, 차에 싣기)
29%까지 합하면 59%가 일회용 비닐봉투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1> 백화점 및 할인업체 13곳 현
장출구조사 결과
○ 장바구니 인센티브제, 실질적으로 비
닐봉투 사용을 줄여
또한 <표2>에서 장바구니를 들고 오는 고객에게 50원
할인(인센티브제)을 하는 업체와 실시하지 않은 업체를 비교해서 볼 때 50원 현금할인을 하는 업
체의 장바구니 드는 비율이 33%로 실시하지 않는 업체에 비해 11%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3>에서는 장바구니 개당 50원을 할인해주는 업체와 하나만 할인해주는 업체 또한 10%
정도의 장바구니 드는 비율의 차이를 보여주었습니다. 이를 통해 볼 때 장바구니를 들고 오는 고
객에게 현금으로 할인하는 것이 장바구니를 들기를 권장하고 결국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을 줄이
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표2> 장바구니 50원 할인 실시 대
비 미실시 마트별 비교
<표3> 1개만 장바구니 50원 할인
실시 대비 개당 실시 비교
○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 사각지대인 동
대문, 남대문 대형의류 매장 및 시장일대 및 동네가게들
대형의류 매장 중 대표적인 밀리오레․두타, 대형 재래
시장일대의 경우 일회용 비닐봉투 유상판매를 전혀 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또한 동네약국과 비디
오방, 제과점등 형식적으로 저금통을 가져다 놓고 구색만 갖추고 있는 등 여전히 일회용 비닐봉
투의 사각지대로 남겨져 있는 상황입니다.
○ 유상판매대금 사용내역 공개조차 제대
로 이루어지지 않아
자율실천선언에 보면 업체에서는 유상판매대금 사용내역(환불
되지 않은 일회용 비닐봉투 판매금액)을 반기별로 공개하기로 되어있습니다. 이에 대해 주요업체
의 공개내역을 서울환경연합 여성위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표4>와 같이 잘 지켜지지 않
고 있을뿐더러 일부 업체에서는 공개하더라도 사용내역의 금액이 서로 맞지 않는 등 형식적인 수
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표4> 유상판매대금 홈페이지 공개
내역
공개한 업체
롯데백화점, 농협
공개해도 찾기 어려움
월마트
공개하지 않음
신세계 백화점, 현대백화점, 롯데마트, 이마트, LG백화점
내역 정리조차 안된 업체
까르푸
○ 조사결론 및 제안
최근 환경부에서 자율실천선언의 사용내역을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01년 일회용 봉투 구매율이 1000명당 486명에서 2004년 240명으로 줄었고 장바구니 이
용고객에 대한 현금할인도 증가하였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여성위원회에서 대형 백화점과 할인업
체의 현장출구조사 결과에서도 2002년에 비해 장바구니 사용률이 30%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
습니다.(재활용 종이상자, 재사용
봉투, 차에 싣기 등 기타포함).
그러나 일회용 비닐봉투의 사각지대인 대형의류매장과 시장
이 밀집해 있는 동대문과 남대문 일대의 경우와 동네 약국․서점․비디오 가게․
제과점 등의 경우 유상판매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지자체의 단속조차 솜방망이 수준에 지나
지 않아 여전히 일회용 비닐봉투 사용량은 줄어들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자율실천선언 협약을 맺은 대형 업체들조차 유상판매대
금의 사용내역을 제대로 공개하고 있지 않고 있었으며, 공개하더라도 그 사용내역이 일회용 비닐
봉투의 사용을 줄이기 위한 원래의 취지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