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순환


버려지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사용된 모든 자원들이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인류가 발전하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이 지구를 뒤덮고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폐기물이 함부로 버려지지 않고 새로운 자원으로 태어날 수 있는 사회를 위해 노력하며,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 사회를 이루기 위해 활동하고 있습니다.





자원순환


버려지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사용된 모든 자원들이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인류가 발전하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이 지구를 뒤덮고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폐기물이 함부로 버려지지 않고 새로운 자원으로 태어날 수 있는 사회를 위해 노력하며,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 사회를 이루기 위해 활동하고 있습니다.

자원순환[칼럼] 쓰레기, 근본 원인은 너무 많이 버리는 것

admin
2002-04-30
조회수 5072

환경문제는 자원과
오염의 문제이다. 우리는 자연을 변화, 개조시켜 상품을 생산하고,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소비한 뒤, 욕망의 찌꺼기인 쓰레기를 버린다.
너무 많이 만들어서 너무 많이 쓰고 너무 많이 버리는 데서 생겨나는
문제가 바로 환경문제이다. 너무 많이 생산하는 데서 생겨나는 문제가
자원의 문제이고, 너무 많이 쓰레기를 버리는 데서 생겨나는 문제가
오염의 문제인 것이다.
현대사회를 특징지우는 ‘쓰고 버리는 사회’는 지구 생태계가 자원을
무한히 제공할 것이고, 사용한 뒤 버려지는 쓰레기를 무한히 받아들일
수 있다는 믿음에 근거한다. 그러나 이 믿음은 허황된 꿈으로 밝혀졌고
이제는 누구도 이를 믿지 않는다. 산업혁명을 통하여 이룩한 성과는
인류에게 한편으로는 어느 때보다도 풍요로운 사회를 향위하게 한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에게 환경문제라는 새로운 난제를 던져주었다.
본래 자연계에는 쓰레기가 없었다. 물론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종은
생존과정에서 쓰레기를 배설하지만 이 쓰레기는 생태계의 균형에 의해서
항상 평형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수천, 수만 종의
자원을 사용하여 온갖 종류의 상품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쓰레기를 배설하고 있다.
자연은 이제 더 이상 쓰레기를 받아들여 스스로 정화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했다. 풍요로운 삶을 누리기 위해 진보에 대한 확신 속에서 앞만
보고 달려온 결과 쾌적한 삶의 질이라는 이상을 쓰레기더미 속에 파묻어야
할 지경에 이르렀다.
이제 우리는 전체적인 환경위기와 연결하여 쓰레기문제를 우리자신의
문제로 돌아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모든 환경문제는 쓰레기 문제로 환원될 수 있다. 쓰레기는 쓸모 있는
것을 사용하고 난 뒤 쓸데없이 되어서 버리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다.
수질오염은 공장이나 가정에서 깨끗한 물을 사용한 뒤 나오는 쓸모
없는 공장폐수나 생활하수등의 쓰레기물이 원인이 되어서 생기는 오염이다.
공장에서 기계를 움직이고 자동차를 움직이려면 동력이 필요하다. 동력으로
석유, 석탄등의 연료가 사용되고 난 뒤에는 반드시 쓸모 없는 것이
공장 굴뚝이나 자동차 배기통으로 대기 중에 배출된다. 이때 생기는
문제가 바로 대기 오염이다. 해충을 잡기 위해 뿌린 농약이 잘 씻어지지
않은 채 과일이나 채소에 묻어 식탁에 올라오면 식품오염이고, 농작물을
잘 자라게 하기 위해 뿌린 비료가 쓸데없이 토양에 남게되면 그것이
바로 토양오염이다. 한마디로 오염은 쓸데없는 것이 일으키는 문제다.
그러므로 모든 오염의 문제는 쓰레기 문제라 할 수 있다. 이 문제의
해결은 곧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열쇠가 될 수 있다.
해답은 간단하다. 쓰레기 문제를 일으키는 근본적인 원인이 너무 많이
버리는데 있기 때문에 버리는 것을 줄여야 한다. 사용하고 난 뒤에는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쓸데없는 것이 나오기 때문이다. 소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리의 삶의 방식을 바꿔야한다. 너무 많은 쓰레기를
버리는 이제까지의 생활습관을 버리지 않는 한 어떠한 쓰레기 처리
방법을 생각해 낼지라도 우리는 결코 쓰레기를 이길 수 없다.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사장 : 노진철

고유번호 : 275-82-00406
대표전화 : 02-735-7000

Fax : 02-735-7020
주소 : 03039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2층(누하동)

대표 메일 : web@kfem.or.kr
후원 : 우리은행 1005-801-085917

(예금주 :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후원하기
공익제보(국민인권익위)
국세청
사이트맵 열기



Copyright © 2022. KFE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