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순환


버려지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사용된 모든 자원들이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인류가 발전하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이 지구를 뒤덮고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폐기물이 함부로 버려지지 않고 새로운 자원으로 태어날 수 있는 사회를 위해 노력하며,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 사회를 이루기 위해 활동하고 있습니다.





자원순환


버려지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사용된 모든 자원들이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인류가 발전하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이 지구를 뒤덮고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폐기물이 함부로 버려지지 않고 새로운 자원으로 태어날 수 있는 사회를 위해 노력하며,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 사회를 이루기 위해 활동하고 있습니다.

성명서·보도자료환경운동연합, 1회용품 사용 시민 감시활동 “플라스틱 zero” 전국캠페인 돌입

admin
2018-06-28
조회수 4204

1회용품 없는 지방정부, 매장 내 1회용품 사용 시민 감시활동 전개 예정

 

환경운동연합 중앙사무처와 전국 51개 지역환경운동연합은 6월 28일 목요일 오전 11시, 광화문 광장에서 “플라스틱 Zero”를 선언하고, 전국 캠페인을 시작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환경운동연합

황성현 정책국 부장은 캠페인의 취지를 설명하면서 “이번 캠페인은 시민이나 기업만을 대상으로 하는 캠페인이 아닌 새 출발을 앞둔 민선 7기 지방정부에게 일회용품 없는 지방정부 선언 등을 요구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이 “빨대 이제는 뺄때” 캠페인을 시작했으며, 광주환경운동연합은 ‘1회용품 안쓰기 시민 도전단’ 캠페인을 시작했다. 또한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은 수협과 산하 금융기관에서 사용하는 1회용품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수협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당진, 통영거제, 광양, 천안아산, 화성, 광주, 전주, 제주, 창원, 성남환경운동연합 등은 7월 2일 민선7기 지방정부 출범과 더불어 ‘1회용품 없는 지방정부’ 선언을 요구하고 있으며, 전국 51개 지역조직이 함께 “플라스틱 Zero”캠페인에 돌입한다고 설명했다.

ⓒ환경운동연합

최준호 사무총장은 “환경을 지키는 것은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것”이라며, “시민들에게 다소 불편할 수 있지만 일회용컵 사용을 줄이기 위해 텀블러나 머그컵 등의 사용을 부탁드린다”고 주문했다.

7월 2일 새롭게 출발하는 민선 7기 지방정부에는 “일회용품 없는 지방정부 선언”을 요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매장 내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자발적 협약 16개 커피전문점과 5개 패스트 푸드점의 일회용품 사용 감시활동에 동참할 것과 공공기관의 일회용품 감시 활동을 제안했으며, 정기적으로 환경운동연합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운동연합

김춘이 사무부총장은 기자회견문 낭독을 통해 환경운동연합은 정부의 적극적인 규제를 요구했고, 지방정부에는 1회용품 사용하지 않을 것과 더불어 커피전문점 등 매장 내 일회용품 사용에 대한 관리, 감독을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

이들은 기자회견 후 커피전문점으로 이동하여, ‘매장 내 일회용컵 사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라는 몸자보를 등에 붙이고, 매장 내에서 음료를 마시는 모습을 통해 시민들에게 일회용컵 사용 자제를 홍보했다.

캠페인을 진행한 커피전문점은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기업의 매장이다. 매장 내에는 환경부의 안내판 배치되어 있고, 직원이 다회용컵 사용을 물어보았지만, 매장 내에는 일회용 플라스틱컵 사용자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플라스틱 Zero 캠페인의 시민의 참여는 아래 링크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

– 매장 내 일회용품 사용 나쁜 매장 신고는 ‘ bit.ly/cafemoniter

– 일회용품 사용 나쁜 공공기관 신고는 ‘ bit.ly/00moniter

[기자회견문]

환경연합 플라스틱 ZERO 전국 캠페인을 시작한다.

 

7월 3일은 제9회 전세계 1회용 플라스틱 비닐을 사용하지 않는 날(International Plastic Bag Free Day)이다. 1회용 플라스틱·비닐을 단 하루라도 줄여보자는 절박한 심정으로 스페인 한 환경단체에 의해 제안된 이 날은 최근 심각해지는 해양폐기물 문제와 더불어 국내외 환경단체들의 플라스틱 ATTACK 같은 다양한 활동이 준비되고 있다.

환경연합은 오늘(6/28)을 시작으로 51개 지역조직 회원·시민들과 함께 ‘플라스틱 ZERO 캠페인’을 전국적으로 실시한다. 이번 캠페인은 시민 · 기업뿐만 아니라 출범을 앞 둔 민선 7기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진행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7월2일은 민선 7기가 공식 출범하는 날이다. 현재 당진, 통영거제, 광양, 천안아산, 화성, 광주, 전주, 제주, 창원, 성남 환경연합 등은 7월 2일 민선 출범과 더불어 ‘1회용품없는 민선7기 지방정부’ 선언을 요청하였고, 일부 긍정적 답변을 얻고 있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은 1회용 플라스틱 빨대 안 쓰기 캠페인을 시작했으며, 광주환경연합은 7, 8월 ‘1회용품 안쓰기 시민도전단’을 운영할 계획에 있다. 통영거제환경연합은 지역 수협과 그 산하금융기관의 1회용품 사용하지 않겠다는 ‘친환경은행협약’식을 체결할 계획이다.

전세계는 플라스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현재도 분당 백만개의 1회용 비닐백이 사용중이며 유럽에서만도 차량 200만대 무게와 맞먹는 연간 340만톤의 운반용 플라스틱 가방이 생산되고 있다. 이렇게 해서 모인 해양쓰레기의 80%가 플라스틱이다.

한국의 경우 지난 4월 쓰레기 수거 중단 사태를 계기로 2030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 50% 감축 · 70% 재활용을 목표로 한 정부대책이 발표되었다. 대책의 일환으로 대형마트, 커피전문점, 패스트푸드점과의 매장내 일회용품 사용 금지가 ‘자발적 협약’이라는 이름으로 시행중이다. 그러나 협약의 내용을 비웃기라도 하듯 1회용컵은 묻지도 않고 제공되고 매장내 1회용컵은 버젓이 사용되고 있다.

지난 10년간은 어느 분야 못지 않게 ‘환경의 암흑기’였다. 완화된 규제를 통해 만들어진 기업친화적인 정책은 1회용 페트병과 과대 포장지 생산을 부추겼고 인스턴트 문화·배달문화·온라인 쇼핑 문화와 더불어 편리함을 추구해 온 우리는 1회용 컵과 비닐사용에 익숙해졌다.

시민들의 건강을 위해, 건강한 생태계를 위해 정부는 완화된 규제를 다시 대한민국 수용용량에 맞게 법과 제도를 개선하고 시민은 내 생활 깊숙이 스며든 1회용품 사용 자제를 계획할 때가 되었다.

환경연합은 오늘을 시작으로 회원·국내외 시민환경단체들과 함께 1회용 플라스틱 없는 대한민국·지구를 위해 시민인식제고, 커피전문점·패스트푸드 업체의 자발적 이행 모니터링, 법제도 개선 등의 활동을 꾸준히 전개할 계획이다.

환경연합이 정부·지방정부·시민들에게 제안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정부·지방정부 : 1회용품 사용을 저감하는 정책을 강화해야 하며,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는 1회용품 사용 점검에 적극 나서야 한다.

▪ 지방정부 : 7월 2일 민선 7기 지방정부 출범 시 ‘일회용품 없는 지방정부’를 선언해야 한다.

▪ 시민 : 16개 커피전문점, 5개 패스트푸드점 등 환경부와 자발적 협약을 체결한 21개 기업 △ 공공기관 1회용품 사용억제 지침 준수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제보해 주십시오.

일회용컵 사용 보다는 다회용컵 사용에 동참해 주십시오.

2018.6.28

환경운동연합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사장 : 노진철

고유번호 : 275-82-00406
대표전화 : 02-735-7000

Fax : 02-735-7020
주소 : 03039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2층(누하동)

대표 메일 : web@kfem.or.kr
후원 : 우리은행 1005-801-085917

(예금주 :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후원하기
공익제보(국민인권익위)
국세청
사이트맵 열기



Copyright © 2022. KFE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