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순환


버려지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사용된 모든 자원들이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인류가 발전하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이 지구를 뒤덮고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폐기물이 함부로 버려지지 않고 새로운 자원으로 태어날 수 있는 사회를 위해 노력하며,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 사회를 이루기 위해 활동하고 있습니다.





자원순환


버려지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고, 사용된 모든 자원들이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인류가 발전하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이 지구를 뒤덮고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폐기물이 함부로 버려지지 않고 새로운 자원으로 태어날 수 있는 사회를 위해 노력하며,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 사회를 이루기 위해 활동하고 있습니다.

성명서·보도자료플뿌리연대, INC-5 간 한국 정부의 적극 참여를 요구하는 기자간담회 진행

유혜인 자원순환팀 팀장
2024-12-01
조회수 498

[한글]

플뿌리연대,

INC-5 개최국인 한국 정부에 적극 참여를 요구하는 기자간담회 진행


○ 2024년 12월 1일(일), 플뿌리연대는 부산 벡스코 UNEP 미디어룸에서 제5차 정부간 협상위원회(이하 INC-5)가 진행되는 개최국인 한국 정부에 마지막 결정에 있어 생산 감축 옵션이 들어간 협약에 참여할 것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 한국 정부는 그 동안 플라스틱 생산감축 방향으로 가야한다고 언급해왔지만 ‘부산으로 가는 다리’, 파나마와 91개국이 제출한 플라스틱 생산감축 제안서 등 주요 문서에 함께하지 않았다.


○ 플뿌리연대는 기자간담회를 통해 INC-5 중반부 이후로 비공식으로만 회의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협상이 온전히 정부 대표단의 손에만 달린 상황을 지적했다. 또한 한국 정부가 분과회의 내에서의 발언이나 의견서 제출 등 확인 가능한 방법으로는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 성공적인 협약을 판가름할 것은 협약의 내용이다. 한국 정부는 플라스틱 생산국으로서 책임을 다하기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생산 감축을 지지해야 한다. 또한 효과적인 재정 메커니즘 등이 포함된 강력한 협약이 성안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플뿌리연대는 한국 정부가 법적 구속력 있는 강력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 성안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 해주기를 촉구한다.


[성명서] 

각국 정부대표단 손에 달린 플라스틱 오염 종식,

개최국 한국 정부에 강력한 협약 요구한다! 


지난 11월 25일부터 부산 벡스코에서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의 제5차 정부간 협상위원회(이하 INC-5)가 진행 중입니다. 현재 협상은 초반과 달리 회의에 참석한 옵저버의 참관을 배제한 채 철저히 정부 대표단만 참여하는 비공개 회의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 정부는 이번 협상 회의의 개최국이자 우호국연합(High Ambitious Coalition; HAC) 소속국으로서 국제 사회로부터 많은 기대와 주목을 받고 있으나, 생산감축을 포함한 주요 쟁점들에 뚜렷한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플뿌리연대는 강력한 생산감축 목표가 없는 협약은 실패한 협약이라는 점을 한국 정부에게 분명히 전합니다.


한국 정부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을 앞두고 이미 플라스틱 생산감축의 의지를 표명한 바 있습니다. 지난 11월 4일 기자간담회와 28일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김완섭 장관은 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에 있어서 한국 정부 대표단이 플라스틱 생산을 감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11월 25일 INC-5 개회식에 이은 공식 기자회견에서 한민영 외교부 기후환경과학외교국 심의관은 국제 플라스틱 협약은 생산, 소비, 폐기물 관리를 포함한 플라스틱 전 생애 주기를 다뤄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발언과 달리 협상 과정에서 생산감축에 대한 행보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예컨대 한국 정부는 ‘부산으로 가는 다리: 1차 플라스틱 폴리머에 대한 선언(Bridge to Busan: Declaration on Primary Plastic Polymers)’에 동참하지 않았습니다. ‘부산으로 가는 다리’는 1차 플라스틱 폴리머를 포함한 생산 감축을 촉구하며 INC-4 후반부에 발표된 선언문으로, 전 세계 44개 국가가 서명하였습니다. 또한 지난 11월 28일, 파나마와 91개국이 제출한 플라스틱 감축을 지지하는 제안서에 전체 175개 협상국의 과반을 넘는 100여 개국 이상의 국가가 동의하였으나, 여기에서도 한국 정부 이름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생산감축과 더불어 국제 플라스틱 협약의 성패를 판가름할 중요한 요소는 어떤 방식으로 재정을 확보하고, 관리∙분배할 것인가입니다. 이미 120개 이상의 국가가 아프리카 그룹과 라틴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그룹(GRULAC)의 제안서에 지지를 표명하였습니다. 이 문서의 골자는 개발도상국이 협약에 따른 의무를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독립적인 재정 메커니즘을 구축하자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문서를 지지하는 국가 명단에도 한국은 빠져있습니다. 대신 한국은 지구환경기금(GEF)을 활용하자는 미국의 제안서에 동의했습니다. 지구환경기금은 개발도상국 입장에서 접근과 활용이 어렵다는 논란이 있습니다. 


한국의 부재는 문서만이 아니라 협상장 내에서도 확인됩니다. 회의 기간 중 한국정부 대표단의 장관급 참여는 초반 이틀 김완섭 장관 참석을 제외하고 전무합니다. 이번 INC-5는 협약문을 완성하기 위한 최종 협상 단계입니다. 회기 막바지에 이르러 많은 국가의 장관들이 속속 부산에 도착해 협상에 직접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관급의 부재는 한국 정부가 개최국으로서 얼마나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는지 의문이 들게 합니다. 


플뿌리연대는 한국 정부에 요구합니다. 한국 정부는 법적 구속력 있는 강력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 성안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 해주십시오.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할 기념비적인 순간에 부산이 어떻게 기록될지는 협약의 성안 자체보다 협약이 어떤 내용을 담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한국 정부가 협상에 영향력을 행사할 기회는 아직 남아있습니다. 개최국으로서 협약의 핵심 의제를 이끌어가는 모습을 기대하며 지켜보겠습니다.


2024년 12월 1일

그린피스, 기후변화청년단체GEYK,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 녹색연합, 동아시아바다공동체오션,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서울환경연합, 알맹상점, 여성환경연대, 자원순환사회연대, 자원순환시민센터, 환경운동연합, BFFP, GAIA, RELOOP



[영문]

Uproot Plastics

calls on the Korean government to take stronger action for plastics treaty negotiations


○ On December 1, 2024, Uproot Plastics held a press conference at the BEXCO Media Room in Busan, urging the host country, the Korean government, to participate in an agreement that includes production reduction options in the final decision of the 5th Intergovernmental Negotiating Committee (INC-5).


○ While the Korean government has previously expressed support for reducing plastic production, it has not joined key documents, such as the "Bridge to Busan" proposal, and the plastic production reduction proposals submitted by Panama and 91 other countries.


○ Uproot Plastics highlighted during a press conference that negotiations since mid-INC-5 have been conducted solely through informal consultations, placing the process entirely in the hands of government delegations. We are witnessing evidence of a lack of proactive engagement by the Korean government, as seen in their limited actions, such as statements within Contact Groups and documents submitted. Furthermore, there has been no official communication with the government so far, and we are still in the process of INC-5.


○ The success of the agreement will ultimately depend on its content. As a major plastic-producing nation, the Korean government must take a more active stance in supporting production reduction efforts. Further, It is essential that the agreement includes strong financial mechanisms. Korean government should exert all efforts to ensure the creation of a robust, legally binding international plastic agreement.



[Statement]

Ending Plastic Pollution Lies in the Hands of the Delegations: 

A Call to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a Strong Plastics Treaty


Since November 25, the 5th Intergovernmental Negotiating Committee (INC-5) for a Global Plastics Treaty has been taking place at BEXCO in Busan. Unlike earlier stages, the negotiations are now being held behind closed doors, with only government delegations allowed to participate, strictly excluding observers. As the host country of INC-5 and a member of the High Ambition Coalition (HAC), the Republic of Korea is under significant scrutiny and high expectation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owever, the Government has yet to take a clear position on critical issues, including production reduction. Uproot Plastics strongly urg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recognize that a treaty without clear and ambitious production reduction targets will be a failed treat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already expressed its commitment to reducing plastic production ahead of INC-5. On November 4th, during a press briefing, and again on November 28th in an interview with domestic media, Minister Kim Wan-seop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tated that the South Korean delegation would pursue a path of reducing plastic production to address the issue of plastic pollution. Furthermore, during the official press conference following the opening of INC-5 on November 25, Ms. Han Minyoung, Deputy Director General of the Climate Change, Energy, Environment and Scientific Affairs Bureau at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emphasized that the Global Plastics Treaty must address the full lifecycle of plastics, including production, consumption, and waste management.


Despite these statem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observe concrete actions regarding production reduction during the negotiation process. For exampl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id not join the Bridge to Busan: Declaration on Primary Plastic Polymers, which calls for production reduction, including for primary plastic polymers, and has been signed by 44 countries since its release at the end of INC-4. Additionally, on November 28th, a proposal supporting plastic reduction, submitted by Panama and 91 other countries, was endorsed by over 100 countries - more than half of the 175 negotiating countries. However, the Republic of Korea is notably absent from this list. 

In addition to Production Reduction, a crucial factor in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Global Plastics Treaty will be how financial resources are secured, managed and distributed. Over 120 countries have already expressed support for a proposal from the African Group and the Group of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States (GRULAC), which advocates for the establishment of a dedicated financial mechanism to assist developing countries in fulfilling their obligations under the Treaty. In contrast, the Republic of Korea has agreed to the U.S. proposal to utilize the 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 However, there has been controversy surrounding the GEF, as it is often considered difficult for developing countries to effectively access and utilize the fund. 


South Korea’s absence is evident not only in the documents but also within the negotiation halls. Throughout INC-5, the only ministerial-level participation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by Minister of Environment Kim Wan-seop during the first two days, with no further participation after that. This INC-5 marks the final stage of negotiations to finalize the treaty text. As the session nears its conclusion, ministers from other member states are arriving in Busan to directly participate in the final sessions of the negotiations. The absence of ministerial-level representatives raises questions about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leadership as the host country. 


Uproot Plastics calls on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make every effort to achieve an ambitious, legally binding Global Plastics Treaty. In this historic moment to end plastic pollution, Busan will be defined not merely by the completion of the treaty text, but by the ambitious substance it contain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till has an opportunity to exert its influence in these negotiations. All eyes are on Busan, and we expect South Korea to lead on the key issues of the treaty as the host country. 


1st December 2024

Action for a Carcinogen-free Korea, Almang Market, Break Free From Plastic (BFFP), Global Alliance for Incinerator Alternatives (GAIA), Green Environment Youth Korea (GEYK), Green Korea United (GKU), Greenpeace Korea, Korea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s (KFEM), Korea Zerowaste Movement Network, Korean Women's Environmental Network (KWEN), National Council of the Green Consumers Network in Korea, Our Sea of East Asia Network (OSEAN), RELOOP, Seoul Korea Federation for Environmental Movements (Seoul KFEM),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WIOEH), and Zero Waste Citizen Center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사장 : 노진철

고유번호 : 275-82-00406
대표전화 : 02-735-7000

Fax : 02-735-7020
주소 : 03039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2층(누하동)

대표 메일 : web@kfem.or.kr
후원 : 우리은행 1005-801-085917

(예금주 :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후원하기
공익제보(국민인권익위)
국세청
사이트맵 열기



Copyright © 2022. KFE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