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요로운 바다, 해양생물 보호에서 시작한다.
류종성(서경대학교 미래융합학부 교수,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위원장)

“지구의 야생 서식지 75%가 파괴되고, 백만 종 이상의 생물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해양보전을 위해 1000억 원 이상을 기부해 온 배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절박한 경고다. 인류는 오랜 시간 바다를 모험과 개척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그 과정에서 해양생물은 해양개발에 방해물로 간주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필자가 박사 과정 동안 발로 누볐던 새만금 갯벌은 대부분 사라졌고 이제 수라갯벌만 남아 있다.
우리의 간척 역사는 고려시대 강화도 갯벌에서 시작해 일제 강점기와 산업화 시대를 거치며 가속화되었다. 1980년대 이후에는 대형중장비를 동원한 무자비한 갯벌 매립이 이루어졌다. 시화와 새만금 개발은 해양생태계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오늘날 해안가에 있는 신도시들은 거의 예외 없이 갯벌을 매립해 세워졌으며 그 결과 우리는 전체 갯벌의 절반가량을 잃었다.
해양생물을 보호해야 하는 이유는 단순히 ‘종의 숫자’를 늘리기 위해서가 아니다. 해양생물다양성은 바다생태계의 근간이며, 바다가 우리에게 주는 수많은 혜택, 즉 생태계서비스의 기반이기 때문이다.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해양생태계는 수산자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탄소를 흡수해 기후변화를 완화하며, 오염물질을 정화하고, 아름다운 해양경관을 만들어 문화와 휴양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국제생태계정학회에 따르면 연안생태계가 창출하는 생태계서비스의 가치는 연간 약 2,000조 원에 달하며, 이는 세계 GDP의 3%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갯벌만 해도 연간 18조 원 이상의 경제적 가치를 가진다. 이런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대부분 국가가 생태계서비스를 정책 수립의 경쟁력이자 핵심 기준으로 삼고 있다. 기후위기와 더불어 생물다양성의 위기는 국제정치의 중심 의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UN은 매년 5월 22일을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로 지정해, 국제사회의 실질적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
해양생물다양성을 효과적으로 보전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보호구역의 확대와 멸종위기종의 집중적인 보호다. 모든 바다를 관리하는 것은 우리의 능력을 벗어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전체 해역 40만km² 중 약 2%인 8천km²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고래·산호 등 91종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해 관리 중이다.
그러나 이는 턱없이 부족하다. 국제사회는 생물다양성협약을 통해 2030년까지 해양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자는 공동목표를 세웠고, 호주는 이미 41%, 뉴질랜드는 28%를 달성했다. 우리나라의 보호율은 세계 평균인 8.4%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정부는 작년, 2030년까지 이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제 새로운 정부에서 신속하고 강력한 실천을 통해 약속을 반드시 마쳐주기를 당부한다.
해양보호구역의 확대는 단순한 면적의 증가가 아니라 관리 역량의 혁신과 제도 개혁을 동반해야 한다. 현재처럼 지방정부에만 맡겨 두어서는 안 된다. 중앙정부가 보다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해양생태계법 등 관련 법령을 개정하고, 보호구역 관련 예산도 대폭 확대해야 한다. 재원 마련을 위해 해상풍력·바다골재 채취 등 대규모 해양개발에서 발생하는 점사용료를 해양보전 재원으로 재투자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풍요로운 바다는 결코 저절로 주어지지 않는다. 해양생물다양성은 바다의 건강을 지키는 핵심이자 우리가 미래 세대에게 물려줄 수 있는 가장 가치 있는 유산이다. 국제사회의 약속을 이행하고, 우리 바다의 생물다양성을 회복하고 보전하기 위한 실질적인 행동이 지금 시작되어야 한다.

류종성(서경대학교 미래융합학부 교수,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위원장)
풍요로운 바다, 해양생물 보호에서 시작한다.
류종성(서경대학교 미래융합학부 교수,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위원장)
“지구의 야생 서식지 75%가 파괴되고, 백만 종 이상의 생물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해양보전을 위해 1000억 원 이상을 기부해 온 배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의 절박한 경고다. 인류는 오랜 시간 바다를 모험과 개척의 대상으로 삼아왔다. 그 과정에서 해양생물은 해양개발에 방해물로 간주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필자가 박사 과정 동안 발로 누볐던 새만금 갯벌은 대부분 사라졌고 이제 수라갯벌만 남아 있다.
우리의 간척 역사는 고려시대 강화도 갯벌에서 시작해 일제 강점기와 산업화 시대를 거치며 가속화되었다. 1980년대 이후에는 대형중장비를 동원한 무자비한 갯벌 매립이 이루어졌다. 시화와 새만금 개발은 해양생태계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오늘날 해안가에 있는 신도시들은 거의 예외 없이 갯벌을 매립해 세워졌으며 그 결과 우리는 전체 갯벌의 절반가량을 잃었다.
해양생물을 보호해야 하는 이유는 단순히 ‘종의 숫자’를 늘리기 위해서가 아니다. 해양생물다양성은 바다생태계의 근간이며, 바다가 우리에게 주는 수많은 혜택, 즉 생태계서비스의 기반이기 때문이다.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해양생태계는 수산자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탄소를 흡수해 기후변화를 완화하며, 오염물질을 정화하고, 아름다운 해양경관을 만들어 문화와 휴양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국제생태계정학회에 따르면 연안생태계가 창출하는 생태계서비스의 가치는 연간 약 2,000조 원에 달하며, 이는 세계 GDP의 3%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갯벌만 해도 연간 18조 원 이상의 경제적 가치를 가진다. 이런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대부분 국가가 생태계서비스를 정책 수립의 경쟁력이자 핵심 기준으로 삼고 있다. 기후위기와 더불어 생물다양성의 위기는 국제정치의 중심 의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UN은 매년 5월 22일을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로 지정해, 국제사회의 실질적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
해양생물다양성을 효과적으로 보전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보호구역의 확대와 멸종위기종의 집중적인 보호다. 모든 바다를 관리하는 것은 우리의 능력을 벗어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전체 해역 40만km² 중 약 2%인 8천km²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고래·산호 등 91종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해 관리 중이다.
그러나 이는 턱없이 부족하다. 국제사회는 생물다양성협약을 통해 2030년까지 해양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자는 공동목표를 세웠고, 호주는 이미 41%, 뉴질랜드는 28%를 달성했다. 우리나라의 보호율은 세계 평균인 8.4%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정부는 작년, 2030년까지 이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제 새로운 정부에서 신속하고 강력한 실천을 통해 약속을 반드시 마쳐주기를 당부한다.
해양보호구역의 확대는 단순한 면적의 증가가 아니라 관리 역량의 혁신과 제도 개혁을 동반해야 한다. 현재처럼 지방정부에만 맡겨 두어서는 안 된다. 중앙정부가 보다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해양생태계법 등 관련 법령을 개정하고, 보호구역 관련 예산도 대폭 확대해야 한다. 재원 마련을 위해 해상풍력·바다골재 채취 등 대규모 해양개발에서 발생하는 점사용료를 해양보전 재원으로 재투자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풍요로운 바다는 결코 저절로 주어지지 않는다. 해양생물다양성은 바다의 건강을 지키는 핵심이자 우리가 미래 세대에게 물려줄 수 있는 가장 가치 있는 유산이다. 국제사회의 약속을 이행하고, 우리 바다의 생물다양성을 회복하고 보전하기 위한 실질적인 행동이 지금 시작되어야 한다.
류종성(서경대학교 미래융합학부 교수,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