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기초지자체에서 도시생태현황지도를 의무적으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 지도는 자연생태환경을 기초지자체 차원에서 조사・분석・평가하고 공간정보지도화 하여 토지이용 및 개발계획의 수립과 시행에 활용되는 중요정보입니다.
그러나 다수의 기초지자체에서는 작성 과정에서 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거나 개발을 염두에 두고 고의로 보전대상을 배제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도시생태현황지도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정확하고, 효율적이며, 공정한 방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시민사회의 전문성 함양을 통한 제언과 견인이 필요합니다.
이에 환경운동연합 지역단위에서 모니터링과 제언을 할 수 있도록 전문가와 함께 정책과 제도에 대해 숙지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 일시
3월 8일(화) 오전 10시 / 3월 11일(금) 오전 10시
▪ 참여방법
1강 온라인 줌 접속 클릭 bit.ly/도시생태현황지도
2강 온라인 줌 접속 클릭 bit.ly/도시생태현황지도2
▪ 프로그램
3월 8일 | 도시생태현황도 작성 동향과 이슈 | 김한수 경기연구원 생태환경연구실 연구위원 |
3월 11일 | 환경계획 수립과 정책 이슈 | 김한수 경기연구원 생태환경연구실 연구위원 |
문의 : 중앙사무처 안숙희 활동가 02-735-7066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해 기초지자체에서 도시생태현황지도를 의무적으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 지도는 자연생태환경을 기초지자체 차원에서 조사・분석・평가하고 공간정보지도화 하여 토지이용 및 개발계획의 수립과 시행에 활용되는 중요정보입니다.
그러나 다수의 기초지자체에서는 작성 과정에서 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거나 개발을 염두에 두고 고의로 보전대상을 배제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도시생태현황지도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정확하고, 효율적이며, 공정한 방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시민사회의 전문성 함양을 통한 제언과 견인이 필요합니다.
이에 환경운동연합 지역단위에서 모니터링과 제언을 할 수 있도록 전문가와 함께 정책과 제도에 대해 숙지하고 논의하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 일시
3월 8일(화) 오전 10시 / 3월 11일(금) 오전 10시
▪ 참여방법
1강 온라인 줌 접속 클릭 bit.ly/도시생태현황지도
2강 온라인 줌 접속 클릭 bit.ly/도시생태현황지도2
▪ 프로그램
문의 : 중앙사무처 안숙희 활동가 02-735-70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