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15일, 23일 시각장애인 탐조를 다녀왔습니다. 환경연합은 에코버드투어와 함께 2015년부터 새소리 탐조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간은 어린이, 청소년들과 함께 진행했는데, 이번 탐조의 참여자는 성인들입니다. 시각장애인들이 주로 활용하는 사이트에 모집 공고를 올리고, 신청자가 적으면 어쩌나 걱정했는데, 하루만에 각각 10명의 정원이 모두 마감되었습니다. 참여하신 분들에 의하면, 학생들에 비해 성인들은 이런 프로그램의 참여 기회가 적기 때문에 일찍 마감되는게 당연하다고 합니다.
이번 탐조 지역은 파주 삼릉입니다. 한명회의 두 딸이 이곳에 있답니다.
삼릉은 도시락도 가지고 갈 수 없는 깨끗한 장소인데다, 숲이 우거져서 새소리도 많이 들을 수 있고 초여름의 녹음을 마음껏 즐길 수 있습니다. 길이 평평해서 걷기 불편한 사람이나 어린이들도 쉽게 방문할 수 있는 곳입니다.
진행자인 이병우 선생님이 새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하며 탐조를 시작했습니다. 새모형을 만져보며, 새의 부리와 발가락 모양을 확인했습니다. 곡식이나 곤충을 먹는 새의 부리는 가늘고 뾰족하지만, 육식을 하는 맹금류의 부리는 단단하고 발톱은 뾰족합니다. 박제를 통해 새 깃털의 보드라운 촉감도 확인해봤습니다.
본격적인 탐조에 앞서 녹음된 새소리를 들어봤습니다. 두루미, 꿩, 소쩍새, 개개비, 까치, 뻐꾸기 등 소리를 따서 이름을 지은 새들의 소리는 과연 비슷했습니다.
스피커에서 까치 소리가 나오자, 금새 까치가 날아왔습니다. 까치는 자기 영역을 중시하는 배타적인 조류라고합니다. 침입자인 줄 알고 날아온 것입니다.
뻐꾸기 소리가 들리자, 누군가 “뻐꾸기는 남의 둥지에 새끼를 키우는 바람둥이다”라고 했습니다. 이병우 선생님은 ‘사람과 동물에 감정이입을 하지 마세요’라고 합니다. 우리는 평화의 상징 비둘기, 화목의 상징 원앙 하는 식으로 새를 인간과 동일시해서 바라보는데, 정작 새들은 살아남기 위해 자연에 적응을 했을 뿐이죠. 사람말로 하자면, 새들은 대부분 바람둥이입니다. 왜냐하면 새끼를 키운 이후에 같이 살 필요가 없기 때문이죠.
숲길을 걷다가 조용한 곳에서 발소리를 멈추고 새소리에 귀기울여 봅니다. 호로록~ 하는 꾀꼬리 소리는 높은 곳에서 들리는 것 같다고 합니다. 꾀꼬리는 둥지를 20미터 정도 높은 곳에 만듭니다.
이날 제일 많이 들린 소리는 교로,교로,교로로~ 하는 맑은 되지빠귀 소리입니다. 되지빠귀는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집을 짓는다고 합니다.
멀리서 뜨르륵 딱따구리나 나무를 쪼는 소리가 들립니다. 세력을 과시하기 위해 속이 빈 나무를 때리는 소리라고 합니다. 먹이를 찾을 때는 딱딱딱딱 소리가 난답니다.
*5월23일 탐조의 영상입니다.
삼릉에서 들을 수 있는 새들의 소리는,
참새, 까지, 박새, 되지빠귀, 청딱따구리, 큰부리까마귀, 꿩, 노랑할미새, 뻐꾹새, 직박구리 등이었습니다.
모든 새들의 소리를 다 기억할 순 없지만 다음번에 숲에 갈 일이 생기면, 서로 다른 소리를 구분하며 새소리에 귀기울여보면 어떨까요?
*이 프로그램은 법무법인 한결의 후원을 받아 에코버드투어와 공동 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