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리의 섬, 인도네시아 숨바와(Sumbawa)의 붕긴섬(Pulan Bungin)
홍선기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구글 지도로 본 붕긴섬(Pulan Bungin)의 전경
ⓒ httpebyn-hadinata.blogspot.com201209add-caption-bungin-island-is-floating.html
인도네시아 East Java지역의 섬 조사를 할 때 고려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사항은 언어와 부족이다. 당연히 인도네시아 언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섬 별로 독특한 방언과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자카르타에서 출생한 사람이라도 이곳의 섬에서 사업을 하려면 별도의 통역관이 필요할 정도이다. 또 한 가지는 부족이다. 부기스족, 마두라족, 바죠족 등 수 많은 부족이 존재하고, 또한 그들이 어디서 유입되어 정착했는가에 따라서 섬의 경관, 경제, 사회의 특성이 달라진다.
2018년 1월 7~11일까지 방문하여 조사한 숨바와(Sumbawa)는 서쪽에 롬복, 동쪽에 플로레스, 남동쪽에 숨바(Sumba)가 위치하는 레사순다 열도(Lesser Sunda Islands)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숨바와의 주요 부족은 섬의 서부에 위치하는 숨바와베자르(Sumbawa Besar)지역을 점유하는 숨바와족과 동부에 있는 비마(Bima)지역에 우점하는 비마족이다. 언어도 약간씩 차이가 있다.
붕긴섬(Pulan Bungin)은 숨바와베자르(Sumbawa Besar)의 연안에 위치하는 작은 섬이다. 구글 지도상으로 볼 때, 어떻게 저렇게 많은 주택이 한 섬에 존재할 수 있을까 감탄할 정도로 단일섬으로는 주거와 인구의 밀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알려지고 있다. 1965년에 1700명, 2017년에는 3800명으로 증가하고 있다. 원래 면적은 9ha였는데, 최근 섬 인구가 증가하면서 주거지 확보로 주변 해역을 매립하여 12ha가 되었다고 한다. 오랫동안 한 섬에서 고립된 생활을 해왔으나, 2002년 본 섬과 연륙이 되면서 사회, 환경, 문화가 변화하고 있다.
2002년에 조성된 연륙교. 생활은 편리해졌으나 외국관광객의 무분별한 행위로 마을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음 ⓒ 홍선기 촬영
일반적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어촌마을을 구성하는 것은 부기스족이고, 주거 형태를 보아도 완전히 부기스의 특징인데, 이곳은 의외로 바죠족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부족이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자치를 하고 싶어 하고 타부족과 섞이고 싶어 하지 않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자생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춰야 생존할 수 있다.
제한된 면적, 수자원 등 열악한 환경임에도 수 세대를 거치면서 타민족과 결혼하지 않고 바죠족의 정체성이 변하지 않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마을에 들어가 자연스럽게 주민들과 섞여 있음에도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매우 친절하고, 배타심이 없다. 아마도 바다를 이용하여 살아온 넉넉한 마음 때문일까.
주거지는 완전히 부기스족의 형태. 그래서 처음에 부기스족 마을로 혼동이 왔었음 ⓒ 홍선기 촬영
섬 마을에 들어가 대표자와 어르신 인터뷰를 요청하였고, 다행이 최고령자인 Arif Rahman Makkadia(83세)를 만났다. 사실 그의 아들 Hakim씨를 먼저 만났는데, 그가 아버님을 소개하였고, 이후 따님까지 만나서 함께 여러 가지 말씀을 나누었다. 노인은 술라웨시 남부에서 이 섬에 정주해서 살게 된 조상으로부터 5세대 인물이고, 아들은 6세대란다. 그러니까 거의 수백 년을 한 섬에서 사는 것이다.
노인의 말씀에 의하면, 1800여년전 술라웨시에서 바죠족 조상들이 이 섬으로 입도했다고 한다. 당시 대부분의 경제 수단은 어업. 지금도 참치를 비롯하여 정어리 등을 전문적으로 잡는다. 노인은 1937년생으로 초기에는 다이빙을 하여 물고기를 잡고 진주를 캐는 맨손 어부 일을 했다고 하는데, 이제는 은퇴하여 동네 어르신 역할을 하고 있다. 부인이 4명이었는데(이슬람교는 일부다처제를 허용하고 있음), 세 번째 부인까지 자식이 없고, 마지막 부인에게서 9명의 자제를 뒀단다.
연륙이 되어 어떠냐는 질문에 대해 아플 때 병원가기 쉬워서 좋아졌다고 하면서도 외국 관광객들이 ‘버릇없이(그의 표현)’ 오토바이나 차를 타고 마을 이곳저곳을 휘젓고 다니는 것이 많아져서 시끄럽다고 한다. 다른 부족들처럼 큰 섬에서 나가서 살지 왜 이런 작은 섬에서 계속 사느냐는 질문에 “그것이 바죠족”이라고 대답했다.
술라웨시에서 이곳으로 이주하면서 가지고 온 집안 깃발(Family Flag). 노인은 오랫동안 간직한 이 집안의 깃발을 꺼내서 매우 자랑스럽게 보여주셨다. 가운데가 Arif Rahman Makkadia씨, 그리고 아드님과 따님. 이 작은 섬에 산다는 것에 무척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바죠족 ⓒ 홍선기 촬영)
미스터리 섬이라 생각하고 입도하였지만, 그곳에도 끈끈한 인정이 있고, 경제가 있고, 또 사랑이 넘쳤다. 도심 속 고층빌딩에서 아등바등 살아가는 우리 현실과는 매우 다른 별세계이지만, 오히려 현재 우리가 잃고 있는 인간성, 정체성, 그리고 공동체 인식이 남아 있는 멋진 섬이었다. 갑작스런 방문에도 따뜻하게 맞이하여 주시고, 바죠족의 재미있는 말씀을 해 주신 Arif Rahman Makkadia(83세)와 아들 Hakim, 그리고 따님께 감사드린다.
염소에게 돈을 먹이는 바죠족의 풍습 ⓒ 홍선기 촬영
미스터리의 섬, 인도네시아 숨바와(Sumbawa)의 붕긴섬(Pulan Bungin)
홍선기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 교수, 생태학)
구글 지도로 본 붕긴섬(Pulan Bungin)의 전경
ⓒ httpebyn-hadinata.blogspot.com201209add-caption-bungin-island-is-floating.html
인도네시아 East Java지역의 섬 조사를 할 때 고려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사항은 언어와 부족이다. 당연히 인도네시아 언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섬 별로 독특한 방언과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자카르타에서 출생한 사람이라도 이곳의 섬에서 사업을 하려면 별도의 통역관이 필요할 정도이다. 또 한 가지는 부족이다. 부기스족, 마두라족, 바죠족 등 수 많은 부족이 존재하고, 또한 그들이 어디서 유입되어 정착했는가에 따라서 섬의 경관, 경제, 사회의 특성이 달라진다.
2018년 1월 7~11일까지 방문하여 조사한 숨바와(Sumbawa)는 서쪽에 롬복, 동쪽에 플로레스, 남동쪽에 숨바(Sumba)가 위치하는 레사순다 열도(Lesser Sunda Islands)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숨바와의 주요 부족은 섬의 서부에 위치하는 숨바와베자르(Sumbawa Besar)지역을 점유하는 숨바와족과 동부에 있는 비마(Bima)지역에 우점하는 비마족이다. 언어도 약간씩 차이가 있다.
붕긴섬(Pulan Bungin)은 숨바와베자르(Sumbawa Besar)의 연안에 위치하는 작은 섬이다. 구글 지도상으로 볼 때, 어떻게 저렇게 많은 주택이 한 섬에 존재할 수 있을까 감탄할 정도로 단일섬으로는 주거와 인구의 밀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알려지고 있다. 1965년에 1700명, 2017년에는 3800명으로 증가하고 있다. 원래 면적은 9ha였는데, 최근 섬 인구가 증가하면서 주거지 확보로 주변 해역을 매립하여 12ha가 되었다고 한다. 오랫동안 한 섬에서 고립된 생활을 해왔으나, 2002년 본 섬과 연륙이 되면서 사회, 환경, 문화가 변화하고 있다.
2002년에 조성된 연륙교. 생활은 편리해졌으나 외국관광객의 무분별한 행위로 마을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음 ⓒ 홍선기 촬영
일반적으로 인도네시아에서 어촌마을을 구성하는 것은 부기스족이고, 주거 형태를 보아도 완전히 부기스의 특징인데, 이곳은 의외로 바죠족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부족이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자치를 하고 싶어 하고 타부족과 섞이고 싶어 하지 않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자생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춰야 생존할 수 있다.
제한된 면적, 수자원 등 열악한 환경임에도 수 세대를 거치면서 타민족과 결혼하지 않고 바죠족의 정체성이 변하지 않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마을에 들어가 자연스럽게 주민들과 섞여 있음에도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매우 친절하고, 배타심이 없다. 아마도 바다를 이용하여 살아온 넉넉한 마음 때문일까.
주거지는 완전히 부기스족의 형태. 그래서 처음에 부기스족 마을로 혼동이 왔었음 ⓒ 홍선기 촬영
섬 마을에 들어가 대표자와 어르신 인터뷰를 요청하였고, 다행이 최고령자인 Arif Rahman Makkadia(83세)를 만났다. 사실 그의 아들 Hakim씨를 먼저 만났는데, 그가 아버님을 소개하였고, 이후 따님까지 만나서 함께 여러 가지 말씀을 나누었다. 노인은 술라웨시 남부에서 이 섬에 정주해서 살게 된 조상으로부터 5세대 인물이고, 아들은 6세대란다. 그러니까 거의 수백 년을 한 섬에서 사는 것이다.
노인의 말씀에 의하면, 1800여년전 술라웨시에서 바죠족 조상들이 이 섬으로 입도했다고 한다. 당시 대부분의 경제 수단은 어업. 지금도 참치를 비롯하여 정어리 등을 전문적으로 잡는다. 노인은 1937년생으로 초기에는 다이빙을 하여 물고기를 잡고 진주를 캐는 맨손 어부 일을 했다고 하는데, 이제는 은퇴하여 동네 어르신 역할을 하고 있다. 부인이 4명이었는데(이슬람교는 일부다처제를 허용하고 있음), 세 번째 부인까지 자식이 없고, 마지막 부인에게서 9명의 자제를 뒀단다.
연륙이 되어 어떠냐는 질문에 대해 아플 때 병원가기 쉬워서 좋아졌다고 하면서도 외국 관광객들이 ‘버릇없이(그의 표현)’ 오토바이나 차를 타고 마을 이곳저곳을 휘젓고 다니는 것이 많아져서 시끄럽다고 한다. 다른 부족들처럼 큰 섬에서 나가서 살지 왜 이런 작은 섬에서 계속 사느냐는 질문에 “그것이 바죠족”이라고 대답했다.
술라웨시에서 이곳으로 이주하면서 가지고 온 집안 깃발(Family Flag). 노인은 오랫동안 간직한 이 집안의 깃발을 꺼내서 매우 자랑스럽게 보여주셨다. 가운데가 Arif Rahman Makkadia씨, 그리고 아드님과 따님. 이 작은 섬에 산다는 것에 무척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바죠족 ⓒ 홍선기 촬영)
미스터리 섬이라 생각하고 입도하였지만, 그곳에도 끈끈한 인정이 있고, 경제가 있고, 또 사랑이 넘쳤다. 도심 속 고층빌딩에서 아등바등 살아가는 우리 현실과는 매우 다른 별세계이지만, 오히려 현재 우리가 잃고 있는 인간성, 정체성, 그리고 공동체 인식이 남아 있는 멋진 섬이었다. 갑작스런 방문에도 따뜻하게 맞이하여 주시고, 바죠족의 재미있는 말씀을 해 주신 Arif Rahman Makkadia(83세)와 아들 Hakim, 그리고 따님께 감사드린다.
염소에게 돈을 먹이는 바죠족의 풍습 ⓒ 홍선기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