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 · 탈핵
석탄발전소는 온실가스를 배출해 기후위기를 가속화시킵니다.
핵발전소는 사고와 방사능, 핵폐기물로부터 안전하지 않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으로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석탄발전소와 핵발전소를 폐쇄하고,
지속가능한 태양과 바람의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석탄발전소는 온실가스를 배출해 기후위기를 가속화시킵니다.
핵발전소는 사고와 방사능, 핵폐기물로부터 안전하지 않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으로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석탄발전소와 핵발전소를 폐쇄하고,
지속가능한 태양과 바람의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석탄발전소는 온실가스를 배출해 기후위기를 가속화시킵니다. 핵발전소는 사고와 방사능, 핵폐기물로부터 안전하지 않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으로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석탄발전소와 핵발전소를 폐쇄하고, 지속가능한 태양과 바람의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막사 테크놀로지가 위성으로 촬영한 나탄즈 핵 시설 파괴 모습 (출처 : 영국BBC)
국가안보와 에너지안보를 위협하는 핵시설
세계원전밀집도 1위 국가를 넘어, 안전사회로 나아가자
지난 6월 15일, 이틀에 걸친 이스라엘 공습으로 나탄즈 핵연료 농축시설이 공격받았다고 이란정부는 밝혔다. 원자력시설에 대한 군사공격이 또다시 발생한 것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변전소, 주전력 공급 건물, 비상 전력 공급 장치, 백업 발전기 등 해당 시설의 전력 인프라가 파괴되었고, 이로 인해 나탄즈 캐스케이드 홀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서 원심분리기가 손상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현재 외부 방사선 수치는 문제가 없지만, 시설 내부에는 방사능 및 화학적 오염이 확실히 존재하며 공격이 계속될 경우 심각한 방사능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고 IAEA는 경고했다. 이스라엘은 역사상 최초로 원자력시설에 공격을 가한 국가다. 1981년 이스라엘공군 소속 F16 전투폭격기 6대가 이라크를 공습해 탄무즈1호 원자로를 폭격해 건설 중이던 40만kW급의 원전을 완전히 파괴한 바 있다. 우리는 인류와 환경에 반영구적인 피해를 입히는 핵테러를 감행한 이스라엘의 공습을 규탄한다.
세계 여러 지역에서 원자력 시설을 겨냥한 군사행동은 끊임없이 논의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의 자포리자 원전을 포격한 사건은 전쟁 속 원전의 취약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지난 6월 12일,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자포리자 원전 재가동을 승인하지 않았다. 지난 한달간 단 하나의 송전선에 의존해 전력공급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냉각이 끊기면 ‘멜트다운’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유럽의 최대 원전인 자포리자 원전에 이상이 생길 경우 체르노빌보다 더 큰 재앙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상식적으로 전투지역의 원전의 운전운영 중지가 맞지만, 우크라이나가 위험을 감수하면서 원전 재가동을 추진하는 이유는 전력 수요의 51%를 원전이 조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원전 의존도를 계속 높여가고 있는 한국의 상황에서, 진정한 ‘에너지 안보’가 무엇인지 되묻게 한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 역시 원전이 테러에 매주 취약하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고, 9.11테러 이후 항공기 충돌을 비롯한 원전 테러 위험에 대해 공식적으로 논의해왔다. 미국의 국립과학위원회 등은 대형참사를 유발할 수 있는 10대 테러 위협 중 가장 첫 번째로 ‘핵 및 방사능 위협(Nuclear and Radiological Threats)’을 꼽았다. 그러나 국내 모든 원전은 항공기 추락을 설계 상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항공기가 원전에 충돌할 확률은 100만분의 1”이라는 확률론적 가능성에 숨어 안전에 대한 대비를 외면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과 휴전상태인 우리나라에서, 전쟁과 테러의 위협은 결코 간과할 점이 아니다. 실제로 미국은 1994년 북한의 영변 핵시설 폭격을 검토한 바 있다. 세계에서 원전 밀집도가 가장 높은 나라인 이 나라에서, 원전은 평시에도 위험하지만 전쟁 시에는 사실상 ‘핵지뢰밭’으로 전락할 수 있다. 특히 고리, 월성 등 노후원전이 밀집해 있는 부울경 지역은 더욱 위험하다. 상상 가능한 사고는 충분히 일어날 수 있음을 우리는 인질이 된 원전과 인재로 인한 원전 사고로 충분히 확인했다.
과거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북한의 장사정포 공격이나 항공기 테러에 대한 대비 부족을 이유로 신규 원전 운영 허가를 보류한 바 있다. 그때의 판단이야말로 시민의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책임이었다. 그런데 지금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신규 원전 확대를 승인할 뿐 아니라, 노후 원전의 수명연장을 서둘고 있다. 항공기 충돌 및 테러에 대한 대비도 되지 않은 낡은 원전을 계속 가동하면서, 원전 의존도를 높이는 것은 국가안보와 에너지안보 모두에 반하는 일이다. ‘세계 최대 원전 밀집국가’라는 위험한 오명에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시급한 전환을 촉구한다.
2025. 6. 16
환경운동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