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에너지 · 탈핵


석탄발전소는 온실가스를 배출해 기후위기를 가속화시킵니다.

핵발전소는 사고와 방사능, 핵폐기물로부터 안전하지 않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으로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석탄발전소와 핵발전소를 폐쇄하고,

지속가능한 태양과 바람의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기후에너지·탈핵


석탄발전소는 온실가스를 배출해 기후위기를 가속화시킵니다. 핵발전소는 사고와 방사능, 핵폐기물로부터 안전하지 않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으로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석탄발전소와 핵발전소를 폐쇄하고, 지속가능한 태양과 바람의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도록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성명서·보도자료민주노동당·기후시민프로젝트, 대선 기후에너지 정책협약 체결

배슬기 에너지기후팀 활동가
2025-05-26
조회수 488
[보도자료] 민주노동당·기후시민프로젝트,
대선 기후에너지 정책협약 체결

- 보급 목표 상향과 예산 3배 확대에 뜻 모아

민주노동당 권영국 대통령 후보와 기후시민프로젝트는 23일 오후 3시, 서울 구로구 민주노동당 당사에서 ‘기후에너지 정책협약’을 체결하고,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상향과 예산 3배 확대를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할 뜻을 밝혔다. 양측은 특히 정부가 수립 중인 에너지계획의 속도와 방향을 ‘지역 주도·분산형’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이치선 민주노동당 정책특보는 “기후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보급을 지금보다 훨씬 더 빠르고 과감하게 확대해야 한다”며,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대폭 끌어올리고, 이를 뒷받침할 재정 지원 규모 역시 지금의 3배 이상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재훈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정당이 시민사회의 요구를 정책으로 수용하고 공식 협약한 사례 자체가 의미 있다”며, “민주노동당이 지역이 주도하는 분산형 재생에너지 확대에 큰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협약문에는 이 외에도 ▲전기요금 할인 인센티브 도입 ▲지자체 태양광 할당제 ▲전력계통 최소화 원칙 수립 ▲독립규제기관 신설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5대 정책 과제가 담겼다.

기후시민프로젝트는 지난해부터 전력망특별법 대응 활동을 통해 중앙집중형 에너지 전환에서 지역기반 분산에너지 모델로의 전환을 제시해왔다. 기후시민프로젝트는 향후 다른 정당과의 대선 정책협약도 이어갈 예정이다. 끝.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사장 : 노진철

고유번호 : 275-82-00406
대표전화 : 02-735-7000

Fax : 02-735-7020
주소 : 03039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2층(누하동)

대표 메일 : web@kfem.or.kr
후원 : 우리은행 1005-801-085917

(예금주 :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후원하기
공익제보(국민인권익위)
국세청
사이트맵 열기



Copyright © 2022. KFE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