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보전


생물다양성 위기의 시대, 생태계 보전을 위한 활동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입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숲, 산림, 습지 등 수많은 생명의 터전이 되는 환경보전을 위해

무분별한 개발 정책을 감시하고 육상 보호구역 확대를 통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생태보전 


생물다양성 위기의 시대, 생태계 보전을 위한 활동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입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숲, 산림, 습지 등 수많은 생명의 터전이 되는 환경보전을 위해 무분별한 개발 정책을 감시하고 육상 보호구역 확대를 통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생태보전[카드뉴스] 뭐라고? 도시공원이 사라진다고?

미디어소통팀
2019-04-11
조회수 1678

1년 후, 우리나라 도시공원 중 절반이 넘는 도시 공원에 ‘출입금지’ 푯말이 세워질 수 있습니다

 

뭐라고? 도시공원이 사라진다고?

2020년 7월, 전국 도시공원의 50.8%가 사라집니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공원설립을 위해 도시계획시설로 지정한 뒤 10년이 넘도록 공원을 조성하지 않았을 경우 도시공원에서 해제되기 때문입니다.

공원의 좋은 점은 무엇일까요?

여름철 아스팔트가 55.7℃, 보도블럭이 50.6℃, 버스정류장이 42℃일 때 수목의 하부는 33.3℃로 20℃이상 온도차이가 납니다.

도심보다 공원에서 미세먼지는 25.6%, 초미세먼지는 40.9% 가 낮습니다.

시흥산업단지는 완충숲 덕택에 최근 3년간 미세먼지 농도 ‘나쁨’일수가 약 31%나 감소했습니다.

나무 한그루는 약 35.7g의 미세먼지를 흡수합니다.

이렇듯 도시공원은 미세먼지 완충지대이자 열섬현상을 완화하는데 제 역할을 다 하고 있지요.

반면, 우리 정부는 도시공원일몰제 실효 시 국공유지마저 해제하겠다고 하는데요. 정부는 대형 미세먼지 필터탑을 세우기 전에 도시공원부터 지켜야 하지 않을까요?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사장 : 노진철

고유번호 : 275-82-00406
대표전화 : 02-735-7000

Fax : 02-735-7020
주소 : 03039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2층(누하동)

대표 메일 : web@kfem.or.kr
후원 : 우리은행 1005-801-085917

(예금주 :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후원하기
공익제보(국민인권익위)
국세청
사이트맵 열기



Copyright © 2022. KFE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