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806)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251번지 ▪ 전화 02)735-7000 ▪ 팩스 02)730-1240
국립공원입장료 폐지, 그후 6개월
– 국립공원입장료 폐지 이후 문제점과 개선방안 –
토론회 개요
* 일시 : 2007년 7월 26일(목) 오후 1시 ~ 4시
* 장소 : 만해NGO센터 대강의실
* 주최 :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모임, 환경운동연합 |
❍ 정부는 지난 해 말 30년간 유지하였던 국립공원입장료에 대한 정부 지원 방침을 결정하였고, 1998년 이후 ‘국립공원 관리 정상화’ 의제 중 하나로 ‘국립공원 관리예산의 100% 국가 지원’을 요구한 시민사회, 학계 등은 이에 대하여 환영을 표하였습니다.
❍ 당시 시민사회와 학계는 국립공원입장료의 정부 지원 방침 결정과 함께 국립공원 가치 확산을 위한 홍보활동의 중요성을 제기하였고, 탐방예약제, 생태적 수용력에 근거한 총량제, 고산지 이용에 따른 보전기금 신설 등에 대한 확대와 검토를 요구하였습니다.
❍ 그러나 국립공원입장료가 폐지된 지 6개월이 지나고 있는 지금 국립공원 현장은 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들은 실종되고 국립공원을 찾는 사람들만 많아지고 있습니다. 국립공원에 대한 인지도(가치 인식 정도)는 국립공원입장료를 징수할 때보다 낮아져 국립공원인지 관광지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국립공원 현장은 공황 상태입니다.
❍ 이에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모임․환경운동연합은 국립공원 현실을 직시하고, 현장의 문제의식에 근거한 관리 대책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토론회는 국립공원의 가치를 확인하고 보전 중심 의제를 설정하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입니다.
2007년 7월 26일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윤준하▪조한혜정▪최재천 사무총장 안병옥
<<현안토론회 일정 및 행사안내>>
국립공원입장료 폐지, 그 후 6개월
❑ 배경 및 목적
❍ 정부는 지난 해 말 30년간 유지하였던 국립공원입장료에 대한 정부 지원 방침을 결정하였고, 1998년 이후‘국립공원 관리 정상화’의제 중 하나로 ‘국립공원 관리예산의 100% 국가 지원’을 요구한 시민사회, 학계 등은 이에 대하여 환영을 표하였습니다.
❍ 당시 시민사회와 학계는 국립공원입장료의 정부 지원 방침 결정과 함께 국립공원 가치 확산을 위한 홍보활동의 중요성을 제기하였고, 탐방예약제, 생태적 수용력에 근거한 총량제, 고산지 이용에 따른 보전기금 신설 등에 대한 확대와 검토를 요구하였습니다.
❍ 그러나 국립공원입장료가 폐지된 지 6개월이 지나고 있는 지금 국립공원 현장은 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들은 실종되고 국립공원을 찾는 사람들만 많아지고 있습니다. 국립공원에 대한 인지도(가치 인식 정도)는 국립공원입장료를 징수할 때보다 낮아져 국립공원인지 관광지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국립공원 현장은 공황 상태입니다.
❍ 이에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모임>과 <환경운동연합>은 국립공원 현실을 직시하고, 현장의 문제의식에 근거한 관리 대책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토론회는 국립공원의 가치를 확인하고 보전 중심 의제를 설정하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입니다.
❑ 행사 개요
– 일시 : 2007. 7. 26 (금) 오후 1시 ~ 4시
– 장소 : 만해 NGO 교육센터 대강의실
– 주최 :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 환경운동연합
❑ 프로그램
▲ 좌장 : 윤여창 (서울대 교수)
▶ 개회식 (1:00~1:10) : 인사말
– 윤준하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 발표 (1:20~2:20))
☞ 주제발표 (1:20~2:20, 각 20분)
1) 국립공원입장료 폐지에 따른 국립공원관리 개선대책
– 최종관 (국립공원관리공단 기획조정팀)
2) 국립공원입장료 폐지 후 문제점과 제안
– 윤주옥 (국시모 사무국장)
3) 국립공원의 보전원칙과 개선 방안
– 이병인 (부산대 교수)
☞ 휴식 (2:20~2:30)
☞ 지정토론 (2:30~3:30)
– 조 우 (상지대학교 교수)
– 김석봉 (진주환경운동연합 상임의장)
– 김영주 (조계종 총무원 기획실 행정관)
– 이의재 (대한산악연맹 사무국장)
– 이상팔 (환경부 자연자원과)
▶ 종합토론 (3:30~4:00)
[보도자료070726] 국립공원입장료폐지 그후 6개월.hwp
지구의 벗 환경운동연합 www.kfem.or.kr
(110-806)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251번지 ▪ 전화 02)735-7000 ▪ 팩스 02)730-1240
보 도 자 료 (총3매)
국립공원입장료 폐지, 그후 6개월
– 국립공원입장료 폐지 이후 문제점과 개선방안 –
토론회 개요
* 일시 : 2007년 7월 26일(목) 오후 1시 ~ 4시
* 장소 : 만해NGO센터 대강의실
* 주최 :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모임, 환경운동연합
❍ 정부는 지난 해 말 30년간 유지하였던 국립공원입장료에 대한 정부 지원 방침을 결정하였고, 1998년 이후 ‘국립공원 관리 정상화’ 의제 중 하나로 ‘국립공원 관리예산의 100% 국가 지원’을 요구한 시민사회, 학계 등은 이에 대하여 환영을 표하였습니다.
❍ 당시 시민사회와 학계는 국립공원입장료의 정부 지원 방침 결정과 함께 국립공원 가치 확산을 위한 홍보활동의 중요성을 제기하였고, 탐방예약제, 생태적 수용력에 근거한 총량제, 고산지 이용에 따른 보전기금 신설 등에 대한 확대와 검토를 요구하였습니다.
❍ 그러나 국립공원입장료가 폐지된 지 6개월이 지나고 있는 지금 국립공원 현장은 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들은 실종되고 국립공원을 찾는 사람들만 많아지고 있습니다. 국립공원에 대한 인지도(가치 인식 정도)는 국립공원입장료를 징수할 때보다 낮아져 국립공원인지 관광지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국립공원 현장은 공황 상태입니다.
❍ 이에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모임․환경운동연합은 국립공원 현실을 직시하고, 현장의 문제의식에 근거한 관리 대책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토론회는 국립공원의 가치를 확인하고 보전 중심 의제를 설정하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입니다.
2007년 7월 26일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윤준하▪조한혜정▪최재천 사무총장 안병옥
문의 :
국토생태본부 지찬혁 간사 (010-2364-5005)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지성희 활동팀장 (010-4745-8447)
<<현안토론회 일정 및 행사안내>>
국립공원입장료 폐지, 그 후 6개월
❑ 배경 및 목적
❍ 정부는 지난 해 말 30년간 유지하였던 국립공원입장료에 대한 정부 지원 방침을 결정하였고, 1998년 이후‘국립공원 관리 정상화’의제 중 하나로 ‘국립공원 관리예산의 100% 국가 지원’을 요구한 시민사회, 학계 등은 이에 대하여 환영을 표하였습니다.
❍ 당시 시민사회와 학계는 국립공원입장료의 정부 지원 방침 결정과 함께 국립공원 가치 확산을 위한 홍보활동의 중요성을 제기하였고, 탐방예약제, 생태적 수용력에 근거한 총량제, 고산지 이용에 따른 보전기금 신설 등에 대한 확대와 검토를 요구하였습니다.
❍ 그러나 국립공원입장료가 폐지된 지 6개월이 지나고 있는 지금 국립공원 현장은 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들은 실종되고 국립공원을 찾는 사람들만 많아지고 있습니다. 국립공원에 대한 인지도(가치 인식 정도)는 국립공원입장료를 징수할 때보다 낮아져 국립공원인지 관광지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국립공원 현장은 공황 상태입니다.
❍ 이에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모임>과 <환경운동연합>은 국립공원 현실을 직시하고, 현장의 문제의식에 근거한 관리 대책을 모색하는 토론회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토론회는 국립공원의 가치를 확인하고 보전 중심 의제를 설정하는 소중한 자리가 될 것입니다.
❑ 행사 개요
– 일시 : 2007. 7. 26 (금) 오후 1시 ~ 4시
– 장소 : 만해 NGO 교육센터 대강의실
– 주최 :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 환경운동연합
❑ 프로그램
▲ 좌장 : 윤여창 (서울대 교수)
▶ 개회식 (1:00~1:10) : 인사말
– 윤준하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 발표 (1:20~2:20))
☞ 주제발표 (1:20~2:20, 각 20분)
1) 국립공원입장료 폐지에 따른 국립공원관리 개선대책
– 최종관 (국립공원관리공단 기획조정팀)
2) 국립공원입장료 폐지 후 문제점과 제안
– 윤주옥 (국시모 사무국장)
3) 국립공원의 보전원칙과 개선 방안
– 이병인 (부산대 교수)
☞ 휴식 (2:20~2:30)
☞ 지정토론 (2:30~3:30)
– 조 우 (상지대학교 교수)
– 김석봉 (진주환경운동연합 상임의장)
– 김영주 (조계종 총무원 기획실 행정관)
– 이의재 (대한산악연맹 사무국장)
– 이상팔 (환경부 자연자원과)
▶ 종합토론 (3:3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