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내 사찰 문화재 관람료 부당징수 거부운동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 대한산악연맹 / 문화연대 / 환경운동연합
문의: 환경운동연합 염형철 처장 010-3333-3436
문화연대 황평우 위원장 011-266-7888
조계종의 문화재관람료 부당징수 해결 촉구 기자회견
시민행동지침, 대책기구 확대, 전국 동시 다발 운동 계획 발표 예정
시민단체들은 7월 8일 신흥사 앞에서 진행한 문화재 관람료 거부캠페인이 시민들의 큰 호응을 받은 것에 힘을 얻어, 문화재 관람료 부당징수 거부운동을 더욱 확대키로 했다.
시민단체들은 조계종이 6월 말까지 대안을 내놓겠다던 약속을 지키지 않은 채, ‘사찰소유 토지를 국립공원에서 해제하라.’거나, ‘문화재 관람료를 대체하는 정부 보조를 요구’하는 등 상식을 벗어나고 있다며, 국민의 정서와 실정법을 외면하는 조계종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한다(10일 11시, 조계종 총무원 앞-조계사 일주문 앞).
시민단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문화재 부당징수 거부 운동의 확산을 위해, ‘대책기구의 확대, 시민행동지침 마련, 전국 동시 캠페인 계획’ 등을 밝힐 예정이다. 시민행동지침에는 ‘문화재를 관람 않는 시민에게 부당하게 청구하는 관람료 거부’, ‘문화재 관람료 산정 내역과 사용 내역에 대한 공개 요구’ 등을 포함한다. 또 3차 관람료 거부투쟁(7월 17일, 법주사 입구) 및 전국 동시다발 거부운동 계획도 밝힌다.
또한 시민단체들은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 후 발생한 환경 파괴에 대응하기 위해, 국민들의 탐방문화 개선, 국립공원관리 제도 개혁 등을 위해서도 노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국립공원입장료 폐지 후 6개월을 평가하는 토론회 등을 계획하고 있다.
첨부자료
1. 기자회견 소개 (2쪽),
2. 성명서, 조계종은 부당한 문화재 관람료 징수를 포기하라!(3쪽)
3. 시민행동 지침 (5쪽) 4. 활동 계획 (6쪽),
5. 경과 및 현황 (7쪽)
6. 문화재 관람료 현황(9쪽) 7. 매표소 합리적 위치 조정 방안(10쪽)
20070710 조계종앞 기자회견 보도자료 – 염형철 수정.hwp
[보도자료]
국립공원 내 사찰 문화재 관람료 부당징수 거부운동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 대한산악연맹 / 문화연대 / 환경운동연합
문의: 환경운동연합 염형철 처장 010-3333-3436
문화연대 황평우 위원장 011-266-7888
조계종의 문화재관람료 부당징수 해결 촉구 기자회견
시민행동지침, 대책기구 확대, 전국 동시 다발 운동 계획 발표 예정
시민단체들은 7월 8일 신흥사 앞에서 진행한 문화재 관람료 거부캠페인이 시민들의 큰 호응을 받은 것에 힘을 얻어, 문화재 관람료 부당징수 거부운동을 더욱 확대키로 했다.
시민단체들은 조계종이 6월 말까지 대안을 내놓겠다던 약속을 지키지 않은 채, ‘사찰소유 토지를 국립공원에서 해제하라.’거나, ‘문화재 관람료를 대체하는 정부 보조를 요구’하는 등 상식을 벗어나고 있다며, 국민의 정서와 실정법을 외면하는 조계종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한다(10일 11시, 조계종 총무원 앞-조계사 일주문 앞).
시민단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문화재 부당징수 거부 운동의 확산을 위해, ‘대책기구의 확대, 시민행동지침 마련, 전국 동시 캠페인 계획’ 등을 밝힐 예정이다. 시민행동지침에는 ‘문화재를 관람 않는 시민에게 부당하게 청구하는 관람료 거부’, ‘문화재 관람료 산정 내역과 사용 내역에 대한 공개 요구’ 등을 포함한다. 또 3차 관람료 거부투쟁(7월 17일, 법주사 입구) 및 전국 동시다발 거부운동 계획도 밝힌다.
또한 시민단체들은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 후 발생한 환경 파괴에 대응하기 위해, 국민들의 탐방문화 개선, 국립공원관리 제도 개혁 등을 위해서도 노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국립공원입장료 폐지 후 6개월을 평가하는 토론회 등을 계획하고 있다.
첨부자료
1. 기자회견 소개 (2쪽),
2. 성명서, 조계종은 부당한 문화재 관람료 징수를 포기하라!(3쪽)
3. 시민행동 지침 (5쪽) 4. 활동 계획 (6쪽),
5. 경과 및 현황 (7쪽)
6. 문화재 관람료 현황(9쪽) 7. 매표소 합리적 위치 조정 방안(1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