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보전


생물다양성 위기의 시대, 생태계 보전을 위한 활동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입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숲, 산림, 습지 등 수많은 생명의 터전이 되는 환경보전을 위해

무분별한 개발 정책을 감시하고 육상 보호구역 확대를 통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생태보전 


생물다양성 위기의 시대, 생태계 보전을 위한 활동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입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숲, 산림, 습지 등 수많은 생명의 터전이 되는 환경보전을 위해 무분별한 개발 정책을 감시하고 육상 보호구역 확대를 통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생태보전우리나라 멸종위기 동물 한국여우

admin
2009-02-07
조회수 3480

 우리나라에서는 여우를 교활하고 사악한 동물로 여깁니다. 꼬리가 아홉개 달린 구미호가 인간이 되기 위해 죽은 사람 무덤을 파서 사람으로 둔갑해 살아있는 사람들의 간을 빼 먹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올 정도이지요. 또한 눈치 빠르고 약삭빠른 사람들을 여우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여우는 그렇게 나쁜 동물이 아니에요. 오히려 알고 보면 사랑스러울 수도 있는 동물이랍니다. 

 우선 여우는 개과에 속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고양이와 닮았다고 고양이과라고 생각하지만 꼼꼼히 따져 보면 고양이보다는 개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거예요.   여우는 주로 쥐나 새, 작은 곤충, 열매를 먹는 잡식성입니다. 귀와 다리 끝은 검고 꼬리 끝은 하얗고 입은 뾰족하지요. 여우의 꼬리는 몸에 비해 긴 편이라고 해요. 여우의 몸 길이는 60 ~ 90cm 정도이고 몸무게는 5 ~ 10kg 정도 밖에 안 나간다고 해요. 여우는 가족생활을 하는데 사람들처럼 친척끼리 만나서 도움을 주고받기도 한다고 해요. 여우가 이렇게 정이 많은 동물일 줄은 몰랐지요?

 구미호 같은 경우는 여우의 탁 트인 숲 속의 공간을 좋아하는 습성을 갖고 있어요. 숲 속의 공동묘지는 그 조건이 딱 맞아 여우들이 많이 놀아서 생긴 이야기입니다.

 붉은여우는 전 세계에 살고 있습니다. 게다가 적응이 빨라서 사막이나 도시에도 살고 있다고 하네요. 이렇게 세계적으로 보면 여우는 매우 흔한 동물이지만 우리나라에는 심각한 멸종위기에 접해 있습니다. 남한에서는 그 모습을 찾아 볼 수 없고 북한에는 몇 마리 남아있는 수준이지요. 한국에서 여우가 멸종위기에 처한 것은 여우의 털과 가죽을 빼앗으려고 밀렵을 하고 자연을 파괴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렇게나 예쁜 동물인데 사람들은 여우를 너무 많이 미워한 것 같지 않나요? 이제는 여우 복원에 좀 더 힘내서 숲 속에서 여우를 만났으면 좋겠습니다. 물론 동물을 밀렵하는 사람들을 찾아 벌주고 자연을 보호하는 것부터 시작해야겠지요. 그동안 오해했던 여우에게 미안한 마음을 담아서 직접 그려 본 것입니다. 여러분들도 미안한 마음을 함께 보내 보면 어떨까요?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사장 : 노진철

고유번호 : 275-82-00406
대표전화 : 02-735-7000

Fax : 02-735-7020
주소 : 03039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2층(누하동)

대표 메일 : web@kfem.or.kr
후원 : 우리은행 1005-801-085917

(예금주 :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후원하기
공익제보(국민인권익위)
국세청
사이트맵 열기



Copyright © 2022. KFE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