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0618 은평구청 석면문제조사보고서-시민환경연구소.doc
사진이 들어있는 원본파일을 첨부합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시민환경연구소 석면조사보고서
서울 은평구청 리모델링 공사장 석면문제 실태조사
1급 발암물질 백석면이 4-9% 함유된 천정텍스 등이 안전조치 없이 취급하는 가운데
600여명의 구청직원과 민원인이 석면에 노출되는 위험상황 확인,

<사진, 2009년 6월17일 오후 은평구청 1층 여권민원실에서
석면문제를 고발하고 있는 전국민주공무원노조 은평구지부장 김창한씨,
손에 들고 있는 건축자재는 1급 발암물질 백석면이 4~5%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9년 6월 18일
시/민/환/경/연/구/소
전국민주공무원노조 은평구지부,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내용문의; 최예용 부소장 (choiyy@kfem.or.kr)
1 조사배경;
1)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의 석면문제에 이어 관공서인 서울시 은평구청에서도 석면함유 건축자재를 함부로 다루고 있는 현장이 적발되었다.
2) 석면은 WHO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이고 2009년 1월1일부터 한국에서도 전면적인 석면사용이 금지되었으며 최근 들어 석면광산, 건축물해체 및 리모델링 현장 등에서 석면피해자 및 석면비산으로 인한 환경성 석면문제가 계속 터져나오고 있다. 환경부가 주관하는 정부합동 석면정책협의회가 가동중이고 국무총리가 석면문제를 철저히 하겠다는 다짐이 이어지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석면문제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고 관련 규정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
2 조사결과
1) 서울 은평구청 석면관련 공사 개요
① 공사명; 은평구청사 본관 증축 및 리모델링 공사
② 공사건물; 지하1층, 지상7층,
③ 공사기간; 2008년 9월10일~2009년 12월31일
④ 발주자; 은평구청
2) 문제점
① 은평구청 리모델링 공사장 1층 여권민원과 바닥과 4층 정보통신실 바닥에 떨어진 천정자재에서 석면 검출
A 1층 여권민원과 시료분석결과; 백석면 4-5%
<사진,1층 시료 석면 전자현미경 사진>
B 4층 정보통신실 시료분석결과; 백석면 8-9%
<사진, 4층 시료 석면 전자현미경 사진>
<4층 정보통신실, 석면텍스를 여기저기 뜯어놓은 상황에서 근무자들이 아무런 안전조치 없이 노출되어 있다>
<4층 정보통신실 바닥 모습>
<4층 복도 천정모습>
<1층 모습>
② 은평구청 청사 리모델링 공사중 1급 발암물질 석면함유 천정텍스재 관리 소홀로 청사본청 근무자(14개부서 370명)과 민원인(하루 300여명) 석면노출 위험,
A 1층과 4층 복도 및 사무실 대기오염 측정하여 분석 중,
B 청사 근무자 개인노출(personal sampling) 측정하여 분석 중,
C 청사 4층 복도와 사무실 먼지 채취하여 분석 중,
③ 2-5층 복도 천정 텍스철거도 안전규정 지키지 않고 근무자들 노출상태에서 진행되었다는 청사 근무자의 증언(공무원노조 은평구지부장 등) 잇달아.
A 철거업체는 비닐보양하고 안전규정 지켰다고 주장,
B 이에 대해 현장사진과 근무자 증언을 토대로 노동부, 감사원 등 관계기관에 발주처(은평구청), 시공사, 철거업체 등 고발예정,
<3층 복도 천정모습>
④ 석면철거 관리감독기관(노동부 서부지청)의 감독 소홀,
A 은평구청을 담당하는 근로감독관은 시민환경연구소가 은평구청의 석면문제 관리상태를 묻자 “은평구청은 석면 등 폐기물관리를 관장하는 곳 아닙니까? 석면문제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쓰고 있어 안심해도 됩니다. 그렇지 않아도 구청 직원들이 일하면서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매우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B 그러나 실제 현장은 석면이 함유된 천정텍스가 여기저기 떨어져 있는 등 매우 위험한 상황으로 실질적인 석면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BAN ASBESTOS NETWORK KOREA
090618 은평구청 석면문제조사보고서-시민환경연구소.doc
사진이 들어있는 원본파일을 첨부합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시민환경연구소 석면조사보고서
서울 은평구청 리모델링 공사장 석면문제 실태조사
1급 발암물질 백석면이 4-9% 함유된 천정텍스 등이 안전조치 없이 취급하는 가운데
600여명의 구청직원과 민원인이 석면에 노출되는 위험상황 확인,
<사진, 2009년 6월17일 오후 은평구청 1층 여권민원실에서
석면문제를 고발하고 있는 전국민주공무원노조 은평구지부장 김창한씨,
손에 들고 있는 건축자재는 1급 발암물질 백석면이 4~5%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9년 6월 18일
시/민/환/경/연/구/소
전국민주공무원노조 은평구지부,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내용문의; 최예용 부소장 (choiyy@kfem.or.kr)
1 조사배경;
1) 세종로 정부종합청사의 석면문제에 이어 관공서인 서울시 은평구청에서도 석면함유 건축자재를 함부로 다루고 있는 현장이 적발되었다.
2) 석면은 WHO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이고 2009년 1월1일부터 한국에서도 전면적인 석면사용이 금지되었으며 최근 들어 석면광산, 건축물해체 및 리모델링 현장 등에서 석면피해자 및 석면비산으로 인한 환경성 석면문제가 계속 터져나오고 있다. 환경부가 주관하는 정부합동 석면정책협의회가 가동중이고 국무총리가 석면문제를 철저히 하겠다는 다짐이 이어지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석면문제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고 관련 규정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
2 조사결과
1) 서울 은평구청 석면관련 공사 개요
① 공사명; 은평구청사 본관 증축 및 리모델링 공사
② 공사건물; 지하1층, 지상7층,
③ 공사기간; 2008년 9월10일~2009년 12월31일
④ 발주자; 은평구청
2) 문제점
① 은평구청 리모델링 공사장 1층 여권민원과 바닥과 4층 정보통신실 바닥에 떨어진 천정자재에서 석면 검출
A 1층 여권민원과 시료분석결과; 백석면 4-5%
<사진,1층 시료 석면 전자현미경 사진>
B 4층 정보통신실 시료분석결과; 백석면 8-9%
<사진, 4층 시료 석면 전자현미경 사진>
<4층 정보통신실, 석면텍스를 여기저기 뜯어놓은 상황에서 근무자들이 아무런 안전조치 없이 노출되어 있다>
<4층 정보통신실 바닥 모습>
<4층 복도 천정모습>
<1층 모습>
② 은평구청 청사 리모델링 공사중 1급 발암물질 석면함유 천정텍스재 관리 소홀로 청사본청 근무자(14개부서 370명)과 민원인(하루 300여명) 석면노출 위험,
A 1층과 4층 복도 및 사무실 대기오염 측정하여 분석 중,
B 청사 근무자 개인노출(personal sampling) 측정하여 분석 중,
C 청사 4층 복도와 사무실 먼지 채취하여 분석 중,
③ 2-5층 복도 천정 텍스철거도 안전규정 지키지 않고 근무자들 노출상태에서 진행되었다는 청사 근무자의 증언(공무원노조 은평구지부장 등) 잇달아.
A 철거업체는 비닐보양하고 안전규정 지켰다고 주장,
B 이에 대해 현장사진과 근무자 증언을 토대로 노동부, 감사원 등 관계기관에 발주처(은평구청), 시공사, 철거업체 등 고발예정,
<3층 복도 천정모습>
④ 석면철거 관리감독기관(노동부 서부지청)의 감독 소홀,
A 은평구청을 담당하는 근로감독관은 시민환경연구소가 은평구청의 석면문제 관리상태를 묻자 “은평구청은 석면 등 폐기물관리를 관장하는 곳 아닙니까? 석면문제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쓰고 있어 안심해도 됩니다. 그렇지 않아도 구청 직원들이 일하면서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매우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B 그러나 실제 현장은 석면이 함유된 천정텍스가 여기저기 떨어져 있는 등 매우 위험한 상황으로 실질적인 석면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
BAN ASBESTOS NETWORK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