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하루에 3건이나 기자 회견을 하신다고요? 정말 괜찮으시겠어요?”
©환경운동연합(2021)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이 기자회견을 한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나는 바로 되묻고 말았다. 지난 2013년부터 상당히 많은 시민 사회 기자회견을 다녀보았지만, 이런 경우는 흔치 않았다. 하루에, 그것도 연달아 무려 세 번의 기자회견을 한다니? 솔직히 마음 같아선 뜯어 말리고 싶었다. 이들을 반나절 동안 동행 취재할 기자들이 얼마나 될까 싶어서다.
온갖 사안들을 챙겨야 하는 기자들의 일상은, 사회 통념적인 예상보다 너무나 바빴다. 아마도 첫 번째 회견만 찍고 가지 않을까. 효율적이지 못한, 요즘 젊은이들 말로는 ‘가성비’가 떨어지는 방식일 터였다. 하지만 설 명절을 앞두고 무리를 해서라도, 뭐라도 좀 해보겠다는 피해자들의 의지는 이미 확고했다.
묘하게도 이 대목에서 나는 예능 <무한도전>이 생각났다. 2018년 성대하게 마무리 한 563회 분의 전설적인 예능 프로가 아니라, 2005년 미약한 시작이었던 <무모한 도전> 때가 말이다. 비록 피해자들은 당시 출연자들처럼 지하철과 달리기를 한다거나 하지는 않았지만, 이날의 일정 말고도 피해자들이 처한 현실은 그 자체로 무모해 보인 적이 많았다.
©환경운동연합(2021)
피해자들은 천문학적인 자본금과 정보력으로 무장한 대기업들과, 강력한 법률적인 조력을 받는 유명 로펌들을 맨 몸으로 상대해야 한다. 피해자들이 소명 의식을 갖고 싸우는 타고난 투사도 아니었고, 이들에게 든든한 ‘빽’이 있는 것도 아니다. 게다가 생활인으로서, 가족의 생계까지 책임져야 한다면… 결과는 뻔하지 않을까?
즐거워야 할 설 명절, 용산역 이마트 앞에 선 이유
“설 명절을 맞아 온 가족이 함께 즐거워야 할 시간에, 처참한 마음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그렇게 명절 연휴를 앞둔 지난 10일, 우려와 걱정부터 앞서게 한 피해자들이 용산역 이마트 앞으로 모여들었다. ‘가습기살균제기업책임 배상 추진회’와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연합’ 등 참사의 피해자들이 함께한 기자회견이었다. 이들은 이마트를 시작으로 애경과 SK본사를 차례대로 찾았다. 가해 기업들의 진심 어린 사과와 참사에 대한 진상 규명, 그리고 적극적인 배상을 촉구했다.
상황을 아시는가. 가습기 살균제 사용으로 인한 피해 신고만 7739건에, 목숨을 잃은 이는 1627명이나 된다. 지난 2011년 이후 본격적으로 공론화 된 지 10년째를 바라보지만, 해결의 실마리는 아직 요원하다. 더구나 지난 1월 12일 SK와 애경‧이마트 등, CMIT/MIT원료를 사용했던 책임 기업 관계자들에 대한 1심 판결에서, 서울 중앙지법 형사합의 23부(재판장 유영근)는 무죄 판결을 내렸다.
피해 가족 중 한 명인 김태종씨는, 착잡한 심경을 담아 이렇게 말했다.
©환경운동연합(2021)
“이마트는 많은 돈을 투자해 야구단을 구입한다고 합니다. 그 금액의 일부라도 우선 피해자들에게 배상하는데 써야 하는 것 아닙니까? 피해자들은 울분이 터집니다. 절망스럽습니다.”
그의 말은, 야구단을 인수하는 등 사세 확장에 힘을 쏟는 가해 기업의 행보에 대한 쓴소리였다. 지난 1월 25일 이마트의 모회사 신세계 그룹은 SK와이번스 인수 계획를 밝힌 바 있다. 이는 참사에 대한 책임 인정에 소극적인 모습과는, 너무나 다르다는 지적이었다.
지난해 여름 김태종씨는 아내 고 박영숙씨(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를 떠나보내야 했다. 13년 투병 생활의 결과였다. 병원 생활만 21번째, 중환자실 입원 16회에 걸친 강행군이었다. 이마트가 출시했던 ‘이플러스’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피할 수 있었을지 모를 비극이었다.
“국민들이 국산 제품을 애용해 대기업들을 키워줬는데, 그들은 지금까지 이번 사안에 사과 한마디 없습니다. 이들이 (건강에 해로운) 화학 제품을 제조하고 판매했는데도요. 더구나 진상 규명을 방해하기도 했습니다. 국민을 우롱하는 기업의 화학 제품을, 소비자들이 과연 믿고 살 수 있을까요?”
산소줄을 착용한 채 애경 본사 앞으로 찾아온, 조순미씨는 국민들에게 호소했다.
©환경운동연합(2021)
“저 또한 13년 전에는 여러분과 같이 열심히 일하던 한 사회의 일원이었고, 한 가정의 엄마였습니다. 지금은 이 산소줄이 없이는 단 한 시간도 편히 있을 수 없고, 일 년에 수차례 병원 입원으로 코로나 상황 탓에 더 힘든 투병을 해야했습니다. 무엇 때문에 우리가 이러한 고통에 처해졌는지, 국민 여러분들은 이 가습기 참사가 왜 이렇게 덮였는지 꼭 아셔야 합니다.”
그는 덧붙였다.
“이제는 정부가 우리의 참사를 들여다보고 진상을 규명해주십시오. 원인 물질을 들여온 SK와, 다른 기업들과 나눠 판매한 애경 같은 대기업들은 피해자들을 위해 진정한 사과와 배상에 나서고, 피해자들을 조금이라도 위로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줘야 합니다.”
“사법부 과연 정의로운가”
©환경운동연합(2021)
마지막으로 피해자들은 SK 본사를 찾아 진정한 사과와 책임 이행을 촉구했고, 문제해결을 위해 국민들이 관심을 가져줄 것을 요청했다.
“사법부가 과연 정의로운지, 국민을 위해 존재하는지 묻고 싶습니다. SK는 CMIT/MIT 등 유독 화학물질 뿐 아니라 PHMG 등 모든 가습기 살균제 원료를 생산했습니다. 그야말로 가습기 살균제 참사의 주범인 셈입니다. 이들이 제대로 된 처벌을 받지 않는다면, 정의가 바로 섰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앞으로 우리 피해자들은 사법부의 잘못된 판단과, 국가의 외면에도 참사의 내용을 알리기 위해 죽음을 무릎쓰고도 끝까지 싸우겠습니다. 많은 관심과 힘을 보태주십시오.”
그렇게 숨가빴던 일정은 마무리되었다. 건강을 위해 화학 제품을 사용했는데, 그러다 ‘얼떨결에’ 피해자가 된 보통 사람들의 싸움은 연휴를 앞두고도 계속되고 있었다. 이들이 만들어가는 ‘무모한 도전’의 끝은 어디일까. 그 끝은 해피 엔딩이 될 수 있을까?
※ 환경운동연합 생활환경 캠페인은 노란리본기금의 후원으로 진행됩니다.
“네? 하루에 3건이나 기자 회견을 하신다고요? 정말 괜찮으시겠어요?”
©환경운동연합(2021)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이 기자회견을 한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나는 바로 되묻고 말았다. 지난 2013년부터 상당히 많은 시민 사회 기자회견을 다녀보았지만, 이런 경우는 흔치 않았다. 하루에, 그것도 연달아 무려 세 번의 기자회견을 한다니? 솔직히 마음 같아선 뜯어 말리고 싶었다. 이들을 반나절 동안 동행 취재할 기자들이 얼마나 될까 싶어서다.
온갖 사안들을 챙겨야 하는 기자들의 일상은, 사회 통념적인 예상보다 너무나 바빴다. 아마도 첫 번째 회견만 찍고 가지 않을까. 효율적이지 못한, 요즘 젊은이들 말로는 ‘가성비’가 떨어지는 방식일 터였다. 하지만 설 명절을 앞두고 무리를 해서라도, 뭐라도 좀 해보겠다는 피해자들의 의지는 이미 확고했다.
묘하게도 이 대목에서 나는 예능 <무한도전>이 생각났다. 2018년 성대하게 마무리 한 563회 분의 전설적인 예능 프로가 아니라, 2005년 미약한 시작이었던 <무모한 도전> 때가 말이다. 비록 피해자들은 당시 출연자들처럼 지하철과 달리기를 한다거나 하지는 않았지만, 이날의 일정 말고도 피해자들이 처한 현실은 그 자체로 무모해 보인 적이 많았다.
©환경운동연합(2021)
피해자들은 천문학적인 자본금과 정보력으로 무장한 대기업들과, 강력한 법률적인 조력을 받는 유명 로펌들을 맨 몸으로 상대해야 한다. 피해자들이 소명 의식을 갖고 싸우는 타고난 투사도 아니었고, 이들에게 든든한 ‘빽’이 있는 것도 아니다. 게다가 생활인으로서, 가족의 생계까지 책임져야 한다면… 결과는 뻔하지 않을까?
즐거워야 할 설 명절, 용산역 이마트 앞에 선 이유
“설 명절을 맞아 온 가족이 함께 즐거워야 할 시간에, 처참한 마음으로 이 자리에 섰습니다.”
그렇게 명절 연휴를 앞둔 지난 10일, 우려와 걱정부터 앞서게 한 피해자들이 용산역 이마트 앞으로 모여들었다. ‘가습기살균제기업책임 배상 추진회’와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연합’ 등 참사의 피해자들이 함께한 기자회견이었다. 이들은 이마트를 시작으로 애경과 SK본사를 차례대로 찾았다. 가해 기업들의 진심 어린 사과와 참사에 대한 진상 규명, 그리고 적극적인 배상을 촉구했다.
상황을 아시는가. 가습기 살균제 사용으로 인한 피해 신고만 7739건에, 목숨을 잃은 이는 1627명이나 된다. 지난 2011년 이후 본격적으로 공론화 된 지 10년째를 바라보지만, 해결의 실마리는 아직 요원하다. 더구나 지난 1월 12일 SK와 애경‧이마트 등, CMIT/MIT원료를 사용했던 책임 기업 관계자들에 대한 1심 판결에서, 서울 중앙지법 형사합의 23부(재판장 유영근)는 무죄 판결을 내렸다.
피해 가족 중 한 명인 김태종씨는, 착잡한 심경을 담아 이렇게 말했다.
©환경운동연합(2021)
“이마트는 많은 돈을 투자해 야구단을 구입한다고 합니다. 그 금액의 일부라도 우선 피해자들에게 배상하는데 써야 하는 것 아닙니까? 피해자들은 울분이 터집니다. 절망스럽습니다.”
그의 말은, 야구단을 인수하는 등 사세 확장에 힘을 쏟는 가해 기업의 행보에 대한 쓴소리였다. 지난 1월 25일 이마트의 모회사 신세계 그룹은 SK와이번스 인수 계획를 밝힌 바 있다. 이는 참사에 대한 책임 인정에 소극적인 모습과는, 너무나 다르다는 지적이었다.
지난해 여름 김태종씨는 아내 고 박영숙씨(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를 떠나보내야 했다. 13년 투병 생활의 결과였다. 병원 생활만 21번째, 중환자실 입원 16회에 걸친 강행군이었다. 이마트가 출시했던 ‘이플러스’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지 않았다면 피할 수 있었을지 모를 비극이었다.
“국민들이 국산 제품을 애용해 대기업들을 키워줬는데, 그들은 지금까지 이번 사안에 사과 한마디 없습니다. 이들이 (건강에 해로운) 화학 제품을 제조하고 판매했는데도요. 더구나 진상 규명을 방해하기도 했습니다. 국민을 우롱하는 기업의 화학 제품을, 소비자들이 과연 믿고 살 수 있을까요?”
산소줄을 착용한 채 애경 본사 앞으로 찾아온, 조순미씨는 국민들에게 호소했다.
©환경운동연합(2021)
“저 또한 13년 전에는 여러분과 같이 열심히 일하던 한 사회의 일원이었고, 한 가정의 엄마였습니다. 지금은 이 산소줄이 없이는 단 한 시간도 편히 있을 수 없고, 일 년에 수차례 병원 입원으로 코로나 상황 탓에 더 힘든 투병을 해야했습니다. 무엇 때문에 우리가 이러한 고통에 처해졌는지, 국민 여러분들은 이 가습기 참사가 왜 이렇게 덮였는지 꼭 아셔야 합니다.”
그는 덧붙였다.
“이제는 정부가 우리의 참사를 들여다보고 진상을 규명해주십시오. 원인 물질을 들여온 SK와, 다른 기업들과 나눠 판매한 애경 같은 대기업들은 피해자들을 위해 진정한 사과와 배상에 나서고, 피해자들을 조금이라도 위로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줘야 합니다.”
“사법부 과연 정의로운가”
©환경운동연합(2021)
마지막으로 피해자들은 SK 본사를 찾아 진정한 사과와 책임 이행을 촉구했고, 문제해결을 위해 국민들이 관심을 가져줄 것을 요청했다.
“사법부가 과연 정의로운지, 국민을 위해 존재하는지 묻고 싶습니다. SK는 CMIT/MIT 등 유독 화학물질 뿐 아니라 PHMG 등 모든 가습기 살균제 원료를 생산했습니다. 그야말로 가습기 살균제 참사의 주범인 셈입니다. 이들이 제대로 된 처벌을 받지 않는다면, 정의가 바로 섰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앞으로 우리 피해자들은 사법부의 잘못된 판단과, 국가의 외면에도 참사의 내용을 알리기 위해 죽음을 무릎쓰고도 끝까지 싸우겠습니다. 많은 관심과 힘을 보태주십시오.”
그렇게 숨가빴던 일정은 마무리되었다. 건강을 위해 화학 제품을 사용했는데, 그러다 ‘얼떨결에’ 피해자가 된 보통 사람들의 싸움은 연휴를 앞두고도 계속되고 있었다. 이들이 만들어가는 ‘무모한 도전’의 끝은 어디일까. 그 끝은 해피 엔딩이 될 수 있을까?
※ 환경운동연합 생활환경 캠페인은 노란리본기금의 후원으로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