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페놀이다.”
카랑카랑한 목소리가 서울 한복판 빌딩숲에 울려 퍼졌다. 곧이어 유리병에 담긴 액체 페놀이 하얀 천을 검게 물들였다. 페놀은 피부에 닿으면 발진이 생기고 체내에 들어가면 소화기와 신경계통에 장애를 주는 발암 물질이라 특정유해물질로 규정돼 있다.
2013년 강릉 포스코 페놀 유출 사고, 주민은 여전히 고통
11일 강릉시 옥계면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가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릉 페놀유출사건의 정확한 역학조사와 생계대책 등을 요구했다.
ⓒ 정대희
11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빌딩 앞에서 강릉시 옥계면 지역 주민과 환경 단체가 강릉 페놀유출 사고의 정확한 역학 조사 및 생계 대책 등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강원도 강릉시 옥계 김진상가 살리기 범대책위원회와 환경운동연합 등 20여 명은 사고 발생 2년이 다 되도록 제대로 된 사고 조사와 피해 보상, 복구 계획 등을 이행하지 않고 있는 포스코를 향해 비판을 쏟아냈다.
강릉 포스코 페놀 유출 사건은 지난 2013년 6월 2일 강원동 강릉시 옥계면에 위치한 주수천 교량공사의 터파기 공사 중 다량의 페놀 등 유해 물질 유출이 발견된 사건이다. 당시 조사 결과 포스코 마그네슘 공장에서 유출됐다는 것이 확인됐다.
같은 해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이 현장 시료를 채취해 오염 분석을 한 결과에 따르면 페놀 2307mg/kg이 확인, 기준치(0.005)의 46만 배나 오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석유계 총 탄화수소(TPH)도 4만2610mg/kg(기준치 0.05)이 검출됐으며, 크실렌은 89.6mg/kg(기준치 포스코 45)이 확인됐다.
환경운동연합은 “당시 포스코는 페놀이 마그네슘 공장에서 주수천까지 약 200m를 이동할 때까지 유출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며 “이후 정밀조사를 진행했으나 3차에서는 비소를 제외하는 등 사고 수습 책임을 다하지 않는 모습이었다”고 비판했다.
주민들에 따르면, 포스코는 지난해 9월 주민 설명회를 열고 ‘마그네슘 제련 공장 토양, 지하수 정화 계획’을 공개했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토양 정화는 2018년 6월까지 4년간 진행하고 지하수는 2025년 9월까지 11년간 자연 정화를 한다는 계획이다.
우병담 대책위원장도 포스코의 정화 대책을 비판하고 나섰다. 우 위원장은 “11년 동안 지하수를 자연 정화하겠다는 것은 사실상 11년 동안 오염 물질을 방치하겠다는 의미”라며 “포스코는 환경적 재앙에 해당하는 사고를 해결하기 위한 합당한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지적했다.
11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빌딩에서 강릉 옥계면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가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 강릉 페놀유출사건’의 정확한 역학조사와 생계대책 등을 요구했다.
ⓒ 정대희
토양 정화 방법에 대해선 그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됐다. 포스코는 오염된 토양의 20~30% 정도에 한해 토양 세척을 실시하고, 나머지는 물과 고황산나트륨을 흙 속으로 주입한 뒤 다시 양수하는 방법으로 오염을 정화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박창근 관동대 토목학과 교수는 “토양 세정법은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사례가 없고 그 효율도 미지수”라며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정화율이 40%에도 미치지 못해 토양 정화 방법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책위에 따르면 포스코 마그네슘 공장 주변에서 농사를 짓는 김아무개씨(59)는 지난해 페놀 중독 진단을 받았다. 소변 검사 결과 김씨는 일상 생활에서 검출될 수 있는 페놀의 최대 수치인 20㎎/gCr보다 4배 많은 85.87㎎/gCr의 페놀이 검출됐다. 우병담 대책위원장은 “주민들은 불안해서 제대로 살 수가 없을 지경”이라며 “포스코는 합당한 대책을 하루 빨리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페놀 유출 사고 후 지역 경제에도 타격이 심각해 옥계면 일대 상가 대부분이 개점 휴업 상태고, 민박업 종사자도 관광객 감소로 생계 위협에 처해 있다”며 “포스코는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경운동연합도 “물고기 떼죽음과 대규모 조계 폐사 등 생태계 파괴 현상이 사고 이후에도 이어지고 있다”며 “포스코는 정확한 역학 조사와 대책을 마련하라”고 강조했다.
“이게 페놀이다.”
카랑카랑한 목소리가 서울 한복판 빌딩숲에 울려 퍼졌다. 곧이어 유리병에 담긴 액체 페놀이 하얀 천을 검게 물들였다. 페놀은 피부에 닿으면 발진이 생기고 체내에 들어가면 소화기와 신경계통에 장애를 주는 발암 물질이라 특정유해물질로 규정돼 있다.
2013년 강릉 포스코 페놀 유출 사고, 주민은 여전히 고통
11일 강릉시 옥계면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가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빌딩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릉 페놀유출사건의 정확한 역학조사와 생계대책 등을 요구했다.
ⓒ 정대희
11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빌딩 앞에서 강릉시 옥계면 지역 주민과 환경 단체가 강릉 페놀유출 사고의 정확한 역학 조사 및 생계 대책 등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강원도 강릉시 옥계 김진상가 살리기 범대책위원회와 환경운동연합 등 20여 명은 사고 발생 2년이 다 되도록 제대로 된 사고 조사와 피해 보상, 복구 계획 등을 이행하지 않고 있는 포스코를 향해 비판을 쏟아냈다.
강릉 포스코 페놀 유출 사건은 지난 2013년 6월 2일 강원동 강릉시 옥계면에 위치한 주수천 교량공사의 터파기 공사 중 다량의 페놀 등 유해 물질 유출이 발견된 사건이다. 당시 조사 결과 포스코 마그네슘 공장에서 유출됐다는 것이 확인됐다.
같은 해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이 현장 시료를 채취해 오염 분석을 한 결과에 따르면 페놀 2307mg/kg이 확인, 기준치(0.005)의 46만 배나 오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석유계 총 탄화수소(TPH)도 4만2610mg/kg(기준치 0.05)이 검출됐으며, 크실렌은 89.6mg/kg(기준치 포스코 45)이 확인됐다.
환경운동연합은 “당시 포스코는 페놀이 마그네슘 공장에서 주수천까지 약 200m를 이동할 때까지 유출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며 “이후 정밀조사를 진행했으나 3차에서는 비소를 제외하는 등 사고 수습 책임을 다하지 않는 모습이었다”고 비판했다.
주민들에 따르면, 포스코는 지난해 9월 주민 설명회를 열고 ‘마그네슘 제련 공장 토양, 지하수 정화 계획’을 공개했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토양 정화는 2018년 6월까지 4년간 진행하고 지하수는 2025년 9월까지 11년간 자연 정화를 한다는 계획이다.
우병담 대책위원장도 포스코의 정화 대책을 비판하고 나섰다. 우 위원장은 “11년 동안 지하수를 자연 정화하겠다는 것은 사실상 11년 동안 오염 물질을 방치하겠다는 의미”라며 “포스코는 환경적 재앙에 해당하는 사고를 해결하기 위한 합당한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지적했다.
11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빌딩에서 강릉 옥계면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가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 강릉 페놀유출사건’의 정확한 역학조사와 생계대책 등을 요구했다.
ⓒ 정대희
토양 정화 방법에 대해선 그 효과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됐다. 포스코는 오염된 토양의 20~30% 정도에 한해 토양 세척을 실시하고, 나머지는 물과 고황산나트륨을 흙 속으로 주입한 뒤 다시 양수하는 방법으로 오염을 정화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박창근 관동대 토목학과 교수는 “토양 세정법은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사례가 없고 그 효율도 미지수”라며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면 정화율이 40%에도 미치지 못해 토양 정화 방법으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대책위에 따르면 포스코 마그네슘 공장 주변에서 농사를 짓는 김아무개씨(59)는 지난해 페놀 중독 진단을 받았다. 소변 검사 결과 김씨는 일상 생활에서 검출될 수 있는 페놀의 최대 수치인 20㎎/gCr보다 4배 많은 85.87㎎/gCr의 페놀이 검출됐다. 우병담 대책위원장은 “주민들은 불안해서 제대로 살 수가 없을 지경”이라며 “포스코는 합당한 대책을 하루 빨리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페놀 유출 사고 후 지역 경제에도 타격이 심각해 옥계면 일대 상가 대부분이 개점 휴업 상태고, 민박업 종사자도 관광객 감소로 생계 위협에 처해 있다”며 “포스코는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경운동연합도 “물고기 떼죽음과 대규모 조계 폐사 등 생태계 파괴 현상이 사고 이후에도 이어지고 있다”며 “포스코는 정확한 역학 조사와 대책을 마련하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