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안전


우리는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참사를 예방할 수 있을까요?

위험사회를 말한 울리히 벡의 지적처럼, 가슴 아픈 참사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우리 사회를 좀 더 안전하게 만들기 위한 노력으로 제품 안전정보의 투명한 공개를 요구하며,

불법행위를 한 기업들의 책임을 묻는 운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모두가 안전한 사회를 위한 제도마련에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화학안전 


우리는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참사를 예방할 수 있을까요? 위험사회를 말한 울리히 벡의 지적처럼, 가슴 아픈 참사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은 우리 사회를 좀 더 안전하게 만들기 위한 노력으로 제품 안전정보의 투명한 공개를 요구하며, 불법행위를 한 기업들의 책임을 묻는 운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모두가 안전한 사회를 위한 제도마련에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성명서·보도자료[화학안전] 영풍그룹은 석포제련소를 즉시 폐쇄하라

강홍구 조직정책팀 팀장
2024-03-20
조회수 7004

(주)영풍과 석포제련소의 막대한 잉여금은 공짜가 아니다.



20일 환경운동연합은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영풍빌딩 앞에서 (주)영풍의 79기 주주총회를 맞아 항의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연이어 노동자가 죽어 나가는 위험천만한 사업장이자, 백두대간 산림을 고사시키고 낙동강 상류 생태계와 식수원을 오염시키는 영풍 석포제련소를 향한 지탄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영풍은 4가지 경영이념 중 가장 먼저 ‘환경친화’를 들고 있고, CEO인사말은 “자연을 생각하고 산업을 선도하는 세계 초일류 친환경 비철금속 기업“이라 칭하지만 그린워싱의 사례에 불과할 뿐이다. 이날의 기자회견은 안동환경운동연합, 대구환경운동연합, 환경보건시민센터, 영풍제련소 주변환경오염및주민피해 공동대책위원회, 서울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이 함께했다.


 '위험의 외주화'라는 말처럼 영풍석포제련소는 위험공정을 하청직과 일용 임시직에 맡기고 그들의 건강과 생명을 사지로 몰고있다. 지난 2023년 12월 노동자 4명이 급성 비소중독에 쓰러졌고 이중 1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3개월여만인 3월 8일 임시직 노동자가 작업중 또 사망했다. 이 50대 초반의 노동자는 정규직은 물론 아니었고 하청업체 직원조차도 아니었다. 인력업체가 삼척에 사는 노동자를 석포제련소에 공급한 임시 일용직이었다. 당시 하청업체 직원 두명 중 한명은 사망했고 다른 한명은 심각한 건강피해를 입었다. 노동자들이 계속 죽고 다치는 위험한 공장에서 숙련된 정규직 혹은 하청직 노동자들도 목숨을 잃는 현장에 임시 일용직 노동자를 투입해 목숨을 잃었다.


”영풍석포제련소의 막대한 잉여금이 낙동강 최상류에서 환경오염, 각종 환경범죄 그리고 심지어는 노동자들의 죽음으로 만들어진 이익이라는 것을 혹시 알고 계십니까?“ 



안동환경운동연합 김수동 대표는 이러한 현실을 개탄하며 발언을 이어갔다. 그는 영풍석포제련소가 1970년부터 54년 동안 낙동강 최상류에서 영남인들 1300만 명의 국민의 식생활용수를 카드 납, 아연 수은, 비소, 구리 등의 중금속으로 오염시켜 온 사실을 상기했다. 그리고 “주변 산천에는 아황산가스로 인해서 산성비가 내려서 나무가 전부 고사했습니다. 주민 건강은 혈중 카드늄 농도가 국민 전체 평균의 3.47배나 높다. 낙동강 최상류에서 온갖 환경 범죄와 그리고 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몰아서 그 이윤을 나누는 게 얼마나 합당할지 주주님들이 다시 한번 겸허하게 반성해야 한다.”며 ”기업의 이윤을 위해 주변 산천을 말라 죽이고, 주민들을 카드뮴 중독에 빠져들게 만들고 노동자들을 사지로 내모는 이러한 범죄를 더 이상 용납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영풍그룹의 현금 보유액이 대한민국 9위라고 합니다. 영품그룹은 그래서 마지막 남아 있는 네번째 해고당한 조합원들에게 영풍이 어떤 짓을 한 줄 아십니까? 복직을 죽어도 안 시키겠다는 뜻으로 남아있는 정년까지의 100% 임금을 제안했습니다. 그때 느꼈죠. 아 이 싸움 내가 죽을 때까지 해도 파주공장으로 시그네틱스로 돌아갈 수 없겠구나. 20년을 했는데 더 부족하면 더 해야지 2년 전에 남은 해고자들이 함께 결의했습니다.“ 


영풍그룹의 계열사 시그네틱스에서 해고된 후 복직 투쟁을 벌이고 있는 윤민혜 분회장(금속노조 시그네틱스분회)은 영풍그룹의 반노동적인 행태를 규탄했다.그녀도 34살이던 2001년 해고를 통보받았다.그녀의 아들이 4살, 7살이었다. 일방적인 공장이전에 항의한 결과였다. 시그네틱스는 필립스가 국내에 설립했던 공장을 모태로 한다. 1997년도에 부도가 났고 2000년도에 영풍그룹이 인수했다. 하지만 영풍은 무노조 경영방침을 관철했고 “정규직 없는 꿈의 공장”으로 변하게되었다. 영풍그룹과 대면한 2,000년에 600명이던 조합원은 2024년 현재 15명이 남았다. 하지만 그녀는 복직의 희망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녀는 ”영풍은 무노조 정책을 펴고 환경 문제도 무시하며 경영을 이어나가고 있다”며, “영풍이 변할 때까지 그리고 세상이 변할 때까지 우리의 삶이 좀 더 안전하고 평등한 세상이 될 때까지 열심히 투쟁하겠다.“고 강조했다.



허승규 녹색정의당 부대표는 ”노동자들을 죽이지 않고 환경을 파괴하지 않도록 영풍그룹의 기업활동을 바꿔야 한다.“며 22대 국회에서 문제를 공론화시키겠다고 말했다.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은 공유지의 비극을 언급하며, ”낙동강 상류가 백두대간이 영풍, 석포제련소가 오염시켜서 돈을 벌어도 되는 공유지의 비극입니까? 백두대간을 낙동강 상류를 자신들의 사유지처럼 여기고 오염시켜 돈을 버는 영풍. 그것이 영풍이 말하는 환경친화적인 자본주의입니까? 이것이 오늘 총회의 본질입니까?“ 라고 되물었다.

신우용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영풍그룹의 수많은 탈법과 위법의 행태들이 우리가 알고 있는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석포제련소에 고스란히 녹아든다며, 더 많은 시민들과 연대해서 영풍과 같은 악덕 기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낙동강과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 주민의 건강피해, 노동자의 죽음을 언급하며 조속한 폐쇄  및 이전 해법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2024년 3월 20일 


안동환경운동연합, 대구환경운동연합, 환경보건시민센터, 영풍제련소 주변환경오염및주민피해 공동대책위원회, 

서울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





[별첨1] 기자회견문 

살인기업 영풍의 민낯을 고발합니다


연이어 노동자가 죽어 나가는 위험천만한 사업장이자 백두대산 산림을 고사시키고 낙동상 상류 생태계와 식수원을 오염시키는 '환경 범죄기업 영풍 석포제련소 문닫으라'는 사회적 목소리가 높습니다.


영풍의 홈페이지에는 4가지 경영이념 중 가장 먼저 ‘환경친화’를 들고 있습니다. 그리고 CEO인사말의 제목은 “(주)영풍은 자연을 생각하고 산업을 선도하는 세계 초일류 친환경 비철금속 기업입니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노동자가 계속 죽어 나가고 주변 산림이 고사하는 사업장의 최우선적인 경영이념이 ‘환경친화’이고, CEO가 ‘자연을 생각하는 세계 초일류 친환경 기업’이라고 하니 이런 거짓말이 어디 있을까요? 요즘 유행한다는 가짜 친환경의 ‘세계 초일류’적인 ‘그린워싱’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2023년 12월 노동자 4명이 급성 비소중독에 쓰러졌고 이중 1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습니다. 3개월여만인 3월8일 임시직 노동자가 작업중 또 사망했습니다. 이 50대 초반의 노동자는 정규직은 물론 아니었고 하청업체 직원조차도 아니었답니다. 인력업체가 삼척에 사는 노동자를 석포제련소에 공급한 임시 일용직이었습니다. 작년 12월 사고때 정규직 직원 2명도 비소중독으로 입원했는데 다행히 바로 퇴원했습니다. 당시 하청업체 직원 두명 중 한명은 사망했고 다른 한명은 심각한 건강피해를 입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정규직도 하청직도 아닌 단순 임시 일용직이었습니다. 노동자들이 계속 죽고 다치는 위험한 공장에서 숙련된 정규직 혹은 하청직 노동자들도 목숨을 잃는 현장에 임시 일용직 노동자를 투입해 목숨을 잃게했던 것입니다. 사람을 고의로 죽인 살인과 뭐가 다를까요...  


'위험의 외주화'라는 말이 있는데 영풍석포제련소는 이를 철저히 실천해 정규직을 보호하고 위험공장을 하청직과 일용 임시직에 맡기고 그들의 건강과 생명을 사지로 몹니다. 이들 하청직과 임시직 노동자의 중독과 사고사망에 대한 민형사상의 책임에서 회사는 정규직의 경우보다 훨씬 자유롭게 됩니다...  이게 영풍이 말하는 '세계 초일류기업'의 진짜 모습입니다.   


이러한 때 주식회사 영풍이 제73기 주주총회를 연답니다. 


연이은 노동자 사망과 환경오염으로 인한 사회적 지탄을 조금이라도 신경쓴다면, 주주총회 참석자들은 말로만이 아닌 실제 친환경기업으로 어떻게 거듭날지 머리를 맞대는 자리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그런데 주주총회 안건에는 영풍석포제련소의 노동자 사망문제와 환경오염문제를 어떨게 해결할지에 대한 안건은 전혀 없습니다. 노동자의 생명과 환경오염을 담보로 벌어들인 이익잉여금을 어떻게 나눌지에 대한 돈잔치 안건과 2023년 12월 노동자 사망참사로 입건중인 배상윤 석포제련소 공장장에 대한 이사 재선임 안건 등 이사와 감사선임 안건 그리고 이사들의 보수승인 안건 등입니다. 이윤 배당 이전에 사회적 책임이 먼저가 아닐까요? 


영풍이 홈페이지에 자회사라고 표기한 온산공단에 있는 고려아연의 환경오염과 작업환경 안전문제는 영풍석포제련소와 오십보백보입니다. 그런데 두 회사의 소위 오너라는 사람들은 서로를 잡아먹으려고 으르렁거리며 노동자 안전과 환경보호는 뒷전입니다.또하나 중요한 문제는 영풍의 실질 사주 장현진이 회장직에서 물러나 영풍 고문으로 있으면서 서류상 대표들에게 수렴청정을 하면서 영풍의 실질 경영권을 행사하는 일입니다. 노동자 사망사고로 인한 '중대재해처벌법'의 법적 책임 또한 실질 사주에게 해당되지 않습니다. 모든 법적인 문제가 터지만 서류상 대표가 책임지면 되기때문에 반세기 넘는동안 영풍의 사회적 책임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던 것입니다.   


우리는 3월12일 광화문에서의 기자회견에 이어 3월20일 영풍 주주총회장을 찾아 영풍석포제련소의 문제점을 주주들이 똑바로 알도록 전하는 기자회견을 갖습니다. 수많은 노동자의 생명을 빼앗고 생태계를 파괴한 댓가로 벌어들인 피묻은 돈으로 소위 주주 배당금이라는 돈잔치를 벌이는 영풍석포제련소의 주주총회의 민낯을 사회에 알리고자 합니다. 


2024년 3월 20일 

(주)영풍 주주총회장앞 기자회견 참가 시민단체 일동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사장 : 노진철

고유번호 : 275-82-00406
대표전화 : 02-735-7000

Fax : 02-735-7020
주소 : 03039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2층(누하동)

대표 메일 : web@kfem.or.kr
후원 : 우리은행 1005-801-085917

(예금주 : 사단법인 환경운동연합)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후원하기
공익제보(국민인권익위)
국세청
사이트맵 열기



Copyright © 2022. KFE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