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민환경연구소 cies.kfem.or.kr
(110-806)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251번지 ▪ 전화 02)735-7034 ▪ 팩스 02)730-1240
성 명 서 (총 2매) |
낙동강 발암물질 1,4-다이옥산 가이드라인농도 초과 검출
– 환경부의 무책임한 대책에 따른 필연적 결과 –
19일 대구상수도사업본부는 오전 6시 정수장에서 취수한 낙동강 원수에서 1,4-다이옥산 농도가 66.8㎍/ℓ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난 12일 이후 지속적으로 가이드라인(50㎍/ℓ)를 초과하였다고 한다. 14일 79.78㎍/ℓ를 정점으로 17일 68.3㎍/ℓ, 18일 56.6㎍/ℓ로 계속 초과했다. 대구시는 오늘 낙동강 원수의 1,4-다이옥산 검출사실을 주민공지 하기에 이르렀다.
1,4-다이옥산은 세계보건기구 산하 IARC가 정한 그룹 2B(DDT, 납 등 포함)에 속하는 발암의심물질이다. 동물실험에서 발암을 일으키고 DNA변이를 일으키는 물질로 판명되었다. 이 물질을 장기간 흡입하면 1차적으로 폐장에 변성을 일으키고, 2차적으로 신장과 간장의 괴사를 불러온다.
낙동강 원수에서 1,4-다이옥산의 검출은 이미 지난 2004년 사회문제가 된 적이 있다. 당시 환경부가 실시한 정기적인 미량유해화학물질 전국조사 결과, 낙동강 수계에서 1,4-다이옥산이 고농도가 검출된 사실이 드러났다. 폴리에스테르 제조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1,4-다이옥산은 당시 오염 원인을 파악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2004년 이후 5년이 지났다. 낙동강 수계 수백만의 시민들을 다시 불안에 떨게 한 것은 정부의 안이한 대처 때문이다. 관계당국은 낙동강 수계 정수에서 48.5㎍/ℓ가 검출되었으니 끓여 먹도록 권고하고 있다. 1,4-다이옥산은 끓인다고 쉽게 사라지는 물질이 아니다. 여전히 당국은 미온적인 대처를 되풀이하고 있다.
당시 발암물질인 1,4-다이옥산이 상수원수에서 검출되었다는 점과 합성섬유 공정과정에서 생긴 부산물로서 모니터링도 제대로 안 되었다는 점이 사회적으로 충격을 안겨주었다. 환경부는 해당업체, 지자체와 자율협약을 체결하고, 가이드라인 농도를 50㎍/ℓ로 설정하였다. 세계보건기구의 먹는 물 권고 가이드라인이 50㎍/ℓ라는 것이 그 이유였다.
하지만 환경단체는 갈수기와 정수장의 처리효율을 감안하여 가이드라인 농도를 30㎍/ℓ로 정할 것을 주장하였다. 해당 전문가들이 원수의 1,4-다이옥산 농도가 30㎍/ℓ가 되어야 정수장에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조언에 따른 것이었다. 또한 배출 규제를 위한 자발적 협약은 업체에게 면죄부를 주는 것으로 당국이 직접 규제를 해야 한다고 표명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환경단체의 주장은 외면되고 말았다.
정부의 제대로 된 정책시행 만이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 환경부는 이제라도 1,4-다이옥산의 오염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는 확실한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 1,4-다이옥신 배출업체와 맺은 자율협약은 파기하고 직접 배출 규제를 해야 한다. 올해와 같은 갈수기 환경, 정수장 처리능력을 고려하여 가이드라인 농도를 30㎍/ℓ로 강화해야 한다. 무책임한 정책의 결과가 어떠한지 환경부는 이번 1,4-다이옥산 검출을 통해 명심하고 국민건강을 최우선으로 하는 책임 있는 수질정책을 수행하기 바란다.
2009년 1월 19일
시민환경연구소
문의: | 시민환경연구소 백명수 기획실장(011-662-85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