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생태보전 보도자료

한반도 환경협력 실현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DMZ 생태계 보전을 중심으로

한반도 환경협력 실
현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
– DMZ 생태계 보전을 중심으로 –

○ 환경운동연합은 한반도 DMZ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남북한 환경협력을 통
해 이를 실현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며
이에 대한 국내외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5월 6일 [한반도 환경협력 실현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합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남북한의 평화와 환경협력 과제, DMZ 생태계 현황 및 중요성, 그리고 DMZ의 보전을 위
해 남북한이 함께 노력할 방안들에 대해
심도있게 연구해 온 국내외의 많은 학자들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 심포지엄을 DMZ보전을 위한 남북한 공동의 과제를 도출할 뿐 아니라, 남북한 환경협
력의 방향과 활동들을 담은 공동선언문을
채택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프로그램은 첨부하는 안내장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표지
외 5쪽).

○ 이에 귀 언론사의 많은 관심과 취재를 부탁드립니다.

——————————————————-

한반도 환경협력 실현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
– DMZ 생태계 보전을 중심으로-

○ 일시 : 2002. 5. 6. (월) 오전9시∼오후6시
○ 장소 : 성균관대학교 600주년기념관 첨단강의실
○ 주최 : 환경운동연합, DMZ 포럼
○ 주관 : 환경운동연합DMZ특별위원회
○ 후원 : 환경부, 산림청, 아시아재단, 사무엘루빈재단

——————————————————-

○ 첨부자료 ⑴ [한반도 환경협력 실현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 프로그램 (3매)
○ 첨부자료 ⑵ 심포지엄 외국 발제 참가자의 단체 소개 (2매)

2002년 5월 2일

환경운동연합

<문의> 국제연대팀 김연지 간사/02-735-7000, 019-359-6641,
kimyj@kfem.or.kr
생태보전팀 김은숙 간사/016-309-5373, eskim@kfem.or.kr

———————————————————————————

외국 참가 인사 소개

○ 로버트 스칼라피노 (Robert A. Scalapino)
동아시아연구소, 캘리포니아 대학교 교수

<학위>
산타바바라 대학교(미국) 학사학위
하바드 대학교(미국) 석/박사학위

<경력>
1949-1990 캘리포니아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
1962-1965 정치학과 학과장 역임
1977-1990 정부 Robson 연구 교수
1978-1990 동아시아연구소 설립, 연구소 대표
현재 정부 Robson 연구 명예교수

<출판물>
아시아 정치학과 미국의 아시아 정책에 대한 526개에의 글을 발표, 38권의 책을 출판,
수많은 논문들을 발표했다.
– 1952, 전전 일본의 민주주의와 정당활동
– 1962, 당대 일본의 정당과 정치활동
– 1972, 한국의 공산주의 (Chong-Sik Lee 공저)
– 1975, 아시아와 앞으로의 길
– 1977, 현대 일본의 해외 정책 (편집자, 기고자)
– 1979, 미국과 한국-앞을 바라보며
– 1984, 초기의 일본 노동 운동
– 1985, 현대 중국과 혁명 과정 (George T. Yu, 공저)
– 1987, 동북아시아의 주요 힘의 관계
– 1989, 개발의 정치학: 20세기 아시아의 전망
– 1992, 마지막 레닌주의자: 아시아 공산주의 체제의 불분명한 미래
– 1962-1996 [아시아 Survey]의 편집자

<수상경력>
– 일본정부 Sacred Treasure 훈장
– 한국정부 Diplomatic Service Merit, Heung-in 메달
– 몽고정부 Friendship 메달
– 경희대학교 평화연구 대학원 연구소 최고명예 메달
– U.C.버클리 버클리 메달
– 산다바바라 Distinguished Alumni Award
– 일본 재단 시상
– 북경대학교와 몽고 동북아시아연구센터 명예교수

○ 조지 아치볼드(George Achibald)
국제 두루미재단 이사회 의장

<학위>
1976 코넬 대학교(미국) 박사학위
1968 달후시 대학교(캐나다) 학사학위

<활동내용>
국제두루미재단을 설립한 이후, 아치볼드 박사는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이란, 인도, 일
본, 한국, 미국에서 8가지 두루미 종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또한 64개국의 900명 이상의 연구자들이 있는 두루미 활동단
체 조직을 도왔다. 각 단체와 많은 산하단체들은
정례적인 모임을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연구 보고서를 출간하고 있다.
다양한 NGO 활동을 통해, 중국과 러시아 등지에 있는 아시아의 5백만 핵타르 이상의 습
지보전활동을 하고 있으며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유라시아의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보전-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다. 국제두루미재
단은 포획한 두루미의 종자은행을 설립하여 위협받고
있는 수많은 두루미들을 지속적으로 번식시키는데 성공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경력>
– 2000 to 현재 국제두루미재단 이사회 의장
– 1973-2000 국제두루미재단 회장
– 1972-1973 일본 두루미 현장 조사(뉴욕 동물학회 지원)
– 1968-1971 코넬대학교 대학원 과정,
코넬대학교 조류연구실의 둥지 조사 프로그램 참가
– 1965-1968 달후시 대학교 학부과정, 척추동물 비교해부학 조교
– 1966/67 summer 캐나다 알버타 수렵장 조류사육사
– 1965 summer 캐나다 노바스코티아 토지와 산림 분과에 대한 조류 밴드 연구활동

<출판물>
10권 가까운 생태학 관련 단행본에 두루미의 생태와 보전방안에 대한 아치볼드의 박사
의 글이 실려 있고, 두루미 보전을 위한 수차례
국내·외 심포지엄에서 발표를 했다. 또한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의 보고서에 아치볼드
박사의 두루미의 조사결과와 보전계획들이 수록되어
있다.
기타 많은 추가적인 대중적인 글들이 Animail Kindom, Yacho, International Wildlife,
Darshan,
Natural History, National Geographic, Ranger Rick, and The ICF Bugle 등을
통해 발표되었다.

admin

admin

(X) 생태보전 보도자료의 최신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