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의 낙동강하구 을숙도 명지대교 직선화
최종심의(29일)에 대한 환경운동연합 성명서
– 부산시의 명지대교 직선화 계획을 유보한 문화재위원의 결정을 환영한다 –
낙동강하구 을숙도 명지대교 직선화와 관련한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의 최종심의가 결국 10월로
유보됨으로 인해 우리는 안도와 함께 또 다른 걱정을 지울 수 없다. 관계위원들이 전하는 바에
의하면 부산시의 안이 수용하기에는 문제가 있다고 하면서 결정 자체를 10월로 연기시켰다 함은
부산시가 직선화에 대한 보강자료를 갖추면 수용해줄 수도 있다는 여지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오는 10월이 오더라도 그 같은 상황의 도래가 있지 않을 것
으로 판단한다. 그것은 현재의 문화재위원들이 학자적 양심과 생태·환경적 진실에 기초하여 부
산시가 아무리 내용을 보완하더라도 문제의 핵심, 예컨대 을숙도 남단의 가장 민감한 지역에 대
한 영향을 해소할 수 없다는 판단을 할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그러한 근거는 96년 이후 수 차례에 걸친 부산시의 안이 유보되는 과정에서도 명확히 드러
나는 바, 부산시의 안이 계속적으로 문화재위원들에 의해 거부된다는 것은 이처럼 고려해야할 가
장 근본적인 결함을 해소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같은 결과를 부산시는 겸허하게 수용하
는 한편 소모적이고, 편가르기식의 편협된 억지를 즉각 중단하여 직선화 계획을 철회해야 한다.
더하여 부산시의 안이 일부 개발 강경론자와 낙동강하구에 대한 정보가 공유되지 못한 채 동
원된 막연한 시민그룹에 의해 조장되는 우가 없어야 한다. 무엇보다 을숙도의 하단부는 그나마
생태적 기능을 유지하는 기본축으로 낙동강 하구 전체의 생태적 질서와 연결되는 교두보로서 무
지하고도 무분별한 개발은 이제 중단되어야 한다.
낙동강하구 을숙도는 세계가 예의 주시하는 공간이다. 비록 한때의 오류로 인해 을숙도의 명
성과 기능이 왜곡되어 있지만 21세기의 하구습지 관리정책은 이와 같은 실패를 극복하고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모델로서 자리잡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시는 다시금 을숙도의 중요성
을 감안한 획기적인 정책의 전환을 과감히 실시하는 한편, 문화재위원은 더 이상 명지대교에 대
한 논의를 거부하고 을숙도를 지키는 최후의 보루로서 그 의무를 져버리지 말아야 한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오늘의 결과를 환영하는 동시에 부족하였던 시민적 합의와 논의를 더욱 성
숙하게 이끌어 낼 수 있는 계기로 삼는 한편, 을숙도를 비롯한 낙동강 하구 전반에 대한 보존과
현명한 이용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할 것임을 밝히는 바이다.
-우리의 주장-
1. 부산시는 생태·환경적으로 문제가 분명히 예상되는 을숙도 명지대교 건설을 백지화하라!
2. 부산시는 하구생태계의 유지·복원을 위해 환골탈퇴의 자세로 하구문제에 임하라!
3. 안상영 시장은 더 이상의 무리하고도 파괴적인 하구개발을 포기하라!
4. 문화재청은 부산을 넘어선 전국적인 반대의사를 존중하여 부산시의 명지대교 건설계획을 거부
하라!
5. 문화재위원은 학자적 양심과 생태적 진실에 기초하여 낙동강하구 보전에 충실히 임하라!
2001년 8월29일
부산환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
※ 문의: 이성근 부산환경운동연합 자연생태부장 051-465-0221 /016-564-7959
장지영 환경운동연합 갯벌팀장 02-735-7000 / 018-730-77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