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생태보전 보도자료

[반달곰공청회]발표1-7 우리나라 야생동식물의 멸종위기 현황 및 원인

7. 우리나라 야생동식물의 멸종위기 현황 및 원인

위기에 처한 생물종 현황
포유류 : 남한의 주요 포유류 대부분이 심각한 멸종 위기
– 멸종 : 호랑이, 표범, 여우, 늑대
– 멸종위기 : 반달가슴곰, 산양, 사향노루, 수달, 담비 등
※ 멧돼지, 노루, 고라니, 토끼 등은 번성
조류
– 멸종 또는 멸종위기 : 따오기, 황새, 크낙새
– 서식지 파괴 또는 위협 : 흑두루미, 두루미, 및 갯벌을 이용하는 새(Shore
Birds), 제비 등
※ Shore birds는 갯벌을 이용하는 데 갯벌매립의 대부분은 농림수산부의 농
업용 간척이었음. 그러나 산림청에서 매립을 반대한 사례는 없었던 것으로 알
려지고 있음. 다만 1995년에 환경부 재경원등의 요청에 따라 95년 12월에
농업용 간척사업의 축소계획(71% 감축)을 농림수산부가 발표했음
파충류·양서류 곤충
– 멸종위기종 : 구렁이, 남생이, 붉은점 모시나비
– 감소추세종 : 능구렁이, 톱사슴벌레 등
물고기
– 멸종위기종 : 무태장어, 어름치
– 감소추세종 : 열목어, 미호종개 등
식물
– 멸종위기종 : 풍란, 나도풍란, 섬시호
– 감소추세종 : 천마, 가시연꽃, 암매, 끈끈이주걱 등

<한국의 멸종위기종>
구분 계 멸종된 종 멸종 위기종 희귀종 감소추세종
계 179 6 43 110 20
포유류 21 1 8 8 4
양서 파충류 12 – 1 6 5
어류 29 1 3 18 7
곤충 24 – 1 23 –
식물 39 3 7 25 4

자료원 : 한국자연보존협회(1989)

멸종위기의 원인
생태계 관리, 야생조수 관리, 천연기념물 관리, 국립공원관리 등의 기능이
파편화되어 있고 관계기관간의 유기적 협조도 없었으며, 생태계와 먹이사슬
전체에 대한 체계적 대응을 하지 않았음.
– 심지어 현재도 야생조수 보호의 책임을 맡는 기관에서 주요서식지에심각한
영향을 주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실정임
서식지인 산 특히, 국립공원이 개발사업(도로건설 등)로 인하여 單片化되
고 간척사업 등에 의해 습지면적이 감소
– 국내 국립공원은 도로개설로 인해 평균 3.4개의 단편으로 분절되어 대형이
동성동물의 서식에 큰 장애로 작용
– 도로 건설시 야생동믈의 이동성에 대한 고려 부재
– 국내의 갯벌 면적은 2,815㎢로서 국토면적의 3%에 해당하였으나 그간 1,291
㎢가 간척에 의해 감소
산림의 침엽수화, 기계화를 위한 농지구조 변경, 농약사용의 영향
하천 및 호소 생태계가 직선화 시멘트화 및 댐, 보 건설 등에 있어 물고
기의 이동에 대한 고려가 없었으며, 외래종 유입 등의 영향을 받음
이들 문제는 국토의 이용의 과정에서 생태계 생물종에 대한 전체적 관점
에서 종합적으로 고려되지 않으면 해결될 수 없는 문제임



admin

admin

(X) 생태보전 보도자료의 최신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