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생태보전 보도자료

[반달곰공청회]발표2-2 우리나라 야생조수의 서식현황

Ⅱ. 우리나라 야생조수의 서식현황

우리나라의 동물상은 세계동물지리적 분포상 구북구(舊北歐)에 속하며 지사
(地史)와 지세(地勢), 기후(氣候)여건으로 보아 시베리아 아구(亞區)와 중국(만
주) 아구(亞區)로 구분된다.
시베리아 아구는 묘향산맥과 부전령 산맥의 개마고원과 태백산맥의 일부 고
준지대(高峻地帶)이다. 이 지역은 지대가 높고 기후도 아무르지방과 흡사하여
동물상도 한지성(寒地性)을 띠며 중국동부지방 북부, 동부시베리아, 사할린, 북
해도의 것과 동종 및 근사종이 많다. 대표적인 수류는 대륙사슴, 백두산 사슴,
큰 노루, 큰곰, 호랑이, 산양등이고 조류는 멧닭, 긴꼬리 올빼미, 세가락 딱다
구리, 들꿩등이 있다.
중국아구는 시베리아 아구를 제외한 한국의 대부분을 점하는 서부, 중부 및
남부가 여기에 속한다. 지세가 낮고 기후도 온화하며 중국동부지방남부, 중국
본토 및 일본에 서식하는 것과 동종 또는 근사종들이며 고라니, 곰, 멧돼지 등
의 수류와 크낙새, 팔색조, 꿩등이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2/3가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반도국가로써 4계절이 뚜렷하고 식생환경이 다양하며 계곡과 산악이
어우러져 야생조수의 서식지로는 좋은 여건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 야생조수에 대한 조사 및 연구는 수류의 경우 Giglioli와
Salvadori(1887)등이, 조류의 경우는 Tristram(1885)등 구미학자에 의해 수행
된 바 있으나, 우리나라 학자로는 원병오 및 우한정박사에 의해 1955년부터
1971년까지 임업연구원(구 임업시험장)과 경희대학교부설 한국조류연구소에서
조류의 분포 및 생태에 관해 보고한 바 있고 해방이후 관련학자들에 의한 다
수의 조사보고가 있다.
그러나 전국적인 차원에서 야생조수에 대한 조사는 1967년부터 수렵대상조
수에 대한 밀도조사와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조수에 대해 임업연구원에서 조
사 및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
현재까지 조사 및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세계적으로 12,600종(조류 8,600종,
4,000천)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486종(조류
394, 수류 92)의 야생조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숫자는
한반도의 크기와 세계전체면적을 고려할 때 결코 작지 않는 종수이며 조류중
약 70%가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한국, 중국, 러시아를 이동하는 철새이기 때
문이기도 하다.
1967년 “조수보호및수렵에관한법률”이 제정되어 정부차원의 야생조수정책이
추진되어 오고 있는데 현재까지 조사결과 우리나라 텃새인 참새와 꿩, 그리고
고라니, 멧돼지등 수류의 서식밀도는 기준밀도에 근접하거나 크게 상회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야생조수 서식여건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1)

표1. 야생조수 서식실태 조사결과( 서식밀도- 마리/100ha당 )
—————————————————-
구 분 ’71년도 ’95년도
—————————————————-
참 새 22.2 마리 357.8 마리 (16.1배)
꿩 9.4 25.7 (2.7)
고 라 니 0.4 4.2 (10.5)
멧 돼 지 1.9 5.3 (2.8)
청둥오리 125.6 637.8 (5.1)
쇠 오 리 3.6 87.4 (24.2)
—————————————————-

이와같이 야생조수의 서식밀도가 증가한 것은 한때 황폐했던 우리 산림이
지난 30년동안 지속적으로 추진된 치산녹화사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서식
환경이 크게 개선되었을 뿐 아니라 야생조수의 보호증식사업의덕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조수의 서식밀도 증가와는 달리 국내 서식조수의 13%에 달
하는 65종이 멸종위기에 처해 있어 이들에 대한 적극적인 보호관리가 요구된
다 하겠다.

?이

admin

admin

(X) 생태보전 보도자료의 최신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