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22일 부안군청 앞에서는 8천여명의 부안군민이 이에 반핵국민행동은 23일 청와대 앞 신교 사거리에서 폭력적인 공권력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긴급히 열고, 이에 대한 책임자의 지금 부안은 80년대 광주의 모습, 고립된 상태
이날 청와대 앞에는 22일 집회 현장에 있었던 이병학 전북도의원(범부안군대책위 공동대표)가 이의원은 “머리를 맞고 기절했다. 군청앞을 가로막고 있는 콘테이너를 잡아끌려던 아주머니를 보호하려다 달려드는 정경들에게 무언가로 또 “일반 순수한 군민들이 합법적인 시위를 벌였는데 경찰들은 위협적인 방패나 곤봉으로 과잉진압했다. 이에 대한 분노를 금할 수 이의원의 설명에 따르면 17년만에 거론된 유치신청이 하룻밤 사이에 진행되었고, 설명회 하나 없이 군민들의 이해나 설득을 이끌어내지 지난 밤 부안 현장에 있었던 반핵국민행동 염형철 상황실장은 “지금 부안은 80년대 광주민주화운동처럼 고립된 상태이다. 그날 집회에서도 또한 “100여명의 부상자중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가 50여명이상, 20바늘을 꿰맨 중환자가 40명으로 집계됐다.”고 덧붙였다. 진상조사단 구성, 책임자 처벌해야 이에 환경운동연합 최열 공동대표는 “20여년간 주민과 함께 핵반대 운동을 해왔지만 이렇게 무작위로 시위대를 진압한 예가 없었다. 한편 환경운동연합 공익환경법률센터 박태현 변호사는 “군민들이 찬반으로 갈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군수의 신청만 있으면 부지선정으로
이날 기자회견에서 전국농민회총연맹 박흥식 사무총장은 “서울의 특수기동대인 1001부대가 이와함께 “전농 뿐만 아니라 시민단체와 민중 연대하여 책임자에 대한 처벌을 강력히 요구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반핵국민행동측은 “지역주민과 경찰 등 200여명이 부상당할 정도로 극단적인 상황이 전개된 것은 이미 전국의 경찰이 부안으로 집결하면서 반핵국민행동 서주원 집행위원장은 “집회 중 수많은 부상자를 낸 책임자를 문책하는 것은 물론 시민사회단체, 종교대표, 변호사단체 기자회견에 참석한 반핵국민행동과 범부안군대책위 대표들은 둘로 나뉘어 청와대에 항의서한을 접수하고 경찰청 책임자와의 면담을 진행시켰다. 글/조혜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