빽빽히 들어서 고층빌딩과 도로를 가득 메운 차들, 각박한 도심에서 눈을 돌려 드넓게 펼쳐진 바다를 잠시 생각해볼까. 찰랑거리는 파도소리 뿐 편안한 듯 조용하다. 하지만 바닷속 사정은 다르다. 해군 잠수함의 탐지장치가 발생시키는 강력한 음파 때문에 고래류나 어류 등 해양동물들도 지쳐가고
미 해군이 개발한 ‘엑티브 소나’라는 새로운 수중음파탐지기 때문에 해양 포유동물과 어류 최근 미국 워싱턴포스트지(10월 14일자)가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미 해군은 환경단체들의 반발을 고려해 전세계의 해역에서 새로운 이에 대해 환경운동연합은 “미 해군이 천연자원보호협의회(NRDC)와 성과있는 합의를 이끌어냈지만 해양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고강도 수중음파탐지기에 딴지걸기 국제적으로 환경단체가 ‘엑티브 소나’ 사용에 반발하는 이유는 엑티브 소나가 발생시키는 강력한 파동이 고래와 같은 해양 포유동물에게 미 해군이 전세계 해역에서 적 잠수함을 추적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엑티브 소나(Active SONAR)는 스스로 소리를 내어 이 장비는 100마일이 떨어진 곳에서도 150∼160dB 정도의 소리가 퍼지는데 이는 인간의 영구적인 청력손실을 초래할만큼 영향력이 군장비, 민감한 청력 가진 고래의
결국 엑티브 소나와 같은 군장비가 발생시키는 바닷속 소음은 생존능력을 좌우하는 고래의 그예로 1996년 그리스 연안에 부리고래가 해변에서 쓰러진 채 발견되었는데,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가 실험하던 액티브 소나 또한 미국 해군이 액티브 소나를 사용하던 바하마에서 2000년 3월 4종 18마리의 고래와 돌고래들이 해안으로 좌초된 것이 발견, 국제동물보호단체(IFAW) 대표 프레디릭 올간은 “바다는 음파가 잘 전달되는 환경이고 바다에 살고 있는 종들은 민감한 청각을 고래 집단사, 음파 쇼크 인한 과학전문지 「네이처」 최근호(2003년 10월9일자)에서 영국과 스페인의 연구팀은 지난해 9월에 카나리아군도의 푸테르떼벤투라 카나리아 군도에서 떼죽음을 당한 고래의 부검결과 신체 내에 형성된 가스 기포에 의해서 형성된 심각한 간 손상이 발생한 것이다. 국내 언론들은 속속 미 해군과 NRDC의 합의 내용을 보도하면서 군사용 음파탐지기가 고래 등의 생존에 치명적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환경연합 국제연대 마용운 부장은 “엑티브 소나가 해양 표유동물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평화시뿐만 아니라 전시에도 멸종위기 보호종 고래, 한국 인근해역에 우리나라 인근 해역은 과거 고래가 대규모로 서식하거나 번식하던 곳이었으나, 18세기 이후의 대규모 상업포경이 번성한 결과 고래류는
국립수산진흥원 조사자료에 의하면 10만여마리의 고래와 돌고래류가 한국 연근해에 서식하고 또한 해마다 고래류가 뭍으로 올라와 죽어가는 경우가 발생해 전문가들과 환경단체 활동가들에게 안타까움을 전해주고 있다. 올해 5월 이처럼 우리나라 연근해는 고래가 가장 시급하게 보호받아야 할 곳이다. 환경연합 관계자는 “이 지역에서의 엑티브 소나 사용은 규제되어야 앞으로 환경연합은 해양 포유동물과 생태계 보전을 위해 미 해군 당국에 액티브 소나의 한반도 해역에서의 사용금지를 촉구하는 한편, 글/ 조혜진 기자 |
(X) 습지 해양 소식
한국 연근해 고래, 음파쇼크에 노출
첨부파일 열기첨부파일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