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
공기 중에 정상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물질이 인위적이거나 혹은 자연적으
로 대기 중에 방출될 때 대기는 오염된다. 대기오염의 정의는 국가나 단체
또는 개인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종합하여보면 대기 중의 오염물질
인 매연, 먼지, 가스 및 악취 등이 사람의 건강에 피해를 주거나 또는 인간
의 생활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재산과 동식물 및 그 생육환경에 해를 미칠
정도로 어떤 지역에 단위용적당 많은 양이 존재하는 상태가 되는 현상을 말
한다.우리나라 환경보존법상에는 대기오염의 정의가 따로 정해져 있지 않으
며 매연, 먼지, 가스, 악취발생물과 같은 대기오염물질에 관한 용어의 정의
만을 추정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에서 정한 대기오염의 정의는 대기 중
에 인공적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이 존재하여 오염물량, 그 농도 및 지속시간
이 어떤 지역으로 불특정 대다수인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해당지역에 공
중위생상 위험한 재해를 미치고 인간이나 식물, 동물의 생활에 해를 주어
도시민의 생활과 재산을 향유할 정당한 권리를 방해하는 상태를 말한다고
되어 있다. 이러한 대기오염은 산업활동이나 소비활동으로 생긴다.우리나
라의 경우 l970 년대 이후 고도성장정책과 중화학공업 육성책으로 인해 석
탄, 석유의 대량 소비를 촉진함으로써 자연이 가진 정화 능력을 넘었기 때
문에 오늘과 같이 심각한 대기오염을 일으키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대기
오염은 자동차 배기가스와 공장에서 내보내는 연소가스 및 주택난방가스가
주요 원인이 된다. 대기오염물질의 종류는 지금까지 밝혀진 바에 의하면
약 2백 가지가 된다. 이 중 사람 몸에 크게 피해를 주는 오염물질은 아황
산가스,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옥시던트, 분진 등이므로 세계
각국의 대기보전대책에서는 이들 6개 물질에 집중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