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환경용어

물오염

물오염
물오염이란 공장폐수, 도시하수, 오물 등의 고정배출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된 물과 농경지, 가축 사육장, 농가, 하천연변 주택 등과 같은 비점 오
염원으로부터 나오는 오염된 물이 하천에 들어옴으로써 이것들 중에0 포함
된 물오염 물질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체나 동, 식물에 피해를 주고
인간의 생활환경을 오염시키는 공해를 말한다. 가정의 생활하수나 산업폐
수는 하천과 호소(호수와 늪)를 오염시키게 되고, 하천과 호소의 오염은 이
것을 상수원으로 이용하는 수돗물을 오염시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바다로 들
어가 해양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물오염이란 그 물의 정상적인 사용
이나 역할이 어려울 정도로 물이 오염된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예를 들
어, 수돗물의 경우에 중금속이 있느냐 없느냐가 오염의 기준이 되는 것이
아니고, 있다면 건강에 영향을 줄 정도인지 아닌지가 중요한 것이다. 물오
염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으로 삼아야 되는 것은 다른 환경오염과 마
찬가지로 크게 세 가지 부분에 대한 영향이다. 첫째, 인간의 건강 및 인간
에 의한 수자원의 이용에 영향을 주는 가에 관한 것이고, 둘째는 생태계에
영향올 주는가에 관한 것이며, 셋째는 인간의 재산상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
가에 관한 것이다. 이 세 가지는 모두 중요하다. 물의 정상적인 사용의
범위 및 역할에는 공공용수, 레크리에이션용수, 어류 및 수생생물에 적합한
용수, 농업용수, 산업용수 둥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물의 사용용도에 따
라 물오염의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즉 공공용수로서는 오염되었다고 할
수 있는 물이 산업용수로서는 오염되지 않은 물일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농업용으로는 별 문제가 없는 물이 공공용수나 레크리에이션용으로는 오염
된 물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외국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의 환
경보전법도 물의 용도별로 다른 수질 평가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admin

admin

(X) 환경용어의 최신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