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은 통상 BOD라고 부른다. 물의 유기오염 지표의 한
가지로서 어떤 물 속의 미생물이 산소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유기물을 분해,
안정시키는 데 요구되는 산소량이다. 즉, 어느 정도 오염되었는가를 나타
내는 기준으로서 호기성(산소를 필요로 하는)박테리아가 일정 시간 내(보통
2 C에서 5일간)에 물 속의 유기물을 산화 분해시켜 정화하는 데 소비되는
산소의 양을 ppm으로 나타낸 것이다. 물이 오염되어 있으면 유기물이 많게
되고 따라서 유기물을 박테리아가 분해하는 데에 필요한 산소의 양도 증가
한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은 오염된 물 속에서 “산소가 결핍될 수 있는
잠재력”을 알 수 있게 하므로 물오염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즉 BOD가 높으면 유기물에 심하게 오염되어 있고 물 속의 산소가 결핍될 가
능성이 높음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는 것이다. ll의 물 속에 lmg (l,0O0
분의 1g)의 산소가 필요할 때를 l ppm이라고 한다. 음료수는 2ppm 이하가
적당하고, 농업용수는 5 ppm 이하가 좋다. 5ppm 이상이 되면 하천은 자기
정화능력을 잃으며, lOppm을 넘을 때는 나쁜 냄새를 풍기며 시궁창 하천이
된다.
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