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공기오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공기오염이라면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굴뚝에서 나
오는 연기를 먼저 생각했지만 최근 새로운 주거환경은 `실내공기오염’이라
는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l970년대 이후 경제성장에 따른
급속한 산업공업화와 인구의 도시집중화가 사람의 기후환경에 영향을 끼쳐
새로운 주택양식과 밀폐된 고층건물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실내
환경이 중요한 이유는 대부준의 사람이 하루 24 시간 중에 8O% 이상을 실내
(가정,일반 사무실, 실내 작업장, 공공건물, 지하시설물, 상가, 음식점, 병
원, 자동차, 지하철 등)에서 생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내환경이 오염
되었을 경우 사람 몸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주요 실내공기 오염물질에는 방사능 물질인 라돈, 포름알데히드, 석면,
각종 박테리아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오염물질은 여리 가지 오염원
에 의해 방출되고 있다. 라돈가스는 흙, 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건축자재
에 천연적으로 포함되어 적은 양의 방사능(`핵공해’를 볼 것)을 방출하고
있으며, 포름알데히드는 단열재인 건축자재와 섬유옷감, 실네가구의 칠, 난
방 연료의 연소과정, 접착제, 악휘 제거제, 흡연 등에거 방출된다. 석면은
주로 내화성 건축자재로 가정용과, 자동차, 비행기 등 내열성 공업제품으로
다양하게 사용된다.
이 밖에 난방 및 취사 연료로 사용되는 연탄, 프로판가스, 석유 등은 일
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등을 발생시킨다. 실내공기 중의 미생물성 물질인
세균, 곰팡이, 라종 알레르기성 물질, 꽃가루, 식물의 홀씨 등은 일반 사전
에서 사용되는 생활용품이나 생활환경에서 방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오염
물질말고도 다양한 오염물질이 생활공간 속에서 발생하고 있고, 그같은 오
염물질은 그 양이나 질이 실내공간의 구조, 생활환경조건, 실외공기조건,
지리적 위치, 환기 시설 등에 의하여 좌우된다. * 환기 시성을 강화하자, *
실내공기 오염발생원을 파악한 후에 그 오염원을 없애거나 바꿈으로써 알맞
는 실내공기를 유지하도록 하자. * 실내공기오염에 관한 연구 및 공공정책
을 관장할 행정적 기관이 없으므로 독립적으로 행정적 처리 등을 수행할 업
무기관을 요구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