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 경제성장
환경과 경제성장의 조화를 추구하는 움직임에 힘입어 새롭게 제기된 경제
관이다. 그 동안 경제성장과정에서 일어난 각종의 환경파괴는 삶의 질을
올리기 보다는 생존을 위협하는 상태에 이르렀다. 지속적 경제성장이란 개
념이 담고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1) 환경에 대하여 적절한 가치를 부여해야 한다는 것,
2) 미래지향적 시각을 강조,
3) 현세대뿐 아니라 세대간의 형평도 추구하여야 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조건들이 충족되지 못할 때 앞으로의 경제성장은 지속적일 수 없다는 것이
다. 이는 한마디로 생태학과 경제학의 융합을 시도하는 것으로 그 철학적
뿌리는 지구환경자원을 하나의 도구로 보는 것에 반대하고 하나의 유기적
생명체로 보는 시각이다. 지속적 경제성장을 위한 지구자원의 생산적 사용
은 3가지 부문에서 우리의 노력을 요구하고 있다.
1) 재생자원의 소비는 자연의 재생능력 이하로 억제되어야 한다.
2) 자원의 사용에 따른 사회적, 기술적 폐기물에 대하여 각별한 주의를
촉구한다. 특히 자연과 조화흘 이루어 흡수될 수 없는 인위적인 기술적 폐
기물은 그 발생이 최소화되어야 하며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3) 그 소비로 절대량이 지구상에서 강소하는 비재생자원의 경우 다음 세
대에 대한 배려로 그 소비에 있어 최대의 효율성이 요구되며, 언젠가는 고
갈될 경우를 대비하여 대체자원의 개발도 필요하다는 것이나. (`GNP와 공해
문제`를 볼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