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환경용어

직업병

직업병
직업병이란 일정한 직업에 종사함으로써 작업조건이나 작업방법이 직접적
인 원인이 되거나 흑은 이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질병으로서 직업병으로 인
정 받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일정한 요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1)질병의 발생이 어느 일정한 직종에 근무한 후에 나타나야 하고,
2)그 노동자가 근무하는 작업장의 작업환경에 특정한 질병을 일으킬 만한
요인이 있어야 하며,
3)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누구나 병에 걸릴 가능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업무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직업병 중에는 일반 질병이나 공해
성 질환과 구별하기 어려운 것도 많다. 예를 들어, 어떤 지역의 석면공장
에서 이 공장에 종사하는 노동자에게 석면폐증이나 폐암이 발생하였다면 이
는 당연히 직업병으로 간주되지만, 공장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지역 주민들
이 들이마셔 석면폐증이나 폐암이 발생하였다면 직업병이 아닌 공해성 질환
으로 칙급된다.
전자는 종사하는 직업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였지만 후자는 국민들의 주거
환경이 오염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직업병은
그 형태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농도가 높은 해로운 물질에 노출되어 급성 중
독으로 발생하는 경우와 장기간 계속 근무함으로써 서서히 진행하는 만성
질환 형태로 나누어볼 수 있다. 또한 발생원인에 따라 물리적 원인에 의하
여 생기는 질병과 먼지에 의하여 생기는 것,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중
독증, 생물학적 원인에 의해 생기는 질병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admin

admin

(X) 환경용어의 최신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