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환경용어

하천오염 현황

하천오염 현황
우리나라 강은 상류지역을 제외하신 나머지 지떡은 크게 오염되어 있다.
시커먼 기름투성이의 물이 악취를 풍기면서 흐르며, 민물고기들이 떼죽음을
당하고 상당히 많은 수의 기형어가 나타나고 있다. 오염이 심한 지역을 살
펴보면(환경기준치: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8ppm) 중량천 l60ppm, 금호강
l66ppm, 전주천 48ppm, 만경강 l23ppm, 부산 수영천 l75ppm으로 사실상 공
장폐수와 다름없다. 강물의 오염으로 인해 식수원마저 위협받고 있다. 전
국 강 중 섬진강만이 식수로 사용 가능하고, 기타는 상류만이 적합하다.
서울의 경우 영등포, 노량진 등의 수원지는 식수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상
태에 있으며, 서울에서 40여km 떨어진 팔당(2급 수원기)에서 원수를 공급받
고 있다. 그러나 이 팔당마저도 갈수록 오염되고 있다는 사실(l.4ppm-
1.82ppm) 이 밝혀져 큰 충격을 주고 있다. 공장패수로 인한 중금속의 오염
도 심각하다. 크롬의 경우는 기준치의 28배나 초과하고 있으며 카드뮴, 수
은, 납 등도 기준치를 넘어서 있다. 중금속에 오염된 수둣물을 먹은 어머
니들의 모유에서 수은이 검출되기도 하며, 만경강 유역의 주민들은 치아에
반점이 생겨 이를 못 쓰게 되고 심한 경우, 척추장애까지 일으키는 불치병
인 반상치병에 걸리기도 하였다. 오염된 한강은 농업용수로서의 기능마저
상실, 한강 하류인 김포의 굴포천 500 여 정보가 완전 폐농되었다. 오염된
한강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3,500 여 억 원,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만경강 등 5대 강은 총 6,0O0 여 억 원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렇듯 강을
오염시키는 공장폐수와 생활하수를 줄이지 않는 한 물오염은 근본적으로 해
결되지 못할 것이다.

admin

admin

(X) 환경용어의 최신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