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의 산성화
흙의 알갱이는 원래 마이너스(-)의 이온 성질을 띠고 있어서 플러스(+)성
질을 띠고 있는 무기물(칼슘이나 마그네슘)들올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다.
이것을 염기치환이라고 한다. 그런데 부식질(식물이 썩어서 생기는 갈색,
흑색의 물질)이 많고 중성인 경우에는 칼슘과 마그네슘 성분이 흙의 입자에
많이 붙어 있는데(이온)화학비료를 많이 쓰고 유기물을 적게 사용하면 화학
적인 반응에 의해서 칼슘과 마그네슘 성분이 달아나고 대신 알루미늄과 수
소가 달라붙는다. 또는 물리적인(비가 많이 오는 경우에도 마그네슘과 같
은 칼슘분이 씻겨 달아난다) 방법에 의해서도 산성화가 진행된다. 산성일
경우 어떠한 장애가 일어나는지 대략 알아보자. (1)작물에 필요한 영양 성
분이 녹지 않아 작물이 이를 흡수하지 못한다. (2)알루미늄 성분이 너무
많을 경우에는 작물에 직접적인 피해가 온다. (3)알루미늄과 수소가 많을
경우 단백질이 응고되거나 다른 무기물이 서로 버티고 대항하는 길항작용을
받게 된다. (4)미생물과 토양생물이 방해를 받아 증식이 억제된다. (5)효
소의 작용을 방해하기 때문에 유기물의 분해가 어렵게 된다. (6)사상균(이
로움이 없는 균)을 비롯해서 병원균 등의 활성이 강해진다(유효성 균의 약
화로). (7)인산질의 효과가 없게 된다(불용화). (8) 세포의 투과성에 지
장을 줌과 동시에 이상 염류의 투과로 식물의 생장과 발육에 방해를 받게
된다.
이처럼 작물재배와 산성과의 관련은 매우 중요하며 토양개량에 있어서 가
장 근본적인 문제가 된다. 산성화의 문제는 발효퇴비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