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새만금
갯벌은 “염하구”이다.
습지대를 포함한 모든 염하구 지역은 해수와 담수를 회
유하는 여러 회유동물들의
번식장소로서 많은 수생생물의 중요한 서식처 역할을 한
다.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염하구의 염분농도는 두 지역 물의 중간이다. 담
수와 해수가 만날때
염분의 농도차로 염분전선이 형성된다. 이 전선은 담수
와 해수를 분리하는
밀도층으로 두 지역 사이의 퇴적물 분포,생물활동,종다
양성을 특이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예를들면 강물에 포함되어 있던 부유물질
들은 해수와 만나면
응집해 덩어리 모양으로 빠르게 침전되 바다로 전달되
지 않는다. 이렇게 침전된
부유물,유기물,오염물질들은 염하구 주변 지역에 계속
쌓여 이 지역 수심이
점점 얕아진다. 그래서 어떤 염하구 지역은 배가 다닐
수 있도록 정기적인
준설작업을 하기도 한다. 준설작업을 통해 퇴적물이 파
헤쳐지면 저층에 쌓여
있던 유기물이나 유해한 독성물질이 다시 뜨게되어 그
주변 생물들에게 해로운
작용을 하기도 한다. 이렇게 갯벌은 온몸으로 오염물질
을 품는 고통을 참으면서
바다어장의 황폐화를 막아준다. 새만금 갯벌은 만경강,
동진강의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얼마남지 않은 우리의 소중한 “염하구
“이다.
(신대철님)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