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수해를 자연복구의 기회로
저는 지난 루사 수해때 강원도지역에 복구지원을 갔다
가 지나치게 좁아진 하천이
수해를 키웠었다는 사실을 두 눈으로 직접 확인하였습니
다. 며칠전 뉴스를
보니 이번 매미 때도 좁아진 하천이 한 마을의 침수원인
이라더군요. 모든
수해가 하천이나 계곡 인근에서 발생하는 것은 아니겠지
만 상당부분을 차지했을
것입니다. 따라서, 수해때 휩쓸려간 하천인근 부지를 단
순히 원상복구하기
보다는 그 복구비용으로 물에 휩쓸린(폐허가 된) 토지
를 국가가 매입하여
좀 더 넓은 하천으로 관리하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그
렇게만 된다면 다음에
루사나 매미 규모정도의 재해가 발생하더라도 다시는 같
은 장소에서 논밭과
집들이 쓸려가지 않을 것이니까요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
면 이번 수해는 하천을
자연에게 돌려주고 근본적으로 수해를 예방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이번 수해는 분명 막대한 피해와 고통을 우
리 모두에게 안겨주었지만,
생각을 조금만 달리한다면 근본적인 수해예방사업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우리에게
준 것이라 볼 수도 있겠지요. 따라서 이러한 천재일우
의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하천을 자연에게”를 환경운동사업의 하나로
제안하며,
연합관계자의 노력을 부탁드립니다. 멀쩡한 상태에서 생
돈을 들여서 할 수는
없겠지만, 어차피 복구를 위해 예산을 들여야 한다면 그
기에 조금만 더 보태면
쉽지 않을까요?
(환경사랑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