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야생동식물의 보전에 있어서 DMZ 생태계 보전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국내외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5월 6일 [남북한 환경협력 실현을 위한
국제심포지엄-DMZ 생태계 보전을 중심으로]을 개최합니다.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서 DMZ 및 민통선 지역의 보전계획과 개발계획을 분석하고 이를 통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또한 남북한 그리고 국제사회가 함께 한반도의
생태계보전을 위해 함께 협력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일시 : 2002년 5월 6일
월요일 오전9시~오후6시 장소 : 성균관대학교 600주년기념관 6층 첨단강의실
주최: 환경운동연합, DMZ포럼 주관:
환경운동연합DMZ특별위원회 후원: 환경부, 산림청, 아시아재단, 사무엘루빈재단
———————————————————————————–
<심포지엄
프로그램>
사회자 / 김혜정 (환경운동연합 활동처장)
인사말 / 이승호 (DMZ포럼 대표) 인사말 / 정 학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축 사 / 김명자
(환경부 장관) 축 사 /
김범일 (산림청장)
<기조연설>
09:20-09:40
한반도가 처한 과제 / 로버트
스캘러피노 (캘리포니아대학 교수, 미국) 09:40-10:00 생명평화의 한반도를 위한 구체적 실현 / 최 열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제1부 남북한
환경협력의 가능성
사회 : 이삼열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장)
<발제> 10:00-10:20 / 정종렬 (일본 조선대 교육대학 학장,
북한) 10:20-10:40 NGO와 한반도 환경 공동체 / 김정훈 (서경대
교수) 10:40-11:00 DMZ 보전을 위한 남북환경협력시스템 / 전재경
(한국법제연구원 연구위원) 11:00-11:20
DMZ 생태계의 보전 : 한반도 자연 보전의
협력
/ 김계중 (펜실베니아 주립대 교수, 미국)
<토론> 11:20-11:30 장재연 (아주대 교수, 시민환경연구소
소장) 11:30-11:40 김제남 (녹색연합 사무처장)
11:40-12:10 질의응답
12:10-13:30 점심식사
제2부 야생동식물 서식처로서의 DMZ의 중요성
사회 : 이승호 (DMZ포럼 대표)
<발제> 13:30-13:50 철새보호관점에서 바라본 DMZ의 중요성
1 /
조지 아치볼드 (국제 두루미재단, 미국) 13:50-14:10 철새보호관점에서 바라본 DMZ의 중요성
2
/ 노리타카 이치다 (국제새보호재단 아시아지부장, 일본) 14:10-14:30 비무장지대 및
민통선 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 전략
/ 오정수 (임업연구원 산림환경부장) 14:30-14:50 DMZ
희귀식물의 분포실태 및 보전방안 / 백원기 (대진대 교수)
<토론> 14:50-15:00 김수일 (한국교원대
교수) 15:00-15:10 현진오
(동북아식물연구소 소장)
15:10-15:40
질의응답
15:40-15:50
휴식
제3부 DMZ 생태계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
사회 : 김일중 (환경정의시민연대 집행위원장, 동국대 교수)
<발제> 15:50-16:10 / 박우일 (자연보호연맹,
북한) 16:10-16:30 DMZ와 민간인통제구역 내 자연생태계 보전 및 지속가능한
사용
– 남북한 환경공동체 건설을 중심으로 / 김귀곤 (서울대 교수) 16:30-16:50 비무장지대
생태계 위협 요인과 보전 방안
/ 최주영 (환경연합DMZ특별위원회 위원장, 대진대 교수) 16:50-17:10 일본과 러시아의 접경지역 보전을 위한
캠페인
/ 루시 크래프트 (쿠릴섬보호 네트워크 회장, 일본)
<토론> 17:10-17:20 한상훈 (야생동물연합
대표) 17:20-17:30 조홍섭
(한겨레신문사 부장)
17:30-18:00
질의응답
<공동선언문 채택 및 폐회식>
18:00 공동
선언문 채택 (최열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 / 이승호 DMZ forum 대표) 폐회사
(김계중 펜실베니아 주립대 교수)
*** 북한 참가자분들은 사정상 참석이
힘들게 될 수도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문의 : 환경운동연합 02-735-7000, eskim@kfem.or.kr
김은숙(생태보전팀
016-309-5373) 김연지 (국제연대팀
019-359-66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