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프로그램

환경운동연합 현장운동사(함께사는길 100호특집)-생명을 위한 헌신 2000


새천년은 더 이상 인류가 환경을 볼모로 물질
적 확대와
그 소비에 길들여진 생활문명을 유지할 수 없다는 깨달음으로 열려야 했다. 그
러나 현실은 여전히 전 세기의 낡은
관성으로부터 탈피하지 못한 채 시작됐다. 환경연합은 ‘환경운동’의 단계로부
터 더욱 새롭고 높은 단계의 운동, 삶의
진정성을 기반으로 한 삶 자체를 환경친화적이며 생태적인 것으로 만들어가는
운동을 해야 한다는 역사적 요구에 직면했다.
그것은 ‘생명운동’, 또는 ‘영성의 환경운동’으로 자기투신, 심화를 의미한
다.
2000년 한국시민사회는 전 세기의 낡은 관행과 권위에 얽매여 다른 사회 부문
전체의 발목을 잡는 정치개혁에 대한
열망으로 시작됐다. 99년말 준비가 시작되어 총선 전까지 진행된 시민단체연합
의 총선시민연대 활동은 낙천·낙선운동의
신화를 한국현대사에 짜넣으며 시민의 여망에 보답했다.
한편 1999년부터 새만금사업 타당성조사를 행한 민관공동조사위원회는 2000년 4
월 말까지 1년간의 연구조사에도
불구하고 단일한 결론과 입장을 만들지 못했다. 공동조사단은 파행적으로 운영
되었고 민간위원들은 들러리로 이용당했다.
전국적인 반대운동이 조직되어 여론은 압도적으로 새만금갯벌을 살리자는 입장
이 되었다. 한국 4대 종단을 비롯해 미래세대들,
현지 어민들, 관련 학계를 비롯한 전문단체들, 전국의 뜻 있는 시민들이 한 목
소리로 새만금갯벌 간척반대를 외쳤다.

2000년 5월 매향리 농섬의 현장조사

2000년 6월 매향리에서 열린 매향리 공동대책
위 집회

2000년 10월 아셈회의 현장에 매향리 주민들
이 올라와

임옥상 화백이 포격장의 폐철을 모아 만든 불구의 거인상을 불태우며

매향리 미군 폭격장의 해체를 요구했다.

2000년 2월 서울역에서 명동성당으로 행진하
는 총선연대
가두시위대

2000년 2월 서울시 종묘, 총선연대의 낙선운
동 집회

2000년 4월 3일 총선연대는 정동 아트센터에서

4.13 총선의 낙선대상자 명단을 발표했다.

2000년 4월 강동송파 환경연합 주체로 낙선대
상자인
지역구 의원에 대한 낙선운동이 벌어졌다.
사진은 낙선운동 자전거 투어의 한 장면

2000년 11월 서울 종로 기독교 백주년 기념관
에서
새만금 생명평화선언이 있었다.

2000년 11월 새만금 생명평화를 선언하고 거리
로 나선

천주교 수녀단의 가두시위

2000년 7월 새만금 해창갯벌에서 열린 환경연
합 회원대회를
마치고
회원들이 새만금 갯벌을 구하자는 메시지를 형상화하는
대규모 퍼포먼스를 벌였다.

환경연합 회원대회 참가자들은 전국각지에서
만들어 해창갯벌로
보내진 새만금 지킴이인 장승들을 새우며 새만금 갯벌 보존의지를 다졌
다.

admin

admin

참여프로그램의 최신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