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추련기관지<생존과 평화>
|
1982년 민주화운동그룹의 부문운동체로서의
자기전망과
위상을 가지고 <한국공해문제연구소>가 창립됐다. 1986년에는 주부를 중
심으로 한 생활환경운동체를 표방한
<공해반대시민운동협의회>가 설립됐다. 한편 1987년에는 <반공해협의
회>가 공개조직화하면서
한국사회 청년운동의 일각으로서 반공해운동을 자임한 <공해추방청년협의회
>를 결성했다. 반공해운동의 공통분모를
가진 세 조직은 1988년 사회개혁과 공해추방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통합을 결정하고 <공해추방운동연합(이하
공추련)>을 결성한다. 이미 1984년 경남 온산공단의 ‘온산병’사건을 통해
공해문제는 국가주도형 경제개발이
불러온 필연의 결과라는 문제인식이 사회적으로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었으므로
공추련으로의 통합은 시대의 요구를 대승적으로
수용한 결과이기도 했다.
1984년 국가주도 개발시대의 숨겨졌던 치
부하나가
세상을 놀라게했다. 온산병으로 명명된 괴질에 걸린 사람들의 존재가 드
러난 것이다. 몸이 썩어들어가는
피부병을 앓는 온산병 소녀의 상한 몸은 그대로 개발독재의 참상을 웅변
한다.
|
공추련의 정체성은 90년 안면도핵폐기장 건
설 백지화운동을
통해 드러났다. 안면도를 반핵운동의 성지로 만든 이 싸움을 통해 공추련은
‘반핵평화’라는 환경운동단체로서의 진정성을
획득했다. 한편 같은 해 4월 공추련은 한국 최초의 지구의날 행사를 서울 남산
에서 열었다. 지역과 국가를 벗어난
환경문제의 초국적 특성을 반영하는 ‘지구’라는 생명계의 단위에 주목한 이
행사의 개최는 향후 공추련이 민중민주운동의
부문운동체로서 반공해 전문운동을 표방한 조직에서 시민사회운동체로 거듭나
는 길로 나아가는 하나의 방향타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1991년 낙동강 페놀오염사건이 발생했다. 사
고를 일으킨
두산 전자공장은 물론이고 기업 전체가 불매운동이라는 시민사회의 ‘행동’ 앞
에 기업퇴출의 위기까지 몰렸다. 낙동강
유역의 문제였지만 국민의 응징은 전국적으로 조직되고 실천됐다. 페놀사태가
한국사회에서는 여전히 재발 가능한 문제이고,
가해자는 하나이되 피해자는 불특정 대중이라는 사실이 시민들의 환경의식을 일
깨운 것이다. 환경문제의 광역적 특성을
환기시킨 이 사건은 공해추방운동의 시민환경운동으로의 진화에 있어서 또 하나
의 기반을 제공했다. 환경의식을 가진
시민들의 전국적인 존재확인, 즉 반공해 전문운동단체가 시민단체로 확대재편되
었을 때 이를 지탱해줄 잠재적 회원의
존재를 확인한 사건이었던 것이다.
최루탄추방캠페인을 벌이는 공추련 여성위
원회 활동가들
|
미래 운동의 명분과 물적 기반의 제공자를 페
놀사태 대책활동을
통해 가늠한 공추련을 비롯한 전국 반공해운동그룹들에게 1992년 리우회의는
또 다른 통합의 역사를 열게 한다.
지구촌의 환경문제가 인류와 지구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심적인 문제라는 확인
이 세계정상회의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환경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거버넌스 건설의 시작인 동시에 이에 대한 강력한 시
대의 요구였던 리우회의 참가를 통해
한국반공해운동그룹은 국경 없는 환경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강력한
국제연대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고
이를 위한 조직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페놀사태와 리우회의
의 경험은 한국반공해운동그룹들로 하여금
또 한번의 대승적 통합의 역사를 열게 한다.

89년 3월 안면도 최남단에서 반핵
폐기장 투쟁 결단실을 열고 있는 안면도 핵폐기장결사반대투쟁위원회 소
속 청년들과 공추련이 파견한 활동가들
|
공해추방운동연합을 비롯한 전국 8개 반공해
운동단체들은
1993년 4월 2일, <환경운동연합>으로 통합을 선언한다.
환경연합은 회원을 운동과 재정의 토대로 삼는 대중성, 각계 전문가들과 긴밀
히 연결되어 문제의 비판에 그치지 않고
대안을 제시하는 전문성, 사회·생태적 약자를 중심에 두고 문제의 현장에서 활
동하는 운동성을 표방한 ‘시민운동’을
시작한다. 2001년 10월 1일 현재 환경연합은 전국 47개 지역조직과 8만명의 회
원이 함께 하는 동북아시아
최대의 환경단체로 성장했다. 창립 당시 환경연합의 슬로건은 ‘환경은 생명이
다’였다. 그로부터 만 8년이 지난 새천년의
오늘, 당시의 테제는 여전히 유효할 뿐 아니라 인류와 지구의 생존에 관한 더
욱 절박한 명제가 되었다. 시민환경운동체로서
환경연합은, 나라와 세계의 영역에서 신뢰받는 거버넌스를 사회적으로 구축하라
는 무거운 책임을 환경을 생각하는 시민들로부터
부여받고 있다. 2002년 지자체선거를 앞두고 환경연합은 사안별 대응을 넘어 지
역으로부터 정책의 녹색변환을 기초하는
새로운 차원의 시도를 준비하고 있다. 지금은 새로운 출발의 시작이
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