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프로그램

자연생태교육강좌 11 – 도시경관 왜 중요한가?

도시경관 왜 중요한가?


병 길 (인천대 교수)


1.
도시경관이란 무엇인가 ?


경관에서
경은 조망되는 대상, 관은 조망하는 주체를 말한다. 경관은 사람을 관찰자로 한 공간에서
시각을 주로 한 지각현상이라 정의할 수 있다. 현재의 문명사회에서 도시경관은 매우
중요하다. 도시경관은 도시를 직접 구성하는 수목, 물 등의 자연이나 건축물, 공작물
등의 물리적 시설이 눈에 비춰지는 풍경이 주가 되고, 도시의 제활동이나 도시민을 위하는
분위기, 문화적 향기 등에도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도시민이 생활하는 종합적이고
개성적인 표현이며 도시문화 수준을 나타내는 척도라 할 수 있다.


그림
1
서울의 도시경관(여
의도의 야경)

그림
2
외국의 도시경관(캐나
다 토론토)


2.
도시경관을 가꾸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다 ?

그림
3
전국 어린이
환경보전
그림 공모전 우수작

그림3
전국 어린이 환경보전 그림 공모전에서 한 어린이가 그린 것이다. 비록 이 어린이가 경관이란
단어 자체를 모른다고 할지라도 이곳이 자기가 살고 있는 곳이든 아니면 자기가 살고
싶어하는 곳이든 간에 이런 곳을 그리면 보기가 좋다는 것을 시각적 감각과 마음으로
알고 있다는 뜻이다.


사람은
태어나면서 시각에 의하여 주위 공간을 접하게 된다. 자신이 살고 있는 공간을 쾌적하고
아름답게 가꾸려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자 권리이고, 후세에 대한 의무라 할 수 있다.


사실
아주 오래 전, 먹을 것이 부족하던 시대에도 경관은 항상 우리들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우리 나라 풍수지리설에서 명당이라고 일컬어지는 곳은 빠짐없이 경관이
아름다운 곳이다. 또한 우리 나라 궁궐만큼 경관을 아름답고 쾌적하게 꾸민 곳은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도시경관은
식욕과 마찬가지로 쾌적함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능이며 시각적 정보를 주는
인간생존에 관련된 문제이고, 인간은 경관을 통하여 정서적인 가치를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친밀한 도시풍경, 장대한 자연, 한가로운 전원 등의 경관은 인간 창조력의
원천인 동시에, 우리들의 마음을 부드럽게 하는 존재인 것이다.

경관은
인간이 신성함, 아름다움, 쾌적함, 위엄스러움 등의 가치를 향유하는데 불가결한 요소가
된다.


그림
4

도시속의 정원(일산호
수공원)

3.
도시경관에서 꼭 고려하여야 할 요소는 ?


도시경관에
꼭 있어야 할 요소를 경(景)과 관(觀)으로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경(景)
조망되는 대상



지역성 : 지역의 풍토, 역사, 전통, 개성을 살리는 시점으로 도시, 전원, 자연 등 각각의
양상에 따라 추구하는 미적 상태가 다르게 됨



전체성 : 대상군을 전체로 파악하는 시점이며 , 각 시설의 집합체로서 종합적 조화 및
시설군과 주변 환경과의 조화에 초점을 둠



공공성 : 모든 경관은 공유의 재산이라는 관점으로 도로, 하천, 공원 등의 공공 공간뿐만
아니라 민간활동에 의해 형성된 사적공간도 집합체로서 경관을 형성



관(觀)
조망하는 주체(사람)




다양성 : 아름다움에 대한 평가는 인간의 가치관에 의해 다르며 일률적으로 결정하기
어려움




생활성 : 미술품과 같이 정적으로 감상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 밀착된 경관시점이
중요



참가성 : 각 주체에 따라 경관형성에 참가하여 성과를 거두어 공동작품이라고 하는 실감을
얻는 것이 중요.



4.
도시경관을 가꾸기 위한 인간의 노력


현재
우리 나라는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환경영양평가에서 경관을 고려하도록 하고
있으며 공원의 주변지역에 대하여 건축물의 고도를 제한하는 등 좋은 도시경관을 유지하고
가꾸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경관의
평가는 대단히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것이므로 관측요인을 분석하여 관측지표를 찾기가
어렵기 때문에 정량적으로 평가하기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경관의 평가는 주로 정성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것은 사진이나 직접 방문하여 그 대상물을 실제로 보면서
경관의 가치를 분석하고 경관의 향상 또는 저해요인을 탐색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수치지형모델(Digital Terrain Model ; DTM)과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을 이용하여 경관을 분석하는 방법이 널리 수행되어지고 있다. 이 방법은
지형과 건축물 등을 데이터베이스화 한 다음 3차원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경관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경관을 좀더 객관적이고 정량적이며 합리적으로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는 첨단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림5는 DTM을 이용한 인천시 자유공원의 경관 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3차원
시뮬레이션 분석

경관
단면 분석




5
DTM를 이용한 경관 분석(자유공원)

5.
맺음말

인간이
영원히 향유하여야 하는 자연에 손상을 입히면 그의 회생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천혜의
자연을 소중히 가꾸고 보존해야 하는 것은 인간이 지켜야 할 가장 큰 의무 중의 하나이
다.


자연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건설, 조경, 지리 등에 종사하는 분들은 물론, 모든 인간은
경관에 각별한 소양을 갖추어 아름다운 자연을 지킬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경관조성을
통하여 쾌적한 생활공간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유복모, 2000, 경관공학, 동명사



인천광역시, 1994, 인천광역시 고도지구 보고서



http://www.me.go.kr



http://www.knto.or.kr



http://www.lake-
park.com



http://www.visitseoul.net



강사약력소개


o
최병길(崔炳吉) (1961년생)



인천대학교 교수


o
주요 경력



인천대학교 부교수



한국측량학회 편집위원, 이사



대한측량협회 편집위원


o
저서 논문



인천지역 종합환경정보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고도지구 항공촬영 및 공간DB구축· 경관 시뮬레이션



한국지형에 적합한 DEM 구축 전략 연구



여수권 개발제한구역 환경평가 검증

출처 : 환경부 개설 자연생태교육강좌

admin

admin

참여프로그램의 최신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