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프로그램

감기도 직업병이다?


감기도 직업병이다?

옛날 속담에 “여름 감기는 개도 안 걸린다”는 말이 있
다.
그러나 언제부터인지 우리 주변에는 환절기나 겨울 뿐 아니라 사시사철 감기
를 달고 다니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물론 그 이유를 살펴보면 여러 가지의 원인이 있을 수 있겠지만 그 사람이 살
아가는 환경의 문제점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요즘 병원에 응급실에도 겨울에나 볼 수 있는 목감기 환자들이
많은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환절기나 겨울에 보통 사람이 감기에 걸리는 이유를 살펴보자.

환절기나 겨울의 특징은 하루의 기온 변화가 심하고 공
기가 건조한 것이다.

감기의 원인은 바이러스의 상기도 침입에 의해 생기지만 인체가 면역기능이
정상을 유지하고 기도 점막이 건조하지
않으면 이런 바이러스가 기도 점막에 침입하더라도 자정능력을 발휘하여 가
래 등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감기에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요즘 지난 겨울부터 가뭄이 계속되어 매우 건조한 환경에 노
출되어 겨울에나 있을 법한 목감기가
현재도 계속 유행하고 있다.

우리의 일하는 환경을 살펴보자.

여름이 다가오면서 웬만한 사무실에는 에어컨이 가동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인
체는 자주 실내외의 기온차이에 노출된다.
또한 인체는 실내의 밀폐된 공간 속에서 각종 오염물질
과 세균 뿐 아니라
에어컨 자체가 습기 제거 작용이 커 건조한 실내 환경에 노출
되게 된
다. 바이러스가
활동할 수 있는 좋은 환경
이 만들어진 것이다.

옛말에 “감기는 만병의 근원이다”라고 했다. 이러한 실내의 근무환경에서 감
기에 걸리고 이것이 오래되어 중대한
다른 합병증이 발생했다면 이는 직업으로 인해 생긴 것이므로 분명 ‘직업
병’인 것이다.

직업병의 종류에는 진폐증이나 중금속 중독(수은중독, 납중독, 카드뮴중독,
망간중독 등)같이 특수한 직업에서만
발생하는 질병에서부터 허리통증, 피부병, 경견완장애까지 작업장이 아닌 일
반적으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질환도
작업과 관련되어 발생할 때에는 모두 직업병
다.

요통, 피부병, 소화기 질환, 만성피로, 경견완장애 등은 작업과의 원인관계
가 분명한 진폐증과 중금속 중독 등과
구별되어, 작업에 의해서 부분적, 간접적으로 악화되는 질병으로 이를 ‘직업
관련성 질환’이라고 한다. ‘직업관련성
질환’ 역시 분명히 직업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직업병인 것이다.

우리 모두 이번 여름에는 직업병에 걸리지 말고 건강하게 생활합시
다.

자료:www.medichem.co.kr

admin

admin

참여프로그램의 최신글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