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지향)일기 시즌3]
비건의 길, 응원의 힘
김종원
올해부터 비건 지향 페스코의 삶을 살고 있는 사람입니다. 당연한 듯 소비되는 생명을 보며 하루빨리 고기를 먹는 식습관에서 벗어나야지 하고 생각하던 게 어느새 십여 년이네요. 그 긴 시간 끝에 이제야 내 삶에서 고기와 거리를 두기 시작하는 중입니다. 언제나 그렇듯 행동보단 말이 편하고, 말보단 생각이 쉽지요.
고기를 멀리하기 전, 나 자신에게 수백 번의 질문을 했습니다. 가슴으로는 이해하는데 머리는 이를 쉬이 받아들이지 못했습니다. “고기를 먹는 것은 나쁜가? 그럼 난 그동안 나쁜 짓을 하고 있었나? 고기를 먹지 않는다면, 그것으로 괜찮은 건가?” 지금에 와서 생각해 보면 고기를 먹지 못한다는 아쉬움과 지난날에 대한 부끄러움 등의 마음이었던 것 같습니다.
고기를 멀리하며 겪게 된 어려움은 예상한 것과는 조금 달랐습니다. 의외로 먹을 것에 대한 곤란함은 그리 크지 않았어요. 채식인들을 위한 식당, 제품들이 (아직 부족하다고 느끼지만) 비교적 자리를 잡아가고 있고, 환경보호 활동가라는 직업의 특성상 주위에도 고기를 먹지 않는 사람들이 많아 음식의 선택에서도 여러모로 서로의 편의를 고려하는 편입니다. 진짜 어려움은, 일상에서 비건을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였습니다.
비건이 된다는 것은 나 스스로가 새로운 소수자로서의 정체성을 가진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나를 이루는 여러 가지의 정체성 중 어떤 영역은 이 사회의 다수자, 어떤 영역은 소수자의 영역에 있을 것입니다. 채식, 비건과 같은 정체성은 우리 사회에서 명백히 소수자의 영역이지요. 주변 사람들과의 대화에서 최근 고기를 먹지 않게 되었다고 얘기하면 대다수는 어려운 결심을 했네 정도의 대답을, 종종 농담 섞인 말로 특이 취향, “힙스터”냐는 반응도 보입니다. 대부분이 큰 의미 없는 말들이고 가볍게 넘길 수 있는 정도지만, 반복되는 반응에 가끔 지치는 것도 사실입니다. 진심으로 이해하고 공감해 주는 사람은 흔하지 않죠.
정말 운이 좋게도, 저와 가장 가까운 사람인 가족들은 저의 이런 결심을 지지하고 도와주고 있습니다. 아직은 바뀐 식습관에 다들 적응하는 중이지만, 겸사겸사 채식과 대체식품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 가족들을 보면 재미있기도 합니다.
최근 몇 달간 비건 지향 생활을 하며 응원과 지지의 소중함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물론 스스로 비건의 길을 택한 우리는 주변의 반응과 별개로 충분히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지만, 누군가의 진심 어린 이해와 공감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지 않을까요? 우리가 진행하는 비건수다모임 처럼 서로 같은 고민을 하는 사람들이 이해하고 지지하는 상호작용이 더욱 많아졌으면 해요. 그리고 여러분도, 서로 많이 응원하고 응원받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