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논평] 태풍에 멈춘 신고리 1호기, 되풀이 되는 핵발전소 사고

[논평] 태풍에 멈춘 신고리 1호기, 되풀이 되는 핵발전소 사고

-핵발전소 사고 예방을 위한 철저한 안전 대책 마련하고
-핵발전소 정지로 인한 대규모 전력공급 중단 대책 세워야
-핵발전소는 기후 위기의 대안이 아니다.

9월 6일 새벽 제11호 태풍 ‘힌남노’의 강풍으로 인한 전력설비 고장으로 부산시 기장군에 위치한 신고리 1호기의 발전이 중단됐다. 원자로는 출력을 낮춘 상태에서 정상 가동 중인 상태였다.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수원은 송전 설비쪽 이상이 생긴 것 같다고 원인을 파악 중이며, 방사선 누출은 없다고 밝혔다.

태풍으로 인한 핵발전소 가동 중단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0년 9월 태풍 마이삭·하이선의 영향으로 고리원전 1~4호기와 신고리 1~2호기, 월성 2~3호기, 모두 8개의 핵발전소에서 한꺼번에 문제가 발생해 가동 중단된 바가 있다. 더 거슬러 올라가면 2003년 9월 태풍 매미로 고리 1~4호기와 월성 2호기가 동시에 정지되는 사고가 있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수원은 태풍으로 인해 다수의 핵발전소가 고장이 발생할 때마다 손상 부품 교체 및 재발 방지 조치를 하겠다고 약속하지만 사고는 매번 되풀이 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점점 더 심해지는 기후 위기로 인해 앞으로는 더욱 더 자주, 강한 태풍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 기후 위기로 인한 기상이변 발생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태풍으로 인한 핵발전소의 잇따른 정지사고는 핵발전소가 예측가능한 안정적 에너지 공급원이 될 수 없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후쿠시마 핵사고에서 보았듯이 핵발전소의 전원공급 상실, 불시정지 사고는 엄청난 큰 재앙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크고, 한 번 문제가 발생하면 원인 조사와 대응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대규모 전력 공급 중단 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는 심각성을 내포하고 있다.

기후 위기로 인한 핵발전소 사고가 빈번해 지는 가운데, 윤석열 정부는 기후 위기에 대응한다며 고리 2호기 수명연장을 시도하고, 신규 핵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매번 되풀이 되는 태풍으로 인한 핵발전소 정지사고가 더 큰 재앙의 시작이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윤석열 정부는 기후위기와 지진과 같은 예측불가능한 자연재해로 인한 핵발전소 안전대책을 점검하고, 핵발전소 대규모 정지에 대비한 대책을 제대로 마련해야 한다. 또한 기후 위기를 핑계로 핵발전 부흥을 꾀하지 말라. 핵발전은 기후 위기의 대안이 아니다.

2022년 9월 6일
환경운동연합

admin

admin

보도자료의 최신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