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사국총회 】
기후변화협약 관련 최종 의사결정기구로서 대체로 협약의 진행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일년
에 한번 모임을 가짐. 제1차 총회는 ’95년 베를린에서, 제2차 총회는 ’96년 제네바에서, 제3차
총회는 ’97년 교토에서, 제4차 총회는 ’97년 아르헨티나에서 그리고 제5차 총회는 ’99년 본에
서, 제6차 총회는 2000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개최됨
(Conference of the Parties, COP)
【 IEA 】
국제에너지기구, ’74년 11월 OECD 이사회에서 설립을 결의, ’76년 1월에 발족. 회원국은 미국,
영국, 일본, 호주 등 선진국 중심의 24개국임
(International Energy Agency)
【 베를린위임사항 】
제1차 당사국총회(1995년)시 결정사항으로 협약상 200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1990년 수준으로
감축시킬 것을 목표로 정책 조치를 취한다는 선진국의 공약(commitment)이 부적절하다고 결론짓
고 ’97년말까지 2000년 이후 구속력있는 감축의무를 정하도록 함 (Berlin Mandate)
【 에너지원단위 】
어떤 재화나 서비스의 생산 물량 단위 또는 부가가치 단위에 대한 에너지 투입량 비율
【 의무이행기간 】
감축목표를 달성하는 기간. 현행 교토의정서의 경우 5년 단위로 의무이행기간을 설정, 2008∼
2012년을 1차 의무이행기간으로 규정하고 있음
(Commitment Period)
1차 의무기간 : 2008∼2012
2차 의무기간 : 2013∼2017
3차 의무기간 : 2018∼2022
【 의정서 】
법률과 시행령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협약을 구체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내용을 담은 문서를 말함
(Protocol)
【 G-77그룹과 중국 】
유엔무역개발회의 (the United Nations Conference for Trade and Development, UNCTAD)의 원조
로 ’67년에 세워짐. 개발도상국 132개 회원국가의 입장을 조화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음
(Group of 77 and China)
【 지구온난화지수 】
지구온난화지수는 각각의 기체들을 기준이 되는 기체들과 비교했을 때 어떤 온실기체가 대기중
에 방출된 후 특정기간 동안 그 기체 1kg과 비교하였을 때 어떤 온실기체가 대기중에 방출된 후
특정기간 동안 그 기체 1kg의 가열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평가하는 척도임. 100년을 기준으로
CO2를 1로 볼 때 CH4가 21, N2O가 310, HFCs 가 1,300, PFCs가 7,000, SF6가 23,900임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자료제공 : 기후변화정보센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