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실 : 스티로폴은 오존층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 스티로폴은 제조에서 폐기 과정까지 오존층 파괴의 주범인 프레온가스를 사용하지 않는다. -스티로폴 발포제 로 사용하는 펜탄가스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염소 원자(CHLORINE ATOMS)를 함유하고 있지 않다. -펜탄 가스는 단순한 탄화수소로서 낮은 고도에 서 급속히 분해되므로 오존층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
|
사실 : 스티로폴은 인조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0.2%에 해당하는 |
![]() |
사실 : 스티로폴은 화석 연료의 소비를 줄여 주는 효과적인 단열 |
![]() |
사실 : 스티로폴은 제조, 생산, 사용에 이르기까지 |
|
사실 : 스티로폴은 쓰레기 중량의 0.3% 이하에 불과하 |
|
사실 : 스티로폴은 합성목재, 경량 콘크리트 등으로 100% 재활용되며 에너지 회수도 가능하다. -폐스티로폴은 파쇄 감용한후 펠릿화하여 사진액자, 욕실발판, 비디오테이프케이스, 신발접착제 등 여러 가지 재생 PS제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폐스티로폴은 분쇄하여 경량 콘크리트, 경량 벽 돌, 단열 미장시 혼합 사용된다. -스티로폴은 중유와 비슷한 9600kcal/kg의 발열량을 갖고 있어 에너지 자원으 로 활용이 가능하다. |
|
사실 : 스티로폴은 생산에서 폐기까지 |
[스티로폴과 종이류 포장재의 LCA연구] 국내에서 는 처음으로 ‘발포스티렌과 종이류 포장재의 LCA(Life-cycle Assessment)’란 주제로 ’96년 5월 건국대학교에 서 열린 세미나에서 스티로폴과 종이류 포장재의 환경친화성 비교 결과가 조사 발표되었다. 이 발 표에 의하면 기능 단위를 기준으로 스티로폴과 골판지의 제조 단계까지 배출물과 발생량을 비교할 때 스티로폴보다 골판지에서 발생하는 배출물의 종류가 다양할 뿐 아니라 그 양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구 온난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CO2(이산화탄소)의 경우 골판 지는 스티로폴에 비해 7배나 더 많이 배출되며 그 외에도 스티로폴에서는 배출되지 않는 이산화질소, 암모니아, 수은 등이 골판 지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사실 : 땅에 묻거나 태워도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
자료:http://cafe.kyungwon.ac.kr/~group2000-5/main.ht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