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목차
Prologue
I. 서 론
– 도시 대기오염의 질적 악화
– 시민의 관심도 증가
– 일련의 역학연구 사례 발표
– 연도별 천식 유병율(미국)
– 연도별 천식 사망률(미국)
– 연도별 각 나라의 천식사망율
– 대기오염 특성
ACT(Air pollution and health in Korea)
II. ACT 1 (대기오염과 사망)
III. ACT 1 (대기오염과 사망)
III. ACT 2 (대기오염과 소아천식)
III. ACT 2 (먼지와 질병)15세 미만의 소아천식 (ICD-10 code J45-J46)
III. ACT 2 (먼지와 질병)허혈성 심질환 (ICD-10 codes I20-I24)
III. ACT 3 (대기먼지와 폐기능)
Epilogue(What we have learned from these findings)
1.Is it really that ambient air pollution is risky?
– 대기오염과 인체영향
2.Which pollutant is responsible for health risk?
3.Who are in danger?
4.What else do we need to pursue?
– 대기오염과 인체영향 (위험인구 집단)
III. 고 찰(향후 과제)
– 장•단기노출 영향 평가필요성
– What is “Precautionary Principle”?
글 : 이 종 태 (한양대학교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자료출처 : 환경정의시민연대